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낱개
갈래
가락
겹
d라이브러리
"
가닥
"(으)로 총 416건 검색되었습니다.
[통합과학 교과서] 십 리도 못 가서 쥐가 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9호
따라 수십 센티미터까지 자라기도 하지요. 근섬유는 다시 수많은 근육 원섬유
가닥
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근육이 수축과 이완을 하는 비결은 근육 원섬유 덕분이죠. 근육 원섬유가 줄었다, 늘었다 하면서 근육이 움직입니다.기다란 근육 원섬유를 자세히 살펴보면 여러 마디로 나누어져 있어요. ... ...
[헷갈린 과학] 하나는 두
가닥
, 하나는 한
가닥
?DNA VS RNA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9호
C)의 네 가지 염기를 가지고 있어요. 티민 대신 우라실이 들어가 있죠.RNA의 다른 특징은
가닥
이 두 개가 아니라 한 개라는 점입니다. DNA처럼 이중나선을 만들지 않기 때문에 정보를 담고 있는 염기들이 바깥에 노출되어 있어요. 그래서 DNA보다 수명이 짧아요.RNA는 DNA의 심부름꾼 분자로 다양한 일을 ... ...
[가상 인터뷰] 아빠의 흰머리, 검게 되돌릴 비법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4호
머리 색을 가진 14명의 사람을 대상으로 실험했어. 실험자들은 몸 곳곳에 난 털을 여러
가닥
씩 뽑고, 지난 1년간의 기억을 더듬은 일기까지 새로 써서 같이 제출했어. 일기를 쓰는 게 실험에 포함돼?머리카락은 1달에 평균 1cm 정도 자라. 그래서 연구팀은 스트레스 상황을 일기 속에서 파악하고, 그 ... ...
[과학뉴스] 공룡 대퇴골 핵 속에 남겨진 유기분자
과학동아
l
2021년 11호
원형의 보라색 구조와 짙은 보라색 실
가닥
이 관찰됐다. 원형 구조는 세포핵, 실
가닥
은 염색질이었다. 염색질은 DNA가 히스톤 단백질과 결합된 형태로 존재하는 구조다. 다만 이번 분석에 찾아낸 염색질 내에 DNA 잔해가 남아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바이을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로 공룡 화석에 ... ...
도시 새의 둥지 짓기 프로젝트 │ 아늑한 내 집, 뭘로 만들까?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사용하거나, 땅에 떨어진 동물 털을 모은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떨어진 털을 한
가닥
씩 모아 둥지에 쓰는 건 경제적이지 못합니다. 폴록 연구원은 “살아있는 포유류에서 털을 직접 뜯어오는 것이 흩어져 있는 털을 모으는 것보다 품이 덜 들 것”이라며 “직접 뜯는 편이 훨씬 더 많은 털을 ... ...
[DGIST@융복합 파트너] 식물에게 듣는 노화의 비밀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꼽힌다. 노화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우 교수팀은 모델 식물인 애기장대의 잎에 DNA 이중
가닥
절단(DSBs)이 생기도록 했다. 그 뒤 이를 수리하는 효소(ATM)의 활성과 노화가 얼마나 관련이 있는지 확인했다. 그 결과 ATM의 활성이 떨어지면 잎이 노랗게 변하는 등 노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현상을 ... ...
[화보] 꽃과 나무가 전부 이 안에! 현미경으로 본 자생씨앗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8호
만든 뒤 아주 가느다란 전자 빔을 쐈어요. 이렇게 하면 씨앗에 매달린 수염 같은 털
가닥
까지 볼 수 있지요. 다만 흑백 사진처럼 보이기 때문에 여기에 씨앗의 원래 색깔이나 자라서 꽃이 됐을 때의 색깔을 나중에 덧입힙니다. 어떤 씨앗 사진이 가장 기억에 남나요? 두메부추처럼 모양이 독특한 ... ...
[수담수담] 수학 원리를 꿰뚫는 공부법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21년 08호
대뜸 “수학은 예술과 통하는 학문”이라고 답했습니다. 그는 “화가 이중섭이 단 몇
가닥
의 선으로 황소를 표현한 것을 볼 때마다 깜짝 놀란다”며 “예술가들은 사물이나 자연을 보고 그 핵심을 뽑아내는 능력이 있는데 수학을 잘 하려면 바로 이런 추상화 능력을 키워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조 ... ...
[한페이지 뉴스] 콩으로 만든 ‘비건 플라스틱’ 나왔다
과학동아
l
2021년 07호
연결된 단백질 구조가 풀어지도록 만들었다. 이후 용액의 온도를 다시 낮춰 단백질
가닥
이 수소결합으로 촘촘히 연결돼 나노미터 규모로 재조합하도록 했다. 하이드로겔 형태로 재조합된 단백질을 말리자 투명하고 얇은 필름이 형성됐다.연구팀이 개발한 이 필름은 마치 플라스틱으로 만든 ... ...
신속PCR 쟁점 3가지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검사 역시 기술적인 한계로 정확도가 낮을 가능성이 높다. 열역학적으로 온도를 올려 DNA
가닥
을 분리하는 과정이 있는 PCR보다 낮은 온도에서 프라이머와 DNA 중합효소가 결합해 DNA를 증폭하는 LAMP는 반응이 시작될 확률이 더 낮다. 박건수 한국화학연구원 CEVI(신종 바이러스 감염 대응) 융합연구단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