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곧"(으)로 총 3,232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풍성한 소리를 끊김 없이! 고무장갑 백파이프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길이에 따라 소리의 높낮이가 달라지는 관악기와는 달리, 카주는 연주자의 목소리가 곧 악기 소리가 됩니다. 쉽게 말하면 노래를 불러서 연주하는 악기죠. 카주를 입에 물고 “뿌” 하며 목소리를 내면, 목소리의 떨림이 얇은 진동판에 전해지며 피리 소리와 비슷한 밝은 소리가 납니다.빨대 ... ...
- [기획] 이메일 지우면 디지털 탄소발자국 줄어들까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산업이 판매에 제한을 받고 투자를 받기도 힘든 방향으로 바뀌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곧 기업이 디지털 탄소발자국을 줄이도록 정책적 개선도 필요하다는 뜻이다. 두 번째 이유는 앞으로 디지털 탄소발자국의 크기가 훨씬 커질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다. 2018년, 롯파이 벨키르 캐나다 맥마스터대 ... ...
- [과동키즈] “과학자의 현장은 생각보다 다양합니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되고 싶다는 마음이 커졌다. 보다 글로벌한 인간이 되고 싶다는 뜻이기도 했다. 기회는 곧 찾아왔다. 당시 공동연구를 하던 미국 하버드대의 바히드 타록 교수팀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일하게 됐다. 한국 학술진흥재단의 지원금을 받아 30대 초반이라는 다소 늦은 나이에 미국으로 향했다. 새로운 ...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AI 전투용병 ‘정이’ 현실 가능한 기술은?과학동아 l2023년 02호
- AI 전투용병을 개발하려 합니다. ‘정이’의 고통 수치를 낮춘 것은 광유전학?뇌 복제는 곧 ‘영생’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불로초를 찾는 게 쉬운 일은 아닙니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결정적으로, 뇌를 복제하기 위해서는 뇌를 구성하는 신경세포인 뉴런들의 활성화 패턴을 완벽하게 파악해야 ... ...
- [5년 후, 과학은] 의생명과학과 공학의 경계, 조직공학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전자소자, 바이오 센서, 바이오 칩과 같은 인접 분야의 기술과 결합해 더욱 진화할 날이 곧 올 겁니다. 조직공학의 개념이 학술지에 소개된 지 30년이 지났습니다. 정교한 생명을 다루는 낯선 분야의 성공 여부를 평가하기엔 매우 짧은 시간입니다. 실험실에서 이룬 조직공학의 성과가 병원에서 ... ...
- [SF소설] 나의 채티에게과학동아 l2023년 02호
- 했는지 알아? 깔깔깔, 그리고 정적. 진짜 하고 싶은 말은 따로 있었다.‘채티, 나 사실 곧 죽어. 어떻게 ‘생각’해?’그래서 채티가 이렇게 물었을 때 놀랄 수밖에 없었다. - 나나, 하고 싶은 말이 뭐야? 한동안 그 자리에서 꼼짝할 수 없었다. 숨이 콱 막혔다. 왜 하필 지금이야? 채티에게 묻고 ... ...
- [광고] 2050 탄소제로시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요즘 하루가 멀다고 듣는 말이죠? 그래서 오히려 위기가 느껴지지 않는 말이기도 합니다. 곧 다가올 미래지만, 해결법을 찾지 못해 애써 외면하고 있는 불편한 현실! 이런 기후위기와 탄소중립에 대해 고민해 볼 수 있는 ‘2050 탄소제로시티’가 국립부산과학관에서 열리고 있어요 ... ...
- 2mm 캡슐이 만들어낸 커다란 도약과학동아 l2023년 02호
- 4개가 융합해 1개의 헬륨 원자핵을 만든다. 이때 질량이 미세하게 줄어드는데, 이것이 곧 핵융합으로 발생하는 에너지다. 아인슈타인의 그 유명한 공식 ‘E=mc2’에 의해 사라진 질량이 에너지로 바뀌기 때문이다. 1939년 미국의 핵물리학자 한스 베테가 이를 발견한 뒤 인류는 지구에서 핵융합을 ... ...
- [한승전의 ‘초(超)재료’] 초효율 전기모터 구현할 초자성 금속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전기의 흐름(전류)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이후 과학자들은 전자의 움직임이 곧 전류라는 데 착안해, 원자 하나하나가 자석이 될 수 있음을 깨달았다. 원자핵을 중심으로 전자가 회전할 때, 전자의 이동 방향과 반대로 전류가 발생하고, 그 결과 자기장이 유도되는 원리다. 전자는 원자핵 ... ...
- [게임으로 과학 한 판!]교통공학자랑 도로 건설 게임을 해봄 Freeways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목적지에 따른 교통량도 다릅니다. 이 변수를 생각하지 않고 길을 마구 건설하면 곧 ‘jammed!(막힘!)’라는 문구와 함께 빽빽이 막힌 차량 행렬을 볼 수 있을 겁니다.최적의 길을 만들기 위해 기자는 서울대 교통연구실의 최준희 석사 연구원에게 도움을 청했습니다. 최 연구원은 일주일 동안 게임을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