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델"(으)로 총 2,338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웅배의 '최애 은하'] 하트 모양 은하의 러브 스토리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새긴 선물을 나누면 어떨까. 우주가 사라질 때까지 영원한 사랑을 나누는 두 은하를 롤모델 삼아서 우주적인 사랑을 약속하는 최고의 이벤트가 될 것이다. ※ 지웅배 고양이와 우주를 사랑한다. 은하들이 사랑을 나누고 상호작용하는 세계를 연구한다. 우주를 가이드하며 현실 세계에서의 ... ...
- [기획] 일상에서 찍히는 디지털 탄소발자국을 따라가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수많은 서버가 동작하면서 발생하는 폐열을 식히는 냉각 장치도 가동돼야 한다. AI 모델을 만들고 사용할 때도 엄청난 에너지가 소모된다. 수많은 데이터를 모아 AI를 가르칠 때 연산 횟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이다. 엠마 스트러벨 미국 매사추세츠대 연구팀은 2019년 대규모 딥러닝 AI ... ...
- [성진우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심장, 신경관, 체절 태아의 분화를 모방하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우리 인간의 몸은 헤아릴 수 없을 만큼 수많은 세포로 구성돼 있습니다. 30~60조 개 가량의 세포는 엄청난 숫자만큼이나 다양한 모양, 기능 ... 각각 성격이 다른 조직과 장기들을 연구하는 데는 10여 년 전 새롭게 등장한 체외배양 모델인 ‘오가노이드(organoid)’가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
- [논문탐독] 강하며, 상호작용하는 암흑물질을 찾아서과학동아 l2023년 03호
- 흔적을 찾기 쉽습니다. 심프는 윔프보다 빨리 검증할 수 있을 겁니다. 구체적인 심프 모델을 구현하고 심프와 표준모형의 연결고리를 밝히기 위한 연구는 현재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제가 속한 연구실에서도 구체적인 Z3 모형으로 심프 메커니즘을 구현할 수 있음을 입증하는 등 중요한 성과를 ... ...
- [특집] AI와 일하는 만화작가 만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지닌 매력적인 분야입니다. 최근 이미지 생성 AI가 국내외에서 대유행하고 있는데요. 모델로 움직이는 영상도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웹툰에 적용하는 애니메이션화도 머지않아 가능하리라 생각해요!독자들이 다양한 AI 기술을 통해 더욱 웹툰에 몰입할 수 있다면 저희로선 연구하는 보람도 ... ...
- [통합과학 교과서] 심술궂던 구름, 적성을 찾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데이터를 바탕으로 화성의 지형과 열에너지, 먼지 수치, 태양 복사 에너지 등을 기후 모델로 계산했어요. 또한 화성의 여러 지역별 데이터를 대입하며, 풍력발전으로 생산할 수 있는 최대 전력량과 풍력발전의 가능성을 계산했습니다. 연구팀의 시뮬레이션 결과, 기존 화성 유인 탐사 후보지 50곳 ... ...
- [이달의 뉴스] 한국 4족 보행로봇 모래사장에서도 빠른 뜀박질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입상 원뿔 모델은 수직방향의 접촉 부분을 통해 힘의 작용을 계산하고, 쿨롱 마찰 모델은 수평 방향으로 작용하는 마찰력을 계산한다. 이 기술을 적용한 4족 보행로봇 ‘라이보(RaiBo)’는 모래사장에서 초당 3.03m의 속도로 달렸다. 또 에어 매트리스 위에서는 초당 약 90º를 회전해 여러 지형에서 ... ...
- 이휘소는 원자폭탄 개발에 관여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3호
- 그런데 한국 법원은 원고의 청구를 기각했는데, 그 이유가 다소 황당하다. 이휘소를 모델로 한 소설의 등장인물인 ‘이용후’가 “우리나라 독자들로 하여금 위 이휘소에 대하여 존경과 흠모의 정을 불러일으킨다고 할 것이어서, 우리 사회에서 위 이휘소의 명예가 더욱 높아졌다고도 볼 수 ... ...
- [디지털 새싹 캠프] 우리는 레고로 코딩을 배운다, 사이언스 챌린지 해커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후 만든 프로그램을 코딩하면 원하는 대로 움직이는 물건을 설계할 수 있다. AI 학습 모델을 통한 놀이기구 제어까지 배웠다면 이제 본격적으로 환경과 동물을 보호하기 위한 물건을 만들 시간. 각 팀은 주제를 정해 간단한 아이디어를 떠올리는 것부터 시작한다. 괜찮은 아이디어가 정해졌다면 ... ...
- 빨라진 물 순환 더 극한 기후 부른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극지방으로 4만 6000~7만 7000km3 가량의 담수가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전 기후 모델에서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더 많은 양의 담수가 극지방으로 밀려나며 물 순환이 강화됐다. 연구팀은 ‘사이언스 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물 순환의 변화는 도시 인프라, 농업, 생물 다양성에 중대한 영향을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