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현
가망
d라이브러리
"
가능
"(으)로 총 13,089건 검색되었습니다.
[빅테크 기업들의 생성 AI 독주 속 START-UP 살아남는 방법] 포자랩스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것”이라며 “포자랩스의 음원 생성 모델은 어떤 결과물이 나올 것인지 예측, 제어가
가능
하다”고 강조했다. 생성된 결과물에 창작자의 의도를 반영할 수 있어야 인간과 AI의 진정한 협업이라는 게 그의 지론이다. 빅테크 기업들은 현재 음원 생성 AI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하고 있다. 하지만 ... ...
[과동키즈] "과학도의 역량은 어디서나 꼭 필요합니다”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이 추측의 증명에 평생을 바쳤죠. 그러던 중 쿠르트 괴델이 ‘참인 명제라도 증명이 불
가능
할 수 있다’라는 요지의 ‘불완전성 정리’를 발표하자 그는 절망에 빠집니다. 불완전성 정리는 라틴어로 ‘Ignoramus et ignorabimus(우리는 모르고 모를 것이다).’라는 격언으로도 유명합니다. 이 정리가 ... ...
[통합과학 교과서] 네로의 상태가 심상치 않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2호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은 증상이 발생한 이후 20일까지 다른 사람에게 세균을 전파할
가능
성이 있다”며 “마스크를 쓰고, 손을 잘 씻는 등 예방수칙을 지키는 게 중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 에필로그 네로는 각종 약을 처방받으며 절대 무리하지 말고 쉬어야 한다는 이야기를 들었어요 ... ...
소수가 나오는 범위에 집중한 가우스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선생님을 깜짝 놀라게 했다. 또한 대학 시절 정수론을 이용해 정십칠각형이 작도
가능
하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통계학과 사회과학에서 자주 사용하는 ‘정규 분포(평균값을 중심으로 좌우대칭인 분포)’를 발견한 것도 가우스다. 1801년에는 저서 를 써서 정수론을 체계적으로 ... ...
[과학뉴스 ]육식공룡 고르고사우루스 마지막 식사는 공룡 뒷다리!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통해 “고르고사우루스가 작은 먹이의 (살이 풍부한 부위인) 뒷다리만 먹었을
가능
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지금까지 티라노사우루스류 육식공룡의 성체는 일반적으로 거대 초식공룡을 먹는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이번 발견을 통해 티라노사우루스류 육식공룡은 청소년기에는 작은 공룡을 ... ...
Part2. 4족보행 로봇 AI에게 걸음마 배워 세상으로!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만들 수 있는 공장을 2023년 10월 경북 구미시에 지었습니다. 수요가 생기면 바로 양산
가능
한 셈이니 1~2년 내에는 국내 시장에도 로봇이 들어오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
[칼럼] AI 판사에게 꼭 필요한 능력은?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법률의 질의 응답, 이혼이나 상속에서 발생하는 재화 계산 등 여러 재판 도우미 서비스가
가능
하다. 현재 선진국들은 이런 유형의 AI 판사 개발을 검토하기 시작했다. 2023년 9월 싱가포르 법원은 세계 최초로 GPT 기반의 AI 판사 시스템을 구축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싱가포르 법원이 계획하는 이 AI ... ...
[빅테크 기업들의 생성 AI 독주 속 START-UP 살아남는 방법] 프렌들리 AI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배칭을 풀고, 완료된 명령은 빼고, 새롭게 들어온 명령을 포함해서 다시 배칭하는 것이
가능
하다”며 “생성 AI 트랜스포머 모델의 특징을 활용한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오르카 시스템에 사용된 배칭 기술은 2022년에 미국과 한국에 특허를 받았다. 유 CTO는 “GPT-3, 라마(Llama) 2 등 생성 AI 모델의 ... ...
고려시대 선박, 잠에서 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2호
들어 있었어요. 이를 근거로 연구팀은 해남선이 당시 곡물을 운반하는 용도로 쓰였을
가능
성에 무게를 뒀습니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해남선의 침몰 원인과 배의 정확한 용도를 밝히기 위해 구체적인 연구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 ...
소수를 사랑한 신학자 메르센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모른다고 생각했다. 무작위로 골랐을 때 비슷한 크기의 다른 홀수보다 소수일
가능
성이 훨씬 더 컸다. 하지만 메르센은 곧 이 생각이 틀렸다는 것을 알게 된다. 머지않아 n이 소수일 때 메르센 수가 모두 소수가 된다고 생각했다. 훗날 사람들은 메르센 수 중 소수인 수를 ‘메르센 소수’라고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