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닥"(으)로 총 416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체모방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8호
- 들어 올리는 인공 근육을 만들 수 있다는 이론도 있고, 아주 얇은 탄소 나노튜브 여러 가닥을 그래핀과 합성하는 방법도 논의되고 있어요. 근육은 아주 얇은 실 형태의 근섬유가 다발처럼 묶여서 이뤄져 있는데, 이러한 형태를 모방하는 거지요. 만약 이러한 방법으로 인공근육이 개발된다면 훨씬 더 ... ...
- Part3. 미래엔 소프트웨어가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A, 보스턴은 B, 시카고는 C, 디트로이트는 D로 표기한다).➏A에서 출발하지 않은 가닥(ㄷ),(ㄹ)을 제거한다.➐전체도시를 한 번씩 거쳤을 때보다 긴 가닥(ㄴ)을 제거한다.➑각 도시가 포함되지 않은 가닥(ㄱ)을 제거한다.➒살아남은 가닥(ㅁ)을 복제한다.➓(ㅁ)의 DNA서열을 읽어낸다. 양자 소프트웨어는 ...
- PART 2. 화학상 DNA가 끈질긴 생명력을 지닌 이유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찾아온다. 제한 효소는 메틸기가 붙은 DNA 가닥을 원본으로 인식하고, 메틸기가 없는 다른 가닥에서 잘못된 부분을 잘라낸다. 이후 여러 효소들이 협동해 염기쌍을 정상적으로 복구한다.모드리치 교수는 이 중요한 복구 시스템을 구성하는 효소 단백질들의 정체를 밝혀내고 그 특성을 중점적으로 ... ...
- Part 2. 물거품은 매듭을 알고 있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다항식에서 변수를 그 변수의 역수(곱해서 1이 되는 수. x의 역수는 1/x다.)로 모두 바꾸면 가닥의 위아래를 모두 뒤바꾼, 거울속 매듭의 식이 된다. 원래 매듭의 존스 다항식과 거울에 비친 매듭의 존스 다항식이 다르면 원래 매듭을 아무리 움직여도 거울 속 매듭으로 만들 수 없다. 모든 매듭을 ... ...
- 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자유로운 나선가닥이 아니라 히스톤에 묶인 염색체 형태로 존재한다. 플레이트 위의 DNA 가닥을 바탕으로 한 실험과 실제 세포에서 한 결과에 차이가 생긴 것도 이 때문이다. 예를 들어 실험실 조건의 DNA에서는 증폭자가 자기가 원하는 곳에 언제든지 정확히 결합할 수 있었지만, 세포에서는 이 ... ...
- PART 3 딥러닝, 인공지능을 혁신하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세포체 주변을 둘러싼 나뭇가지 모양의 수상돌기로 전달된 뒤, 길게 뻗어 나온 섬유 가닥인 축삭을 통해 축삭말단으로 이동한다. 인공신경망도 비슷하다. 데이터가 입력단(수상돌기)을 통해 들어오면 노드(세포체)로 할당돼 분석된 뒤, 계산된 값이 출력단(축삭)에 나타난다. 특정 뉴런이 활성화되는 ... ...
- Part 1 번개에 대한 진실 BEST 3수학동아 l2015년 07호
- 굵기가 서로 같을 수도 있고, 한쪽이 훨씬 더 굵을 수도 있다. 원래 줄기에서 가느다란 한 가닥이 튀어나온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루는 두 갈래가 같은 굵기일 경우, 원래 줄기와 이루는 각도가 서로 같다고 설명했다. 만약 굵기가 다르다면, 가느다란 쪽이 더 큰 각도로 휜다. 원래 가지에서 아주 ... ...
- 수학이 불러온 생물학 혁명수학동아 l2015년 07호
- 과학자들은 DNA가 이중나선구조일 때 가장 효율적이라는 사실을 수학적으로 알아냈다. 두 가닥이어야만 하나가 망가졌을 때 유전정보를 지킬 확률이 높아진다. 기하학적으로 보면 유전자를 발현시키기 위해 이중나선이 나뉘었다가 다시 붙을 때 엉키지 않는다.이렇게 수학은 생명체에 대한 자료를 ... ...
- [생활] 대구 대명중 김동우 선생님 친구와 함께 걷는 수학수학동아 l2015년 06호
- 스크린에 수타짜장면을 만드는 요리사가 등장했다. 도마에 밀가루 반죽을 치댈수록 국수 가닥이 늘어났다. 몇 번의 과정이 반복되자, 익숙한 모습의 면발이 완성됐다. 김동우 선생님이 영상을 멈추고 학생들에게 질문을 던졌다.“자, 지금까지 만들어진 짜장면의 면발 개수를 맞혀 보세요 ... ...
- [과학뉴스] 팝콘이 ‘타닥’ 튀어오르는 물리적 이유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낟알은 170℃에서 34%, 180℃에서 96%가 튀어 올랐다. 이 때 껍질을 뚫고 튀어나온 전분 가닥이 마치 체조 선수 다리처럼 바닥을 박차고 낟알을 튕겨낸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연구팀은 “팝콘은 씨앗에서 싹이 뚫고 나오는 식물의 행동방식과, 근육을 써서 점프하는 동물의 행동방식을 모두 이용한다”고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