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하학"(으)로 총 1,041건 검색되었습니다.
- [김영훈 교수가 들려주는 허준이 교수 업적] 벡터 공간까지 범위를 넓히다! 로타의 추측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바로 사영다양체의 교차이론에서 나오는 고유의 성질들을 확립한 것은 현재의 대수기하학의 토대를 더욱 확대할 수 있음을 이야기합니다. 비유하자면 화성(조합론, 매트로이드)에서 얼음(호지-리만 관계)을 발견한 것인데, 이는 화성에도 생명체(기하학 구조)가 존재 가능함을 암시합니다. 도식으로 ... ...
- [특별기고] 한국 수학의 발전을 기원하며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배우는 기회가 됐습니다. 더불어 김 교수와 히로나카 교수를 통해서 배운 대수기하학적인 사고는 이후에 조합론 분야에서 다른 학자들이 가지지 못한 그만의 비장의 무기가 됐지요. 우리나라에서 정부 주도로 운영된 세계적 석학 초청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는 후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히로나카 ... ...
- 주목! 한국 수학계를 이끌 차세대 수학자는?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방향입니다. 김현규 교수는 수리물리에서의 다양한 수학적 대상을 미분기하학, 대수기하학, 위상수학, 대수학, 조합론 등 다양한 분야와 연결지어 연구합니다. ‘모듈라이 공간’이라고 부르는 기하 구조를 연구하는데 수학의 여러 분야들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기 때문이에요. 김 교수는 본인의 ... ...
- 확률론 방식으로 통계물리의 모형 연구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이러한 격자 모형의 성질을 연구하는 것이 현대 확률론의 주요 분야가 됐고, ‘확률 기하학’이라는 새로운 분야의 출현으로 이어졌습니다. 2000년대에 이 분야를 이끈 대표적인 수학자로 오데드 슈람, 벤델린 베르너 스위스 취리히연방공과대학교 교수, 그레고리 롤러 미국 시카고대학교 교수, ... ...
- [킹앤유] 확률로 물리 현상을 밝히다! 벤델린 베르너수학동아 l2022년 08호
- 확률 이론을 결합해 규칙별 무작위 행보마다 가질 기하학적 특성과 2차원 브라운 운동의 기하학적 특성을 연구했어요. 베르너 교수의 이러한 연구는 물리학에서 관심있는 주제인 ‘두 개의 상이 맞닿아 있는 물질의 경계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연구하는 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어요 ... ...
- [수학자의 세계로] 수학자의 세계로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발표가 끝난 뒤, 세르게이 포민 미시간대 교수가 “우리 학교는 조합론과 대수기하학을 연구하는 교수들이 많아서 수학자로 성장하기 좋을 거다”라면서 미시간대로 옮길 것을 제안했어요. 그래서 학교를 옮겼습니다. 사실 2009년에 미시간대 박사과정에 지원했었는데 떨어졌거든요. 이 사실을 ... ...
- [김영훈 교수가 들려주는 허준이 교수 업적] 조합 대수기하학의 새 장을 열다!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난제를 다수 해결해 ‘조합 대수기하학’의 아이콘이 됐지요. 허 교수의 특기는 대수기하학에 대한 강력한 직관에 바탕을 두고 조합론의 난제를 공략하는 것입니다. 두 분야 모두에 정통한 수학자만이 시도할 수 있는 매우 어려운 연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수학자들은 난제를 추측의 형태로 ... ...
- 수학 선진국으로의 도약! 앞으로 한국 수학은?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 2006 ICM에서 처음 황준묵 기초과학연구원(IBS) 복소기하학 연구단 단장, 김정한 고등과학원 교수, 오용근 POSTECH 교수가 초청강연을 한 이후 꾸준히 ICM 강연자가 나오고 있습니다. ICM에는 20개의 분야마다 10명 정도의 초청강연자가 있는데, 이는 그 분야에서 세계적인 ... ...
- [특집] 포인트만 딱딱! ICM 관전 포인트수학동아 l2022년 07호
- 동안 연구한 랭글랜즈 프로그램의 결과를 이번 강연에서 발표할 예정”이라며, “특히 기하학 및 정수론과 연결지어 설명할 것”이라고 말했어요. 랭글랜즈 프로그램이란 수학의 서로 다른 분야를 가로지르면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현상과 그 연관성을 연구해 수학을 통합하는 작업이에요. 관전 ... ...
- [수학자 가상인터뷰] 빙~빙~ 돌아가는 ‘뫼비우스의 띠’처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7호
- 당신이 바로 ‘뫼비우스의 띠’의 그 뫼비우스?!네, 바로 저예요! 뫼비우스의 띠는 안과 밖을 구별할 수 없는 모양이지요. 띠의 어느 한 지점에서 ... 하지만 내 사전에 포기는 없었죠! 계속 수학을 연구해 선과 면 등 도형을 연구하는 분야인 ‘기하학’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답니다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