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고대"(으)로 총 1,939건 검색되었습니다.
- [냠냠! 어수잼] 할아버지 얼굴에 하루 24시간이!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1호
- 수 있겠구나. 내 얼굴의 비밀을 알려주마. 60을 한 묶음으로! 수학에 관심이 많았던 고대 바빌로니아인들은 60을 신비로운 수라고 생각했어요. 60의 약수는 1, 2, 3, 4, 5, 6, 10, 12, 15, 20, 30, 60으로 12개나 되거든요. 그래서 한 묶음의 단위를 60으로 계산했어요. 1시간을 60분으로 정한 것도 ... ...
- [출동! 슈퍼M] “가위로 원을 자르는 건 왜 어렵나요?"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0호
- 역사적인 가위인 셈이에요. 오늘날 우리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X자 모양 가위는 1세기경 고대 이집트인들이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요. 가운데 하나의 점을 기준으로 2개의 날을 교차해 물건을 자르는 방식이지요. X자 모양 가위는 차츰 서양뿐 아니라 중국, 일본 등 동양까지 널리 알려지게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그 누구보다 빠르게 내려간다! 사이클로이드 미끄럼틀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0호
- 수 있는 ‘사이클로이드’이기 때문입니다. 사이클로이드는 ‘바퀴’라는 의미의 고대 그리스어에서 나온 표현으로, 동그란 바퀴 위의 한 점이 굴러가면서 그리는 곡선입니다. 수학적으로 표현하면 한 원이 일직선 위를 굴러갈 때, 이 원의 원둘레 위의 한 점이 그리는 자취가 사이클로이드죠. ... ...
- [통합과학 교과서] 제우스의 번개 놀이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9호
- ”고대 그리스의 한 마을에 도착한 꿀록 탐정과 개코 조수 주변으로 귀가 떨어질 듯한 천둥과 함께 엄청난 번개가 내려쳤어요. 곳곳에 내려치는 번개에 건물이 무너지고 나무가 불에 타고 있었죠.“으악, 사람 살려~!”당황한 꿀록 탐정 곁으로 어느새 그리스 시민 한 명이 다가와 사정을 털어놨어요 ... ...
- [특집] 마법사 0의 탄생 비밀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8호
- 거리를 구하는 방법이에요. 용어설명 쐐기문자★ 점토 위에 갈대 등으로 새겨 쓴 고대 문자예요. 문자 모양이 쐐기(침이나 핀처럼 끝이 날카롭게 생긴 물건)를 닮았어요.유적★ 과거에 살던 사람들이 남긴 물건이나 건축물 등의 자취를 말해요.세기★ 100년을 기a준으로 세는 시간의 단위예요. ... ...
- [냠냠! 어수잼] 떡 하나 줄게, 달을 알려줘!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7호
- 값인데도 크게 다르지 않아요. 히포크라테스의 초승달 지금으로부터 약 2500년 전,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히포크라테스는 초승달 모양 도형의 넓이가 궁금했어요. 하지만 곡선으로 이뤄진 도형은 자로 재서 넓이를 구하기 어려웠지요. 그래서 직선으로 이뤄져 있으면서도 초승달 모양과 넓이가 ... ...
- [특집] 물 위로 둥둥~! 잘 뜨는 법칙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6호
- 같아요. 부력은 물체가 물속에서 차지하는 부피만큼의 물 무게와 같지요. 이러한 법칙은 고대 수학자 아르키메데스가 발견했기 때문에 아르키메데스의 원리라고도 불러요. 밀도와 부력의 원리가 합쳐져 쇠로 만든 아주 무겁고 커다란 배도 물 위에 안정적으로 뜰 수 있는 거예요 ... ...
- [기획] 모낭충 300만 년 전부터 인류와 동거동락♥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6호
- 현생인류의 여행에 함께했을 가능성이 높다”며, “모낭충은 그냥 벌레가 아니라 인류의 고대사를 들려주는 스토리텔러”라고 말했어요. 트라우트웨인 연구원은 인류와 모낭충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2021년까지 2000명 이상 참가자의 모낭충을 모아 후속 연구를 했답니다. ●인터뷰마이클 팔로폴리 ... ...
- [특집] 우주에서도 그림자 발견!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5호
- 탐정이 되어볼까?”태양이 만든 그림자지구가 둥글다는 사실은 어떻게 처음 알았을까요? 고대 그리스의 과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지구의 그림자를 보고 지구가 둥글다는 증거를 찾아냈어요. 아리스토텔레스는 그림자가 어떤 대상의 모양 그대로 나타난다는 것을 알고 있었거든요. 그래서 월식 때 ... ...
- [똥손 수학체험실] 난…, 빨대로 노래하지♬ 팬플루트 만들기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5호
- 길면 진동수가 적어져서 낮은음이 나요. 이 성질을 발견하고 음악에 적용한 사람이 바로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피타고라스랍니다. 피타고라스는 소리의 높낮이에 일정한 비*가 있다는 걸 알아냈어요. 이 비에 맞춰 관의 길이를 자르면 일정한 높낮이의 음을 낼 수 있지요. 예를 들어, 계이름 ‘도’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