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경우"(으)로 총 12,899건 검색되었습니다.
- 피자를 공평하게 먹는 방법! 피자 정리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부분의 피자 총량보다 많았다. 피자를 3회 이하로 자르면 선들이 원의 중심을 지나는 경우에만 총량이 같았다. 만약 선들이 원의 중심을 지나지 않는다면, 원의 중심이 들어 있는 색깔의 총량이 훨씬 많았다. 두 수학자는 원의 중심을 지나도록 선을 긋거나 짝수 번 자르면 서로 마주 보는 조각끼리 ... ...
- 멋진 증명을 가리키는 말, 신의 증명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수 있는데요. 좀 더 어려운 문제에 대한 신의 증명을 찾아내는 건 쉽지 않아요. 이런 경우엔 보통 신의 증명과는 거리가 먼 증명이 먼저 발견되고, 그 후에 여러 사람이 많은 시간에 걸쳐 생각한 뒤 신의 증명이라 불리는 놀라운 증명이 나오기도 해요. 그 대표적인 예가 평면 지도에 있는 모든 ... ...
- [이달의 과학사] 1915년 1월 5일 우유갑 특허 승인. 우유, 유리병이 아닌 종이에 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덕분에 사람들은 우유를 가벼운 용기에 담아 손쉽게 운반할 수 있었습니다. 또 유리병의 경우 병을 재사용할 때 제대로 세척하지 않으면 세균이 남아 질병을 일으킬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는데 이 문제 역시 해결되었죠. ... ...
- [과학뉴스] 복잡한 로봇 손 ‘한 번에’ 인쇄하는 3D 프린팅 기술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긁어내 제거하는 작업이 진행된다. 그런데 티올렌처럼 느리게 굳는 재료를 사용할 경우, 이 작업을 진행할 때 잘라낸 요철 찌꺼기가 장비에 달라붙는 문제가 발생한다. 연구팀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애초에 요철이 만들어지지 않는 3D 프린터를 개발했다. 3D 프린터에 3D 레이저 스캐너를 결합해 ... ...
- [특별기획] 중요한 일은 표면에서 일어난다 '금속 표면처리'과학동아 l2024년 01호
- ” 미래 - 도금 공장에 부는 친환경 바람 “표면처리 기술은, 자동차 손잡이의 경우 내구성과 마모성, 광택은 물론 잡았을 때의 질감까지도 도금을 통해 조절할 수 있을 정도로 발전했습니다.” 김 본부장은 설명했다. 그렇다면 표면처리 기술은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발전해야 할까. MKS 아토텍 ... ...
- [SF소설] 더 마더(THE MOTHER)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존재하는 경우들. 거리의 멀고 가까움에 상관없이 서로 통하는 그 무언가를 발견하는 경우 말이다.이런 연결이 아원자의 세계에도 존재한다. 고로 한쪽 입자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면 즉각적으로 10억 광년 바깥에 있는 다른 입자에서도 그 변화가 나타난다. 이들 사이의 공간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 ... ...
- 포장의 달인 소시지 추측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정말 소시지 모양이 항상 나을지 증명하는 것은 오랜 시간 난제로 남아 있었다. 4차원의 경우, 구가 5만 개 이하일 때는 소시지 모양으로 포장하는 것이 최소 부피라는 것이 밝혀졌다. 하지만 10만 개가 넘어가면 벌집 모양으로 배열하는 것이 나았다. 그렇다면 4차원의 경계는 얼마일까? 그건 아직 ... ...
- 치킨은 피보나치 수로 주문하자!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답이 없다는 것. 즉 피보나치 수열에는 없는 자연수가 많다. 다행히 서울대 학생은 이 경우에도 해답을 제시했다. 이름도 낯선 ‘제켄도르프 정리’를 이용해 피보나치 수로 분해해 시키라는 것이다. 제켄도르프 정리는 모든 자연수는 하나 이상의 연속하지 않는 피보나치 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속았지? 콜라인 듯 콜라 아닌 비밀 간식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재현하는 것입니다. 기존 인공 피부는 연구자가 피부 위에 일일이 각질층을 만드는 경우가 대다수였습니다. 그러면 각질층이 고르게 형성되지 않고 빈 공간이나 뭉치는 부분이 생겨 새로운 제품을 제대로 시험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어요. 김병수 교수팀은 온도에 따라 액체와 겔 상태를 왔다 갔다 ... ...
- [이달의 책] 재난에 맞서는 과학: 오늘의 과학 탐구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그러고 살아?” 영화나 드라마에 종종 나오는 대사다. 좋거나 바람직한 장면에서 나오는 경우는 물론, 없다. 최악의 행동을, 그것도 반복하는 인물들이 이 말을 듣는다. 대부분 저 질문의 의도는 최악의 행동을 해서는 안 된다는 훈계다. 최악의 인물을 보는 사람들도 그 의도에 동조한다. 행동의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