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초
캔
초
초불
등불
불빛
초롱불
d라이브러리
"
촛불
"(으)로 총 127건 검색되었습니다.
보일의 공기탄성 실험
과학동아
l
200505
미세한 공기가 그 속으로 빠르게 빨려들어간다고 설명했다. 보일이 만든 진공 속에서
촛불
이 꺼지고 새가죽는 것은 그 공간이 비었기 때문이 아니라 미세한 공기가 그 공간에서 소용돌이를 일으키기 때문이라는 것이 홉스의 생각이었다. 홉스의‘리바이어던’과 국가 권력에 대해서 공부하는 ... ...
우주에서 보낸 '핼러윈 데이'의 메시지
과학동아
l
200412
핼러윈 데이 축제의 대표적 상징은 호박의 속을 파고 도깨비 얼굴 모양으로 만든 뒤 안에
촛불
을 켜 놓은 ‘잭 오 랜턴’(Jack O’lantern)이다. 옛날 아일랜드에 잭이라는 술주정뱅이가 살고 있었는데, 어느날 술집에서 잭 앞에 그의 영혼을 데려가겠다는 저승사자가 나타났다. 잭은 저승사자에게 술을 ... ...
3. 인터넷 또다른 나를 만들다
과학동아
l
200409
이런 특성은 사이버 공간에 올라간 한줄의 메시지가 수천, 수만의 사람들이 모이는
촛불
시위로 나타나기도 하고 우연히 올라간 사진 한장이 얼짱, 몸짱 열풍을 일으키는 현상으로 나타니기도 한다. 사이버 공간, 정체성 연구의 시험무대 한편 이미지로 표현된 정체성은 집단 심리형성에도 영향을 ... ...
오르락 내리락 변덕쟁이 수면
과학동아
l
200406
공기가 많이 팽창해 공기 분자 사이의 간격이 더 멀어진다. 이때 비커를 덮으면 3개의
촛불
을 켠 비커 속 공기의 입자수가 가장 적어지고 기압도 가장 낮아진다. 즉 비커 밖의 대기압과 비교해서 기압차가 가장 크다. 결국 기압 차이만큼 수면이 상승하므로 양초의 수가 많을수록 수면이 높아지는 ... ...
2008년 한국 최초 우주인 탄생한다
과학동아
l
200403
순도가 획기적으로 높아져 성능이 지금보다 1백배 이상인 반도체도 생산할 수 있다.
촛불
도 길쭉하지 않고 동그란 모양이 되며 공기가 유입되지 않아 금방 스스로 꺼진다. 이런 현상을 바탕으로 연소 연구를 하면 자동차나 보일러 엔진의 연료효율을 높일 수 있는 단서를 얻을 것으로 기대된다.뿐만 ... ...
촛불
이 돌리는 미니 회전목마
과학동아
l
200402
되는 것이다.한편
촛불
의 불꽃 모양이 뾰족한 이유도 이런 대류현상 때문이다. 즉
촛불
의 열 때문에 뜨거워진 공기가 위로 계속 올라가면서 주변의 공기가 불꽃 아래로 모여들기 때문에 불꽃 모양이 위쪽을 향해 뾰족해지는 것이다.그러나 중력이 없는 상태에서는 이와 같은 대류현상이 나타나지 ... ...
크리스마스 트리 닮은 별무리의 사연
과학동아
l
200312
전나무 한그루를 집안에 들여서는
촛불
을 매달아 치장을 했다. 물론 요즘은 전구가
촛불
을 대신한다.우주에도 크리스마스 트리가 있다. 별명도 크리스마스 트리성단이다. 독일태생의 영국 천문학자 윌리엄 허셜이 1783년 영국 베스에 있는 자신의 천문대에서 발견한 천체다. 정식 명칭이 NGC2264라 ... ...
불지 않고
촛불
끄는 구리의 마술
과학동아
l
200310
뚝딱 실험 1 양초로 쓰는 편지■ 왜 그럴까?!물과 기름은 섞이지 않지만 물과 알코올은 잘 섞인다. 물과 알코올은 극성이고 기름은 무극성이기 때문이다. 즉 극성물질은 극성물 ... 가열된 구리전선은 불꽃의 열을 빼앗지 못하기 때문에
촛불
바로 위까지 가져가도
촛불
이 꺼지지 않는다 ... ...
동물실험으로 독살 판정한 선조들의 지혜
과학동아
l
200310
우산이란 빛을 가리되 너무 어둡게 하지 말라는 뜻으로 본다. 또 어두우면 빛을 비추되
촛불
처럼 중심 부위와 주변 부위의 차이가 큰 빛보다는 숯불처럼 넓은 부위가 비슷하게 밝은 빛을 권한 것이리라.2.독극물 검사의 경우증 독을 먹고 죽은 것을 검험할 때는 은비녀를 사용하는데, 조각수 ... ...
우주에서 벌어지는 기상천외한 실험
과학동아
l
200308
둥근 공 모양이다.
촛불
이 발명된지는 수천년이 지났지만, 놀랍게도 과학자들은 아직까지
촛불
이 타는 현상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바람을 살살 불어주면 불꽃이 강해지지만 훅 불면 꺼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연소과정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가장 단순한 조건에서 실험해야 한다. 즉 연료도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