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깥양반
남자주
서방
주인
아내
바깥분
어른
d라이브러리
"
남편
"(으)로 총 36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엄마가 되면 뇌는 더 똑똑해진다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몰랐을 정도였죠. 그런데 지금은 아이의 조그만 ‘앵’ 소리에도 잠이 깨답니다. 옆의
남편
은 쿨쿨 자고 있는데 말이죠.”(3살 딸을 둔 30세 여성)“아이 둘을 키우다보니 매 순간마다 머릿속에서 자연스럽게 시간을 분배하는 습관이 생겼습니다. 처녀 때는 엄두도 못 냈을 여러 가지 일들을 해내는 저 ... ...
PART 2. 교통사고·도난사고 모두 막는다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있는 자동차의 문을 연다고? 원격 시동기의 신호가 태평양을 건너갈 정도일까. 곧이어
남편
이 만지작대는 것은 스마트폰. 몇 개의 버튼을 누르자 거짓말처럼 자동차 트렁크가 열린다. 최근 자동차 광고에 등장하는 한 장면이다.‘오너’가 아니면 멈춰버린다수천km 떨어진 곳에서도 자동차 문을 ... ...
잡생각 많은 당신, 걱정하지 마세요!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발달했기 때문에 문화를 꽃피울 수 있었다. 주방에서 요리를 준비하는 아내를 바라보는
남편
의 자기투영 관점이다. 기억과 조망, 마음의 이론이 일어날 때 뇌가 활동하는 영역이 거의 비슷한데 디폴트 네트워크와 겹친다.기억하지 못하면 상상하지도 못해미국 하버드대 심리학과 랜디 버크너 교수는 ... ...
남자를 지켜줘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크다. 게다가 남자가 권력을 지닌 만큼 부부의 언어가 서로 달랐을 때는 자식에게
남편
의 언어를 물려줬으리라고 추측할 수 있다.알고 보면 연약한 Y염색체이렇게 Y염색체로 과거 남자들이 어떻게 이동했고 무엇을 남겼는지 연구할 수 있지만, 사실 Y염색체 자체는 그렇게 눈에 띄는 존재가 아니다. ... ...
병뚜껑 따기 달인 '사이다 사브로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사브로따와 함께 1892년 미국으로 갔다.“병뚜껑은 미국의 페인터 부부가 발명했어요.
남편
인 윌리엄 페인터는 잘못된 병뚜껑 때문에상한 음료수를 마시고 배탈이 났지요. 그래서 공기는 안 들어가고, 따기는 쉬운 병뚜껑을 연구한거죠. 앗! 저기 윌리엄 페인터 씨가 있군요!”그런데 문제가 생겼다. ... ...
Part1. 독, 잔혹한 욕망에 빠지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칼리굴라는 폭정 4년 만에 암살되고 숙부 클라우디우스가 황제가 되었다. 그녀는
남편
과 아들(네로)이 있었음에도 황제의 아내였던 발레리아를 독살하고 자신이 황비가 돼 16살이었던 자신의 아들 네로를 황제로 만든다. 역사는 그녀가 어떤 독약을 썼는지 기록을 남기지 않았지만 후대의 학자들은 ... ...
내 마음 나도 몰라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부부가 10~15% 더 안정적인 결혼생활을 하고 있었습니다.연구에 따르면 5쌍 중 1쌍 비율로
남편
과 아내가 모두 물질을 중시했습니다. 이런 부부가 경제적으로 윤택한 것은 사실이지만, 돈 때문에 생기는 갈등 역시 더 많았다고 합니다.그렇습니다. 역시 돈이나 외모가 다는 아닌 겁니다. 그러나 소년의 ... ...
원주율 10조 자리까지 계산해 기네스 신기록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불편함이 많았을 것임에도 불구하고 엉뚱하게도 빨래를 바로 말릴 수 있어서 좋았다며
남편
의 노력을 즐거워했다. 곤도 씨는 앞으로 원주율을 소수점 아래 20조 자리까지 계산하는데 도전할 계획이다 ... ...
현실도피와 ‘가짜 철학적 경향’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과연 이들에겐 무슨 사연이 있었던 걸까. 회사 나가기를 거부하는 아들어머니는 일찍
남편
을 여의고 혼자서 하나뿐인 아들을 키워왔다고 했다. 아들은 어릴 때부터 고분고분 말을 잘 듣고 공부도 잘 해 어머니의 가장 큰 기쁨이었다. 좋은 대학도 한 번에 합격하고 졸업한 뒤에는 짧게나마 유학도 ... ...
“우리 부부는 뇌가 2개나 있는 과학자”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과제도 장기적으로 할 수 있고 학생들을 교육하는 데도 장점이 많았어요(김 교수).”“
남편
이 일등공신”서울대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모두 받은 두 사람은 1993년 분자생물학과(현 생명과학부) 정진하 교수의 실험실에서 처음 만났다. 백 교수는 실험실에 막 들어간 4학년생, 김 교수는 ‘매우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