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능"(으)로 총 13,089건 검색되었습니다.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인공지능(AI) 그림도 예술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보호를 위해 아직은 인간의 생각과 감정이 표현된 창작물에 대해서만 저작권 등록이 가능하다는 이유였지요. 이렇게 인간의 고유 영역이라 믿어지던 창작 분야까지 AI가 파고들었다면, 인간이 설 자리는 없어질까요? 예술이란 그럴듯한 결과물을 만드는 것만이 아니에요. 우리가 마음으로 느끼고 ... ...
- 형태만큼 다양한 쓸모 , 로봇 트렌드 톺아보기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웨어러블 로봇을 착용한 모습을 영상으로 만날 수 있다. Go2 ⎪ 214만원으로 구매가능한 4족보행 로봇기사를 준비하며 만난 로봇 전문가들이 입을 모아 하는 말이 있다. “유니트리를 주목해야 한다.” 중국의 로봇 기업 유니트리 로보틱스가 2023년 7월 12일 공개한 4족보행 로봇 ‘Go2’를 두고 하는 ... ...
- Part3. 대규모 언어모델 AI 로봇 혁신할까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팜-세이캔 모델처럼 알아서 목표를 찾고 수행 순서를 정한다면 어떤 임무에도 적용이 가능해, 범용 AI 로봇 개발로 이어질 수 있다. 완벽하게 인간을 닮은 로봇 개발까지 가는 길 위에서 AI와 로봇공학의 위치를 보면, 로봇공학이 AI보다 뒤쳐진 것은 사실이다. 이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로봇공학은 ... ...
- [칼럼] AI 판사에게 꼭 필요한 능력은?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법률의 질의 응답, 이혼이나 상속에서 발생하는 재화 계산 등 여러 재판 도우미 서비스가 가능하다. 현재 선진국들은 이런 유형의 AI 판사 개발을 검토하기 시작했다. 2023년 9월 싱가포르 법원은 세계 최초로 GPT 기반의 AI 판사 시스템을 구축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싱가포르 법원이 계획하는 이 AI ... ...
- 사람에게 지문이 있다면, 반려견에겐 ‘이것’이 있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허용할 수 있게 하겠다고 발표했는데요. 반려동물 등록이 왜 중요한지, 어떻게 코 무늬로 가능한지 기자의 반려견, ‘뽀뇨’와 동행취재했습니다. “사람마다 지문이 다르듯이 강아지들은 코주름이 달라요. 애플리케이션(앱)을 열고 강아지의 코를 한 번 촬영해 보시겠어요?” 1월 5일 반려동물 ... ...
- [빅테크 기업들의 생성 AI 독주 속 START-UP 살아남는 방법] 포자랩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것”이라며 “포자랩스의 음원 생성 모델은 어떤 결과물이 나올 것인지 예측, 제어가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생성된 결과물에 창작자의 의도를 반영할 수 있어야 인간과 AI의 진정한 협업이라는 게 그의 지론이다. 빅테크 기업들은 현재 음원 생성 AI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하고 있다. 하지만 ... ...
- [과동키즈] "과학도의 역량은 어디서나 꼭 필요합니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이 추측의 증명에 평생을 바쳤죠. 그러던 중 쿠르트 괴델이 ‘참인 명제라도 증명이 불가능할 수 있다’라는 요지의 ‘불완전성 정리’를 발표하자 그는 절망에 빠집니다. 불완전성 정리는 라틴어로 ‘Ignoramus et ignorabimus(우리는 모르고 모를 것이다).’라는 격언으로도 유명합니다. 이 정리가 ... ...
- 과동 본문에 나오는 DOI’가 뭔가요?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이용하면 인터넷에서 쉽게 논문 원문을 찾아 읽어볼 수 있죠. DOI가 뭐길래 이런 일을 가능하게 할까요? DOI는 ‘Digital Object Identifier(디지털 객체 식별번호)’의 약자입니다. 한국 국민들에게 발급되는 주민등록번호처럼, 논문, 특허, 데이터 등을 구분할 수 있게 발급되는 디지털 식별번호죠. 즉, ... ...
- 소수가 나오는 범위에 집중한 가우스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선생님을 깜짝 놀라게 했다. 또한 대학 시절 정수론을 이용해 정십칠각형이 작도 가능하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통계학과 사회과학에서 자주 사용하는 ‘정규 분포(평균값을 중심으로 좌우대칭인 분포)’를 발견한 것도 가우스다. 1801년에는 저서 를 써서 정수론을 체계적으로 ... ...
- [COP28리뷰] 한국은 왜 ‘오늘의 화석상’을 받았나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기자의 질문엔 “현재 한국의 재생에너지 규모가 워낙 작아 3배를 확대하는 것은 가능할 것”이라고 추측했습니다. 기후 악당 한국? ‘오늘의 화석상’ 수상집한국은 COP28 6일 차인 2023년 12월 6일 노르웨이, 캐나다 앨버타주와 함께 ‘오늘의 화석상(Fossil of the Day)’을 28년 만에 처음으로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