d라이브러리
"작고"(으)로 총 1,3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쌍안경활용법 봄철의 은하여행과학동아 l1991년 04호
- 이 은하군들은 더 큰 구경의 쌍안경으로만 관측할 수 있고, 이중 M96만이 10×50 쌍안경에게 작고 흐릿한 모습을 보여준다.지금까지 봄하늘의 은하군들을 살펴보았다. 만약 우리가 봄철하늘에서 특별한 장소를 향하면 소위 은하단이라 불리는, 은하들이 가장 밀집된 지역을 볼 수 있다. 이 은하단의 ... ...
- 혜성·신성·변광성을 관찰해보자과학동아 l1991년 03호
- Z자형으로 꺾이는 독일형 쌍안경에 사용되고 있으며, 루프 타입은 광로를 직선으로 만든 작고 간결한 크기의 쌍안경이다.천체 관측자에 있어 프리즘 형식은 대물렌즈의 구경만큼 중요하지 않다. 크기는 배율과 관련되며, 어두운 밤하늘에서 보다 많은 빛을 모을 수 있는 큰 구경의 렌즈가 유리하다 ... ...
- 1억년전 공룡의 뒷모습이 보인다과학동아 l1991년 03호
- 보존상태가 선명치 않고 새끼공룡의 것이라고는 하지만 공룡의 발자국으로는 너무 작고 빈약하지 않은가 하는 눈치였다.다시 봉화골 해안으로부터 덕명리와 상족 유원지 해안을 거쳐 상족해안까지 조사해온 학생들은 아무래도 공룡의 발자국으로 생각하기 어렵다는 의견을 제시해 왔다. 왜냐하면 ... ...
- 허블 망원경이 찍은 대폭풍과학동아 l1991년 03호
- 만들며 또 사실이 그렇다.천왕성은 태양으로부터 토성보다 더 멀리 떨어져 있으며 더 작고 그 공전속도도 더 느린 까닭에 보다 조용할 것이다. 사실 천왕성은 무척 잔잔하여 우리가 이해할 수 있는 대기현상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지난 1989년에 보이저 2호가 천왕성과 거의 쌍둥이같은 행성이지만 ... ...
- 중화(中華)적 세계관이 우르르 마테오 리치 충격파과학동아 l1991년 02호
- 들어있는 직경 8.9㎝의 지구의가 그 실증적인 유물이다. 이 지구의들은 비록 크기는 작고 혼천의에 연결된 것이긴 하지만, 동아시아에서 가장 정확한 지구의이면서 또한 최초로 제작된 것이다. 타원형의 평면에 그려진 세계지도를 정확한 위도와 경도의 선이 그어진 구(球)위에 완전히 옮겨 놓은 ... ...
- 천체사진 촬영법 ㉻ 피지백과학동아 l1991년 02호
- 작은 별빛으로만 느껴질 뿐이다. 그래서 고리 성운(M57)이나 아령 성운(M27), 또는 보다 작고 희미한 은하들과 구상성단들을 찍을 수 없다. 그리고 달과 행성들의 확대사진 역시 적합하지 않다. 행성들은 밝은 별처럼, 달은 매우 밝은 빛의 점으로만 찍혀진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수많은 천체들과 유명한 ... ...
- 2월의 밤하늘 광기어린 늑대별과 귀여운 애완견과학동아 l1991년 02호
- 천랑성(天狼星, 하늘의 늑대별)이라고 불렀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흰색의 프로키온은 작고 귀여운 애완견의 느낌을 준다.시리우스의 남쪽 4° 근방에는 쌍안경으로도 관측할 수 있는 유명한 산개성단(M41, 5등급)이 있는데, 공해가 적은 시골하늘에서는 쌍안경으로 관찰하면 불규칙적으로 모인 별의 ... ...
- 한국 아마추어 천문 20년 전국적 통합단체 절실한 시점과학동아 l1991년 02호
- 망원경을 구입한 사람들의 모임인 계룡아마추어천문회를 가지고 있었다. 유진규 소장(작고)과 유원준 기술부장(유 소장의 아들)에게 KAAA 실정을 진지하게 설명하고, 적어도 단체 안에서는 상업성을 띤 일을 배제하기로 약속하고 계룡 아마추어 천문회를 KAAA에 합병시켰다.유원준씨를 총무로 새로 ... ...
- 차세대 전화기술혁명 무선시대를 연다과학동아 l1991년 02호
- 우리나라와 같이 보행자가 많고 인구밀도가 아주 높은 지역이 많은 곳에서는 단말기도 작고 가벼워 휴대하기 편리한 마이크로셀률러 시스템의 보급이 유망하리라 생각된다.■ 아날로그 통신(analog communication)정보(예를들면 음성신호)가 연속적인 신호인 경우 이것을 그대로 연속적으로 변하는 ... ...
- PARTⅣ 인류로의 진화 침팬지에서 호모 사피엔스까지과학동아 l1991년 01호
- 전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하며 유인원 계통보다 작은 이를 가진 것이 특징. 특히 송곳니가 작고, 턱뼈의 구조나 입천장의 형태, 이의 배열이 유인원의 U자형이 아니고 포물선형을 나타내는 점 등으로 사람의 직계조상으로 본다(그림3 참조).라마(Rama)는 인도 힌두교의 신(神)이라는 뜻이다. 사람의 ... ...
이전115116117118119120121122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