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심사원
검찰관
질문자
d라이브러리
"
시험관
"(으)로 총 293건 검색되었습니다.
무기자 메디컬 취재노트 엿보기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끈적하다혈액은 그냥 붉게 보이는 액체 같지만 그 안에는 여러 성분이 들어있다. 혈액을
시험관
에 담아서 원심분리기에 넣고 돌리면 붉은 색깔의 침전물과 투명한 액체로 나뉜다. 투명한 액체는 혈장 또는 혈청이라 부르며 혈액의 60%를 차지한다. 대부분은 수분이지만 알부민(albumin)과 글로불린 ... ...
파푸아에서 '에덴' 발견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감수분열 전기(前期)의 복사기(複絲期)에 있는 난모세포(卵母細胞)의 핵에서 관찰된다
시험관
을 닦는 솔 같은 모양이어서 이 이름이 붙었다염색체의 축은 대부분 4개의 염색분체(染色分體)로 되어 있고 그 양옆으로 수많은 돌기가 루프(loop) 모양으로 나와 있다 하전입자가 원자핵의 쿨롱의 힘의 ... ...
로봇이 군부대를 구하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로봇이 해결했다. 연구원은 압축공기를 이용해 방사능 물질을 옮겼는데 그 물질이
시험관
에 끼어 더 이상 움직이지 않았다.부대는 곧 샌디아국립연구소에 연락했다. 이 연구소에는 270kg의 폭탄 제거 로봇, ‘마이티 마우스’(Mighty Mouse)가 있었다. 강력한 팔이 달려 있는 로봇이다. 로봇은 첫날에는 9 ... ...
무지개 소녀의 아주 특별한 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5호
위에 비치면서 무지개가 나타난다. 설탕물로 만든 달콤한 무지개탑과학원리 뛰어넘기
시험관
의 그림물감이 서로 섞이지 않는 이유는 바로 용액의 밀도 때문이다. 설탕을 가장 많이 넣은 보라색 용액은 밀도가 커서 밑으로 가라앉고 그 위로 남색, 파란색 용액이 차례로 쌓여 무지개탑을 만들 수 ... ...
지진 생존자를 위한 '따뜻한 텐트'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혈액 제공자의 혈액을 채취하여 각기 혈구와 혈청으로 나누어 상호간의 혈구와 혈청을
시험관
속에서 반응시킨다 이 시험으로 응집반응(凝集反應)이 보이지 않는 혈액이면 수혈했을 때 혈액형에 기인하는 부작용은 일어나지 않는다 전극반응이 발생할 때 전극의 단위면적당 교환전류 구급할 때에 ... ...
에이버리의 유전물질 DNA 확인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않았지만 여전히 R형을 S형으로 변환할 수 있었다. 1933년까지 에이버리는 계속해서
시험관
의 불순물을 줄여나가 변환원리를 더욱 순수한 형태로 만들었고 R형의 변환효율을 놀랄 만큼 높였다. 그러나 추출물에는 여전히 불순물이 있었고, 그 중 어떤 것이 변환원리인지 알아내기는 요원했다.1934년 ... ...
흡혈박쥐의 역습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플로리다 대학, 미시간 대학 졸업 후 1957년 미국립보건연구원(NIH)에 들어갔다1961년에
시험관
내에서 단백질 합성에 성공하여 유전정보 해독에의 생화학적 접근의 길을 열었다1964~65년에는 H G 코라나(Khorana)와 협력하여 64가지 트리뉴클레오티드를 합성하고, 그것을 이용하여 대부분의 아미노산의 코드 ... ...
1. 황우석, 세상을 감동시키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얻기가 매우 어려웠다”고 밝혔다. 그는 개 복제의 어려움을 “
시험관
호랑이는 있어도
시험관
강아지는 없다”는 말로 표현했다. 일반적으로 다른 동물은 난소에서 성숙한 난자가 만들어진다. 이 난자를 추출해 복제 연구에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개는 난소에 들어 있는 난자가 미성숙 난자다. 이 ... ...
발생의 마법사, 신경제세포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주요 유전자 발굴과 더불어 신경제세포 연구에 획기적인 기여를 한 것은 신경제세포를
시험관
안에서 배양하는 방법을 개발한 것이다. 특히 메추라기와 쥐의 경우 세포를 하나씩 분리해 배양하는 이른바 ‘순체배양’이 가능해지면서 다른 방법으로 답하기 힘든 질문들에 도전할 수 있게 됐다.예를 ... ...
앙코르 공연 - 줄기세포의 꿈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선구자는?세계 최초로 인간배아에서 줄기세포를 추출한 사람은 바로 톰슨 박사.
시험관
수정 후 4~8세포기까지 자란 냉동배아를 해동해 배반포기까지 키워 줄기세포를 얻었다. 2000년 마리아생명공학연구소 박세필 소장팀이 배아줄기세포 추출에 사용한 인간배아는 냉동 전에 이미 배반포기까지 자란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