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초
캔
초
초불
등불
불빛
초롱불
d라이브러리
"
촛불
"(으)로 총 127건 검색되었습니다.
지도, 어떻게 만들어지나
과학동아
l
199403
평평한 종이에 어떻게 투영(지구의가 투명한 플라스틱이나 유리로 되어있고 그 중심에서
촛불
이나 전등불을 비추었다고 가정할 때 경위선망이 종이에 비춰지는 것)되는가를 보여준다. 이들 각각의 경우는 광원이 지구의의 중심에 있을 수도 있고 표면에 있을 수도 있으며 지구의로부터 무한대의 ... ...
태양표면의 흑점수를 세어보자
과학동아
l
199308
촛불
에 그을린 유리, 저가의 용접용 유리필터 등은 알고보면 대단히 위험한 방법이다.
촛불
로 만들어진 유리판 위의 검은 탄소층은 훼손되기 쉬우며 용접용 필터 등은 단지 가시광선의 일부를 투과시키지 않을 뿐 적외선과 같은 열선이나 위험한 짧은 파장의 선들은 전혀 막아주지 못한다.태양은 ... ...
(1) 생성 및 광채의 신비
과학동아
l
199307
어떤 광선 아래서 관찰하느냐에 따라 색이 달라져 태양광선 아래서는 에메랄드 녹색을,
촛불
이나 텅스텐 전등 하에서는 루비 적색을 나타낸다. 이를 변색효과라고 하는데 이 같은 현상이 일어나는 것은 불순물로 함유된 크롬 때문이다.장석이나 흑요석 내부에 굴절률이 서로 다른 물질이 들어가면 ... ...
6. 세타파 개발하면 누구나 초능력자 될수 있다
과학동아
l
199208
있다고 본다. 왜냐하면 지금도 빌딩을 무너뜨리는 정도의 큰 힘은 아니지만 정신력으로
촛불
을 끄는 것부터 쇠 숫가락을 굽혀 버린다든지 쇠 파이프를 휘게 하는 사람들은 많이 있기 때문이다. 이는 현대인의 뇌 발달과정으로 보아 평균 뇌세포사용량이 3% 정도라고 본다면 앞으로 인간의 뇌가 더욱 ... ...
우주탄생의 잔해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나
과학동아
l
199206
이후 우주가 1백50억년간 팽창하는 동안, 우주를 채우고 있던 빛은 차갑고 어두워 현재는
촛불
의 1억분의 1보다도 어둡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코비위성은 관측 시작 후 9분만에 우주여광의 온도가 절대온도 2.735도임을 알려왔다. 더군다나 코비는 이 여광의 온도가 전 하늘 어느곳을 둘러보아도 ... ...
ET 탐색 작업에 나선다
과학동아
l
199206
예컨대 1백억광년 떨어진 퀘이사가 낸 빛까지도 추적할 수 있다. 달에서 오는 빛이라면
촛불
까지도 쪽집게처럼 집어낼 수 있다.우주의 생물체가 보내는 전파를 포착한다는 것은 참으로 흥분되는 일이다. 1982년 국제천문연합에서 이 문제가 처음 거론됐으므로 10년만에 그 꿈을 실현할 수 있는 강력한 ... ...
새봄 새싹 위에 펼쳐지는 작은
촛불
잔치
과학동아
l
199204
한창 무르익으면서 밤하늘 별들의 세계는 작은
촛불
잔치를 연상시킬 정도로 아늑하고 포근한 정경으로 바뀌어져 있다. 화려하게 빛나는 별은 드물고, 곳곳에 작은 별들이 어우러져 아름답고 특이한 모양으로 아기자기한 별자리들을 만들고 있다. 북두칠성의 빼어난 모습과 그 아래 세 개의 밝은 ... ...
시리우스가 간직한 두가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202
빛에 의해 밝게 빛나고 있다. 원추의 끝은 별빛으로 이글거린다. 이 모습은 마치 하늘의
촛불
이나 별을 이야기하는 신의 검은 혀와도 같다. 아마 밤하늘의 어떤 사진도 관측자의 마음에 이 정도의 경외와 존경심을 불러 일으키지는 못할 것이다. 이달의 행성금성새벽에 보이며 그 위치는 사수자리에 ... ...
우애 깊은 히아데스 형제들
과학동아
l
199112
쌍안경으로도 관측이 가능하나 대부분의 경우엔 망원경을 이용해야 8등급 정도의
촛불
불꽃 같은 희미한 안개 얼룩을 확인할 수 있다. 게성운의 크기는 만원의 1/6정도이며 목성의 6배 정도 크기이다. 따라서 달과 행성의 중간 크기이다. 그러나 불행히도 게성운은 망원경 상에서는 사진에서처럼 멋진 ... ...
피라미·지렁이·이끼가 사라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01
들자. 버려진 마른 우물속의 산소 유무(有無)를 탐지할 때 흔히
촛불
을 켜서 내려보낸다.
촛불
대신 작은 새를 내려 보내기도 한다.또 자연 동굴이나 인공터널 같은 땅굴을 탐험할 때 십자매가 든 새장을 들고 들어간다. 새가 못견디게 몸부림치거나 기운없이 쓰러지면 산소의 부족을 직감할 수 있기 ... ...
이전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