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송장
주검
시신
유골
사체
죽엄
유해
d라이브러리
"
시체
"(으)로 총 355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산호를 보니 숨통이 트여요”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위에 산호가 부서져 생긴 모래가 쌓이고, 그 위에 야자수가 자라난다. 망망대해에서 동물
시체
위에 몸을 의지하고 있다고 생각하니 기분이 묘했다.“환초 바깥에서 스노클링 해보면 안 돼요?”해맑은 얼굴로 체험단원들이 묻자 최 박사가 손사래를 쳤다. 평균 수심이 30m(최대 80m)밖에 안 되는 환초 ... ...
PART1.전염의 시작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치를 때 죽은 이에게 키스를 하는 풍습이 있다.Q. 장례식을 통해 에볼라가 퍼졌다고?A.
시체
와의 키스가 참사를 불렀다서아프리카는 독특한 장례 문화를 가지고 있다. 문상객은 죽은 이에 키스를 하고 가족은 가는 이를 깨끗이 씻긴다. 망자에게 영원한 안녕을 고하는 이 의식이에볼라를 확산시켰다. ... ...
나의 에디슨은 그렇지 않아!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꿈속에서 증조할아버지가 나타나 “숨이 막힌다”고 해서 무덤을 파보니 나무뿌리가
시체
를 감고 있더라는 전설과 비슷하지 않나요? 어딘가 한국적인 분위기가 풍기는 걸 보니 아무래도 이 농담이 이야기가 되고, 거기에 살이 붙고, 물까지 건너오면서 오늘날 ‘신비한TV 서프라이즈’에 종종 ... ...
[Life & Tech] 1%의 기원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보니 틀림없다는 것이다. 하버드대 고고학자 오퍼 바요세프 교수는 “가장 부유했던 8%의
시체
에서 덴탈리움이라는 조개로 만든 장식품이 나왔다”며 “이것은 400km나 떨어진 곳에서 교역을 통해 들어온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런 귀한 조개를 장식품으로 쓸 정도면 당시 부의 격차가 상당했다고 ... ...
심장이 예뻐 보일 때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설명한다.이런 연륜이 녹아들어 간 것일까. 사진 속에 생명을 살리는 수술 도구와
시체
해부용 부검 도구가 나란히 있다. 역설적인 구조의 의미에 대해 많은 이들이 궁금해하지만, 길랏 박사는 구체적인 작품 이름이나 설명을 주지 않는다. 보는 이가 자유롭게 상상해서 자신만의 답을 찾기 원하기 ... ...
PART1. 백악기 마지막 날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증거를 바탕으로 미국 로키산맥박물관의 잭 호너 큐레이터는 티렉스가 사냥꾼이 아니라
시체
청소부였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스콧 샘슨 등은 사냥꾼이라는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진실은? 저 티렉스가 우리를 사냥한다면 밝혀지겠지만,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길 빈다.‘그날’ 이후 여러 ... ...
INTRO. 세상엔 어떤 입이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함께 현재 유일하게 남아 있는 턱이 없는 어류다. 다른 물고기에 붙어 피를 빨아먹거나
시체
를 파먹는다.➎ 달팽이달팽이의 입을 유심히 바라본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 달팽이의 입에는 무려 수만 개의 미세한 이빨이 있다. 이 이빨은 먹이를 잘게 잘라 입 안으로 옮긴다.➏ 외뿔고래수컷에서 가장 ... ...
Part ∥. 우리는 왜 입으로 딴짓을 할까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수 있다는 논문을 ‘영국왕립학회보B’에 발표했다. 먹장어가 먹이를 먹을 때 종종
시체
속으로 아예 몸을 파묻어 버린다는 데서 실마리를 얻었다.연구팀은 태평양 먹장어의 피부 표본을 영양분이 풍부한 바닷물과 먹장어의 체액과 같은 성분의 액체 사이에 넣었다. 그러자 바닷물 속에 있는 ... ...
소설, 수학을 삼키다!
수학동아
l
2013년 11호
용의자가 범인이 아닌 것으로 밝혀지면서 마리가 아닐지도 모른다는 주장이 제기됐어.
시체
는 형체를 알아볼 수 없을 만큼 훼손돼 있었거든.상황이 이렇다 보니 새로운 증거가 나올 때마다 갖가지 추측이 난무한 기사들이 쏟아져 나왔어. 이때 난 생각했지.‘증거가 두 개가 되고 세 개가 된다면, ... ...
Part 1. 출항 : 우주보다 복잡한 지도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정신질환이 없는 여성이었다. 율리히연구센터 연구팀은 죽은 지 14시간 만에 기증자의
시체
에서 무게가 1392g인 건강한 뇌를 적출했고, 이 뇌를 포르말린 용액에 넣어 5개월 동안 보관했다. 2003년 4월, 연구팀은 본격적인 연구에 앞서 전체 형상을 조사해 둘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그래서 포르말린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