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참여"(으)로 총 4,36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용어 따라잡기] 효소, 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다른 건가? 효소는 단백질의 일종이에요. 생물체의 몸안에서 일어나는 여러 반응에 참여해 촉매 역할을 하지요.효소는 ‘효모 효(酵)’와 ‘본디 소(素)’가 합쳐진 단어예요. ‘효모에 있는 요소’를 의미하지요. 효소의 영단어인 ‘Enzyme’에도 같은 의미가 숨어 있어요. ‘Enzyme’은 그리스어 ... ...
- [출동! 기자단] 카이스트 인터랙티브 미디어 랩 게임을 하면서 연구도 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0호
- 뛰어나죠.”기자단 친구들은 박은지 연구원이 만든 마우스 실수 예측 실험에도 참여했어요. 검은색 모니터에 움직이는 파란색 공이 나타나면, 마우스로 공을 정확히 클릭해야 했죠.“저는 8명의 게이머와 일반인으로 마우스 조작 능력을 비교하는 실험을 했어요. 그랬더니 두 그룹 모두 파란색 ... ...
- 대전 사이언스페스티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네. 평소에 허팝의 과학 관련 실험 영상을 재미있게 보신 행사 관계자분들의 초대로 참여하게 되었어요. 제 영상에 등장하는 다양한 실험과 도전 중에 특히 사랑해 주셨던 콘텐츠를 직접 선보일 예정입니다.Q 친구들에게 한 말씀 부탁드려요.과학은 어떻게 바라보느냐에 따라서 ... ...
- AI 해설 경기 내용을 정확하게 표현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그런데 이번에 학교에서 진행하는 AI 월드컵 대회 중 축구 경기 해설에 학생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겨 저희가 맡게 되었답니다.Q AI의 해설 수준을 어떻게 평가하시나요?이번 AI 해설의 내용을 보면 해설자보단 캐스터 역할에 더 가까워요. 축구 해설가는 주로 전직 축구 선수들이 맡는 ... ...
- AI 기자 경기 내용을 분석해서 담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문장들을 넣으면 기사가 완성되는 거랍니다.아쉽게도 AI 기자 부분에는 두 팀만 참여했어요. 전문가들은 이번 대회의 세 분야 중 코딩하는 방법이 가장 복잡하고 까다로웠기 때문이라고 분석했지요. 하지만 두 팀 중 한 팀이 정확한 구조와 문장, 내용을 담은 기사를 완성하면서 심사위원들의 ... ...
- 인공지능이 축구를 한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AI 기자까지, 대회는 총 3가지 부문으로 나뉘어서 진행됐지요. 이번 대회에는 총 29개 팀이 참여했어요. 대진표에 따라 계속 이기면 결승까지 올라가는 토너먼트 방식으로 승부를 겨루었답니다.AI 월드컵 조직위원회는 축구 경기를 진행하는 데 필요한 기본적인 코드를 공개했어요. 축구장과 선수, ... ...
- [현장취재] 인기 크리에이터가 되고 싶은 친구들 모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다른 사람의 저작권을 존중하는 것이 유튜브의 시작”이라고 강조했지요.이날 행사에 참여한 김도윤 기자는 “크리에이터들의 강연을 듣고 직접 채널을 만들어 보며, 유튜버들이 영상을 준비하기 위해 얼마나 정성을 쏟는지 알게 되었다”며 “앞으로 나도 영상 하나하나를 공들여 만들고, ... ...
- [지구사랑탐사대] 뜨거운 도시의 비밀을 밝혀라! 매미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이화여자대학교 장이권 교수님과 배윤혁 연구원은 물론, 국립생태원 강재연 연구원도 참여하셨죠.“밤마다 매미가 너무 시끄러워요!”대원의 불평에 강재연 연구원이 "도심이 매미가 살기에 좋은 환경이기 때문"이라고 대답했어요. 이어 "도심은 온도와 습도가 적당한데다, 새와 말벌류 이외에는 ... ...
- [2018 여름캠프] 어서 와~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은 처음이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장이권 교수팀을 비롯해,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전문가와 지구사랑탐사대 대원 140여 명이 참여했지요.캠프는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의 대표 시설인 시드볼트와 호랑이 숲 등 다양한 곳에서 진행됐어요. 식물과 곤충 및 양서류, 민물고기 탐사는 물론, 시드볼트 체험과 호랑이 관람도 준비됐지요 ... ...
- [특별 기고] 아르마딜로가 눈 앞을 총총!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동물들은 그 예민함과 민첩성 때문에 가장 만나기 힘들었다. 가장 큰 행운은 조류조사에 참여했을 때 숲 속의 작업 공간 바로 옆을 뛰어다니는 아르마딜로 가족을 만난 것이다. 야행성이어서 낮에는 절대 볼 수 없다던데 우리 때문에 땅굴 속까지 시끄러웠던 것일까? 아침에 이를 닦다 현생종 중 ... ...
이전115116117118119120121122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