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닥"(으)로 총 416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머리는 사람, 몸은 기계 다시 깨어난 사이보그 전사 알리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만드는 것이다. 하지만 알리타는 가이드 헤어를 쓰지 않았다. 머리카락 한 가닥 한 가닥을 전부 따로 계산해 처리했다. 알리타의 큰 눈에 선명하게 보이는 홍채 주름도 하나씩 전부 따로 계산했다. 김 슈퍼바이저는 “홍채의 경우 과거 ‘반지의 제왕’에 나왔던 골룸에 비해 320배 더 정밀하게 ... ...
- [통합과학 교과서] 동화나라가 위험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끊어져 바닥까지 곤두박질치는 사고는 거의 일어나지 않아요. 보통 로프는 강철선 19~36가닥을 꼬아 묶음을 만들고, 이를 여러 개 합쳐서 만들어요. 강철선은 엘리베이터에 사람이 꽉 찼을 때 무게의 12배 정도까지 버틸 수 있도록 설계되어 웬만한 하중에도 끄떡없고, 일부러 끊으려면 거대한 ... ...
- [통합과학 교과서] 전세계를 거미줄처럼 연결한다?! 해저 케이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실수로 잘리거나 물고기의 공격으로 고장 나는 일도 많았답니다.이후 광섬유를 여러 가닥 묶은 광케이블이 개발됐어요. 광섬유는 빛을 이용해 통신 신호를 전달하는 물질로, 머리카락 굵기의 가느다란 유리로 이루어져 있어요. 이 유리에 특정 각도 이상의 빛을 비추면 빛이 밖으로 새어나가지 않고 ... ...
- [가상인터뷰] 거미가 하늘을 날 수 있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산들바람이 불면 크랩거미는 꽁무니에서 보통의 거미줄보다 훨씬 가는 거미줄을 50~60가닥 풀어서 바람을 타고 날아가는 거지.하지만 이걸로 모든 비밀이 밝혀진 건 아니야. 보통거미는 바람이 잔잔하게 불 때만 하늘을 나는데, 잔잔한 바람은 거미를 날려 보내기 너무 약하거든. 알리: 그럼 비행의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광섬유 케이블 두 가닥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내시경을 환자의 몸 속에 넣고 케이블 한 가닥의 끝에 빛을 비추면, 광섬유를 따라 전반사된 빛이 몸속을 밝혀요. 이 빛이 몸속을 비춘 다음 다른 광섬유 케이블을 통해 몸 밖으로 나온답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몸속을 볼 수 있어요. 빛은 직진하는 ... ...
- 화학상 - 효소와 항체 생산의 진화를 이끌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단백질이 표지된다. 현재는 단일가닥 DNA 대신 ‘파지미드(phagemid)’라고 불리는 이중가닥의 원형 DNA에 파지의 외피단백질 유전자 일부와 원하는 단백질 유전자를 결합해 세균에 삽입한 뒤, 도우미 바이러스가 박테리아를 감염시키도록 해 우리가 원하는 파지를 생산하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 ...
- [Culture] 신과 함께? CG와 함께! 지옥과 현실을 잇는 컴퓨터그래픽과학동아 l2018년 09호
- 또 “2편에 등장하는 호랑이의 경우 가이드 커브를 약 4000개만 사용해 수십 만 가닥에 이르는 털의 움직임을 사실적으로 표현했다”며 “이런 동물 CG 작업은 3개월 정도 걸린다”고 말했다. 나무하나로산표현,스캐터링툴‘신과함께’ 1편의 백미는 지옥이다. 7가지 죄악에 따라 불, 물, 모래, ... ...
- 신과 함께? CG와 함께!수학동아 l2018년 09호
- 생각보다 간단하다고요? 노노, 게임은 지금부터 시작입니다. 온 몸에 털이 한 가닥만 있는 생물은 없으니까요. 이제 이런 털을 수백만 개 만들고 움직임을 제어해야 해요. 게다가 털이 어떤 방향으로 표면에 붙어있게 할 건지, 어떻게 움직이게 할 건지 결정할 또 다른 공식이 필요하죠. 강원철 ... ...
- [Future] 랍스터 하나 주문이요~ 음식도 3D 프린팅 시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생성된 실은 철 와이어나 실패에 둘둘 감겼다. 나중에 이 실패에 감겨 있는 실을 한 가닥씩 뽑아내 한 층 한 층 쌓아 3D 프린터로 인쇄하면 음식이 탄생한다. 원래 끈끈한 성질을 갖고 있어 원하는 구조를 만들기 쉽고, 인쇄한 뒤 말리면 형태를 유지한 채 굳는다.액체 상태의 푸드 잉크를 만드는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이를 확인하기 위해 먼저 유전자 X의 RNA 염기서열과 짝을 이룰 수 있는 짧은 DNA 또는 RNA 가닥을 만듭니다. 이것을 탐침이라고 하는데요. 여기에 형광물질을 더해줍니다. 이후 배아를 구성하는 세포 속 물질들이 움직이지 않도록 화학처리를 합니다. 그리고 여기에 준비한 탐침을 넣습니다. 그러면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