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식량
음식
양식
먹이
먹을거리
양식거리
식품
d라이브러리
"
먹거리
"(으)로 총 14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책과 연애하는 행복한 번역가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화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이 읽을만한 전공서적이 부족한 현실을 고려해서, 그리고 ‘
먹거리
의 역사’와 ‘거의 모든 것의 역사’ 는 과학의 바탕이 되는 역사와 과학사를 소개하기 위해 번역하게 됐다고.“진정으로 많은 사람들이 과학에 관심을 갖고 과학을 좋아하는 ‘과학 대중화’가 실현되기 ... ...
살아 숨쉬는 갯벌에서 느끼는 감동과 전율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한다. ‘선무당이 사람 잡는다’는 말처럼 갯벌 생물에 대한 짧은 지식으로 게나 조개 등
먹거리
채집에 나서는 사람들로 인해 갯벌이 훼손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갯벌을 국가의 소중한 자원으로 인식하고 있는 선진국들은 특별히 자연보호구역으로 지정해 관리하고 보존한다. 우리나라 ... ...
특명! 물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3년은 돼야 한다. 따라서 이 긴 시간동안 사람이 우주에 정상적으로 머물려면
먹거리
, 산소를 비롯해 연료 등 각종 부대시설이 그만큼 규모가 커져야 한다. 당연히 비용은 천문학적일 수밖에 없다.유인달착륙을 포함한 총 17차례의 아폴로계획에는 총 2백40억달러가 소요됐다. 반면 화성유인우주선에 ... ...
1 명태 줄어들고 해파리 난무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제목으로도 잘 알려진 명태는
먹거리
가 부족한 겨울철에 값싸고 맛있는 훌륭한 영양공급원이었다. 그러던 것이 요즘에는 서민들이 쉽게 맛보기 힘든 비싼 생선이 됐다. 잡히는 수가 갑자기 줄었기 때문이다. 반대로 오징어는 주체할 수 없을 정도로 잡히고 있다. 우리나라 바다에 무슨 일이 있는 ... ...
피부색 따른 인종 구분은 넌센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떠나 사바나 초원으로 삶의 터전을 옮겼다. 태양에 그대로 노출된 사바나에서 이들은
먹거리
를 찾기 위해 끊임없이 움직여야했다. 이 과정에서 땀을 잘 흘려 과열된 몸을 효율적으로 식힐 수 있는 개체가 생존에 유리했다.이와 함께 땀의 증발을 방해하는 두터운 털이 없어지면서 피부는 벌거벗게 ... ...
매운 고추, 효과도 화끈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이러한 연유로 생각된다. 결국 캅사이신의 매운맛은 둔감한 새들에게 영양분이 풍부한
먹거리
임을 알려주는 신호인 셈이다.고추 먹으면 엔돌핀 분비돼최근 매운 음식이 전세계적으로 인기를 끌면서 그 이유를 밝히는 연구가 한창이다. 고추를 처음 먹는 사람은 땀을 뻘뻘 흘리고, 심지어 눈물까지 ... ...
몸속 1㎏ 미생물이 우리 몸 지킨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동물과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기간을 식량이 부족한 상태에서 살아왔다. 그러나 최근
먹거리
가 풍부해지면서 갑자기 영양 과잉의 상태가 됐다. 이런 상태에서 장내 세균이 하루 수백kcal를 공급하므로 결국 우리는 더 살찌게 돼버렸다.이런 경우 장내 세균은 과잉 영양분을 여러가지 인체에 유해한 ... ...
산모 음식이 자식 유전자의 기능 바꾼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이미 유전자 의해 결정돼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그러나 우리 조상들이 임신 중에
먹거리
를 조심하라고 지적했듯이, 한번 정해진 유전정보는 영원불멸한 것이 아니라 식단과 환경에 따라 얼마든지 바뀔 수 있다는 사실이 증명됐다. 조금 나쁜 성향의 유전자를 갖고 있더라도 자신의 환경을 바꾸면 ... ...
열대 무더위에 견디도록 단련된 인체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하반신도 현생 인류가 아프리카의 더운 기후에 적응한 결과다.인류는 살아남기 위해
먹거리
가 풍부할 때 체지방을 몸에 저장한다. 그런데 지방층은 체열의 발산을 막는다. 따라서 열이 많이 나는 내장이나 근육을 지방층이 덮게 되면 더위에 적응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체열의 발산에 별로 영향을 ... ...
3 근육 단백질로 100% 효율의 모터 만든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속도와 양을 특정 신체부위에 방출하는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다.인류의 건강과 풍족한
먹거리
, 그리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산업이 미래의 최적 산업으로 각광받을 것이 자명하므로, 나노기술과 융합한 바이오기술을 통해 신산업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현재는 학문 간 고유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