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노고
수고
고생
d라이브러리
"
작고
"(으)로 총 1,310건 검색되었습니다.
아기 돼지를 잘 이해하는 로봇 돼지엄마 등장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암퇘지가 꿀꿀거리기 시작하자 '진짜' 새끼 돼지 여덟마리가 몸을 일으켰다. 그리고는 그
작고
앙증스런 발을 움직여 젖꼭지가 있는 곳으로 달려갔다.마침내 '꿀'소리에 속력이 붙었다. 이 '빠른' 소리는 젖의 분비가 임박했다는 신호다. 순간 꼬마 돼지들은 '숨'을 죽였고, 젖꼭지 앞에 일렬로 ... ...
금속활자의 부활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것이다. 물론 그런 기술이 있다고 해서 금속활자가 금방 만들어지는 것은 아니다.
작고
섬세한 글씨가 새겨진 일정한 규격의 금속활자를 수없이 부어 만들려면 한단계 높은 기술이 요구된다. 적어도 그때까지 쓰이던 몇가지 거푸집으로는 어림 없었다.금속활자를 제조하기 위해 고려 기술자들이 ... ...
쿼크와 렙톤의 세계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아니라 다른 종류의 개체로 분해된다. 핵과 전자가 그것이다. 핵은 원자보다 10만분의 1쯤
작고
그 사이는 아무 것도 채워지지 않은 빈 공간이다. 우리는 흔히 수소의 핵을 양성자라고 한다.하지만 수소 이외의 다른 종류의 원자들은 여러 개의 전자를 갖고 있으므로 핵은 하나가 아니라 양성자들의 ... ...
손에 땀을 쥐는 이유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구성돼 있다. 즉 크고 투명하며 글리코겐이 풍부한 투명세포, 중성 당질을 함유하고 있는
작고
검은 세포, 평평한 모양을 한 근육세포로 이루어져 있다.투명세포는 땀 형성을 시작하는 세포로 물과 전해질을 분비한다. 이곳에서 분비되는 땀은 피의 혈장과 유사하며 농도도 비슷하다.검은 세포의 ... ...
독특한 철학과 프로그램공개로 성공한 새로운 운영체계「유닉스」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하드디스크가 없이 플로피 디스크만으로도 실행이 된다. 또한 프로그램의 크기가
작고
프로그램의 완전한 소스(source)까지도 제공되기 때문에 주로 전산학을 공부하는 사람들이 유닉스의 내부 구조를 공부하고자 할 경우에 상용된다.유닉스에서의 완벽한 한글 사용은 매우 어려운 편이다. 이러한 ... ...
금세기 최대혜성 오스틴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비해 엄청나게 밝으므로 혜성의 모습을 먹어버린다. 그러나 초생달 처럼 실날같이
작고
어두우면 노출이 비슷해 더욱 멋진 사진이 될 수도 있다. 달이 떠있는 경우(5월 7일~5월 16일)에는 달빛의 광해를 막기 위해 조리개를 한단계 정도 조여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5월 17일부터 27일까지는 밤하늘에 ... ...
매머드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트라이아스기에 수공류(Therapsids) 파충류에서 진화한 것으로 중생대의 포유류는 체구가
작고
수가 적었다. 파충류에 비해 두뇌용적이 큰 편이므로 지능이 보다 높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신생대의 포유류는 공룡과 같이 체구가 거대화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공룡과는 달리 두뇌용적이 증가하는 ... ...
염소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고려 충선왕 때 중국에서 수입한 것이 한국 재래 산양의 선조다. 몸집이
작고
털빛깔은 검은 것이 보통이나, 간혹 흰색 갈색 등 여러 빛깔이 나타나기도 한다.암·수 모두 뿔이 있으며 체질이 강건하고 병에 대한 저항성이 강하다. 특히 고기맛이 좋아서 식용으로 널리 애용되고 있다. 예로부터 한방 ... ...
용돈관리를 로터스로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느낌을 가지게 될 것이다.알기쉽게 바꿔보자 초보자의 입장에서는 (그림 1) 정도의
작고
간단한 워크시트도 작성하기 힘들었는지 모르지만, 개선해야 할 점들이 금방 눈에 띈다. 나중에 다른 사람이 워크시트를 발견했다고 생각해보자. 이것을 누가 언제 왜 만들었으며 완성된 것인지, 정확한 ... ...
PART 4 몸 안으로 들어가는 마이크로 로봇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tunneling microscope)을 개발한 것이다. 이 현미경의 끝부분은 몇몇 원자들의 폭보다 오히려
작고
예리한 바늘을 가졌다. 바로 이 바늘의 활약으로 원소들의 표면을 낱낱이 관찰할 수 있게 된 것이다.바늘 끝에서 원자 표면까지의 전자의 흐름은 현미경과 원자 사이를 연결해 준다. 바늘이 원자 표면에 ... ...
이전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