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전기"(으)로 총 1,314건 검색되었습니다.
- 글로벌 연구거점 구축과 차세대 연구리더 육성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겠다IBS l2014.10.10
- 1970년 서울대학교 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1974년 미국 존스 홉킨스 대학교 전기공학과에서 통계물리학 연구로 이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1977년부터 2010년까지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이 기간에 물리학과 학과장('97~'99)과 물리학부 학부장('00~'04), BK21 서울대 물리연구단 ... ...
- 장님 코끼리 만지기 : 뇌와 의식을 이해하려는 노력들IBS l2014.10.08
- 조작된 피험체에 광전극을 이식하여 미세한 변화에 따른 반응을 실시간으로 관찰한다. 전기자극을 이용하는 기존의 방법은 의도치 않은 장소의 세포에도 영향을 주는 경우가 많아 변인통제가 어려운 편이었는데 빛을 이용하면 이러한 영향을 최소화하여 자극과 행동 사이의 정확한 관계를 알 수 ... ...
- [채널A] 뇌수술 받으며 바이올린 연주…어떻게 가능할까채널A l2014.09.15
- 되찾기 위해 용기를 냈습니다. 이번 수술은 손에 비정상적인 떨림을 유도하는 신경에 전기자극을 줄 수 있도록 침을 심는 것. 수많은 미세신경들 사이에서 정확한 위치를 찾는 것이 관건입니다. [전화 인터뷰 : 장진우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신경외과 교수] 1mm 이내의 좌표를 찾아야하기 때문에 ... ...
- 독창적인 광유전학기술로 뇌 비밀 밝힌다IBS l2014.09.04
- 허 교수는 "신경과학 분야에 이런 기술이 없었는데, 새로운 기술이 생긴 것" "이전에는 전기 자극이나 약물을 이용해 신경세포를 활성화했는데, 이 방법은 원하는 세포 말고 다른 세포에도 작용했지만, 광유전학기술은 타깃 세포에만 작용하고 빛만으로 가능하다는 것이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 ...
- [신재생에너지 기획⑥] 흐르는 강물처럼, 다목적 수력발전동아사이언스 l2014.09.02
-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댐을 만들더라도 댐의 상류에 비가 오랜 기간 오지 않으면 발전기가 지속적으로 작동할 수 없기 때문에 ‘양수식(揚水式)발전’을 이용하기도 한다. 양수식발전은 전력 소비가 적은 야간에 남는 전력을 이용해 댐의 하류로 흘려보낸 물을 펌프를 이용해 다시 댐의 상류로 ... ...
- [Green Lab 동아사이언스 l2014.08.27
- 본 스택 등 전지의 크기가 생각보다 작은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었다. 또한 아연, 브롬은 전기재료로서 가장 값싼 재료 중 하나로 바나듐보다 많이 저렴해서 초기 투자비용이 적게 드는 것도 무시할 수 없는 장점이다. 다만 VRFB의 전해액 내 바나듐은 회수율이 90% 이상이라 10~15년 사용한 뒤 ... ...
- 화석연료의 변신, 석탄가스화복합발전(IGCC)동아사이언스 l2014.08.25
- 우리나라와 같이 기름이 거의 나지 않는 나라에서, 석탄에서 전기와 합성석유를 같이 생산하는 발전소 2~3개를 건설하면 석탄을 수입하더라도 국가 운영에 필수적인 기름을 국내에서 자체적으로 만들 수 있다. 현재 국내 연구진들은 이에 필요한 기술을 국산화하기 위해 ... ...
- [Green Focus 동아사이언스 l2014.08.21
- 풍력, ESS 등), 전기차 기반 가상발전소 운영, 전기차 급․완속 충전, 전기차 이동 충전, 전기차 대여, 신재생에너지 출력 안정화 및 품질 개선이라는 9개 실증사업 모델에 따라 예비사업자가 선정됐다. 지난해 10월 정부는 포스코ICT, 짐코, 현대오토에버, 현대중공업, KT, LS산전, 한국전력, SK텔레콤이 ... ...
- [Green Economy 동아사이언스 l2014.08.21
- 경쟁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일까. “전지시장은 넓고 다양합니다. 스마트폰이나 전기자동차와 같이 대규모 양산을 요하는 시장은 대기업이 적합하죠. 하지만 주파수 조정용 고출력 에너지저장장치, 산업용 청소기, 요트 등 특수한 전지 성능을 요구하는 틈새시장도 많이 있어요. 탑전지는 ... ...
- 아세요? 암모니아 합성에 인류 에너지의 2%가 들어간다는 사실을2014.08.18
- 만들어진다는 것. 결과적으로 마찬가지 이야기이지만 메커니즘이 다르다는 말이다. 일반 전기분해(역시 연료전지의 역반응이다)의 경우 음극으로 이동한 전자(e-)와 수소이온(H+)이 만나 수소(H2)가 만들어지지만 이 시스템은 음극의 전자가 전해질에 떠있는 나노철산화물촉매로 확산된다. 그리고 ... ...
이전115116117118119120121122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