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참가
참석
관여
출석
가입
조인
곁듣기
d라이브러리
"
참여
"(으)로 총 4,366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뉴스] 상어 피부비늘의 비밀, 튜링의 방정식으로 풀었다
수학동아
l
2018년 12호
미치는 유전자가 상어의 비늘 패턴을 만드는 데 관여한다는 것도 확인했습니다. 연구에
참여
한 로리 쿠퍼 박사과정 연구원은 상어가 고대 척추동물에서 갈라져 나왔다는 점에서 이번 연구가 “고대 척추동물의 초기 진화 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최고의 학과’ 만드는 ‘최고의 학생’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있는 활동은 모두 열심히 참가했다. 물리 실험 동아리를 비롯해 각종 교내 대회에 전부
참여
해 일반고에서 할 수 있는 최대한의 활동을 했음을 보여줬다. 사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유 씨는 공부와 자기소개서, 면접 준비도 모두 혼자서 했다. 그는 “학과 홈페이지에 나온 연구실 설명 등을 ... ...
Part 4. 오로라, 보랏빛 띠를 발견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1호
STEVE)’이라는 이름을 붙였어요. 아마추어 과학자들이 지은 이름 그대로지요. 연구에
참여
한 캐나다 캘거리대학교의 에릭 도노반 교수는 “스티브는 자주 일어나는 현상이었지만 아마추어 과학자들이 발견하기 전 까지는 아무도 눈치 채지 못했다”고 말했어요. [인터뷰] 노타니 보라사(캐나다 ... ...
Part 5. 장내미생물, 똥을 보내면 우리도 과학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1호
19세 이상만
참여
가능해서 아쉬운 친구들도 있을 거예요. 하지만 곧 어린이들이
참여
할 수 있는 장내미생물 프로젝트도 시작하려고 해요. 그때까지 여러분의 장내미생물을 건강하게 가꿔 주세요! # 끈기와 노력이 빛을 발한 아마추어 과학자들을 보니 어때? 친구들도 지금부터 ... ...
[과학뉴스] 비버가 만든 댐, 강물을 깨끗하게 만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비버의 댐이 질소가 섞인 흙을 거르면서 물의 질소 농도도 낮아진 것이죠. 연구에
참여
한 리처드 브래져 교수는 “비버의 댐이 많아지면 생태계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어요 ... ...
[별난이름 정리]살인마 운전기사 문제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나뉘며, 종류에 따라 게임 상황은 물론 분석하는 방법도 다 다릅니다. 그중에 게임
참여
자의 전략을 연속적인 시간에 대한 함수로 나타내서 상황을 연구하는 것이 있습니다. 살인마 운전기사 게임앞서 소개한 살인마 운전기사와 도망자의 추격전을 다룬 문제가 대표적인 예입니다. 미국 ... ...
중국을 꿈꾸는 과학자들에게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물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삼성전자에서 21년간 메모리반도체 분야 연구 개발에
참여
했다. 상무로 퇴직한 뒤 연구자로서의 꿈을 펼치기 위해 2016년 9월 중국으로 향했다. 현재 중국 칭화대 전자공학과 교수 및 인공지능센터 연구원으로 인공지능용 소자 연구를 하고 있다. hongsikjeong@tsinghua.edu ... ...
[과학뉴스] 가재 외골격 모방한 가볍고 튼튼한 시멘트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심지어 일부 구조물은 용수철 같은 탄성을 지닐 수 있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연구에
참여
한 얀 올렉 퍼듀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시멘트 구조물은 가볍고 충격에 강해 내진 건물 건설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doi:10.1002/adma.20180212 ... ...
2019 한국정보올림피아드 이렇게 바뀐다!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진행될 예정입니다.원하는 학생들은 한국코드페어와 한국정보올림피아드에 중복해서
참여
할 수 있다고 하니 관심 있는 독자들은 2019년도 대회에 주목해 주세요 ... ...
곡식의 왕 '밀' 유전자 지도 완성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입력해 재조합하는 ‘샷건 시퀀싱(shotgun sequencing)’ 기술이 쓰였다. IWGSC에 한국 대표로
참여
하고 있는 서용원 고려대 생명공학부 교수는 “덕분에 밀의 중요 특징을 결정짓는 유전자들이 어디에 위치하는지, 유전자들끼리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발현되는지 밝힐 수 있었다”며 “새로운 품종을 ... ...
이전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