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곰팡이
d라이브러리
"
곰팡
"(으)로 총 139건 검색되었습니다.
3. 파라오의 저주
과학동아
l
199801
만들어진
곰팡
이 때문에 일부 건강이 좋지 않던 관련자들이 감염됐다는 것이다.
곰팡
이가 3천년 동안 생존하다가 무덤이 열리자 재빨리 인체에 침입한 후 치명적인 질병을 초래했다는 것이다. X선 검사로 저주 풀려그렇다면 무덤에 들어가지 않은 사람들의 죽음은 어떻게 해석할 수 있을까. 일부 ... ...
한국천문학의 초석을 마련한 보람
과학동아
l
199711
내에 설치됐던 국립천문대 창립준비위원장직을 맡아 장관과 싸움깨나 했던 일은 이제
곰팡
내가 나는 추억이 되고 말았다. 1970년 연세대에서 연필 크기의 로켓을 만들어 발사시켰을 때 땅 위에서만 이리저리 굴러다닌 일, 이어 길이가 1m에 달하는 로켓을 만들어 발사했다가 대학총장 사무실 지붕 ... ...
태양에너지의 생물나라여행
과학동아
l
199705
배출하는 것은 단지 겉으로 나타나는 공기의 발자취일 뿐이다.동물이든 식물이든
곰팡
이든 생명의 기본단위는 세포다. 세포는 광합성과 호흡이 일어나는 에너지 전환의 필수장소다. 호흡은 세포 내의 소기관인 미토콘드리아에서 이뤄진다. 포도당과 같은 유기물에 저장된 많은 양의 자유에너지는 ... ...
히틀러 벙커
과학동아
l
199702
등을 옮긴다 리케차 외에도 미생물병원체에는
곰팡
이와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이 있다
곰팡
이는 균사를 갖고 있는 생물인데, 핵막이 있는 진핵생물에 포함된다 박테리아는 흔히 세균이라고 불리는 단세포 생물인데, 핵막이 없는 원핵생물에 포함된다 생물과 무생물의 중간 존재인 바이러스는 ... ...
러시아의 희망 무너져
과학동아
l
199612
곰팡
이의 몸체도 설탕에서 뽑은 실이 솜사탕을 구성하듯,
곰팡
이의 실, 즉 균사가
곰팡
이의 몸체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 균사는 여러 개의 핵을 가지지만 클로로필이 전혀 없어 광합성을 하지 못하고 기생하면서 영양분을 섭취한다광물의 단단함(경도)을 측정하는 10종류의 표준 광물 독일의 모스 ... ...
동맥경화 해결사
과학동아
l
199607
폐기했다는 것이었다. 이미 1976년 도쿄 농업기술대학의 아키라 엔도가 페니실륨
곰팡
이 배양액에서 유사한 구조를 가진 콜레스테롤 생합성 억제 성분을 분리해 '콤팍틴'이라고 이름 붙였다는 것이다. 이 소식은 사실을 가능성이 높았다. 임상실험은 즉시 중지됐다.그러나 다행히 사실이 아닌 것으로 ... ...
3. 식빵에서
곰팡
이가 피지 않는 이유
과학동아
l
199606
다만 파리크라상에는 연결이 되지 않아 확인할 수 없었다. 우리들은 이번에 식빵에 든
곰팡
이를 관찰하고 각 식품회사에 문의하면서 잘못된 편견을 바로잡고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다. 이번 탐구학습 중 조언을 아끼지 않았던 선생님들과 상세하게 설명해 주었던 각 식품회사의 연구원들이 너무 ... ...
2차 세계대전의 승패를 좌우한 최초의 항생물질 페니실린
과학동아
l
199601
사용가능할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을 뿐이었다.1929년 5월 논문이 발표됐으나 이미
곰팡
이 배양액이 항균력을 나타낸다는 사실은, 드물기는 하지만 이미 보고돼 있었기 때문에 별로 관심을 끌지 못했다.페니실린을 되살린 플로리와 체인 플로리는 오스트레일리아 애들레이드 의과대학을 마친 후 영국 ... ...
술
과학동아
l
199510
별도로 분리해 이를
곰팡
이 포자 형태로 키운 후 쌀에 접종하고 있다. 여러 가지
곰팡
이와 효모가 혼합된 우리의 누룩과 달리 이렇게 하면 술맛을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술을 공업적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단일 미생물 또는 2-3가지의 미생물을 사용하는 것이 품질이나 공정 관리에 ... ...
항생제 개발의 문 연 설파제
과학동아
l
199510
했던 자신의 희망을 포기했다. 시험관에서 우수한 항균물질을 합성할 수 있는 한
곰팡
이 배양액에서 약을 추출한다는 것이 부질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그러나 1938년 옥스퍼드의 플로리(Howard Florey)와 체인(Ernst Chain)은 플레밍이 포기했던 과제를 다시 연구하기 시작했다. 플레밍이 배양액을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