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심사원
검찰관
질문자
d라이브러리
"
시험관
"(으)로 총 293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성에서 발견된 얼음 저수지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혈액 제공자의 혈액을 채취하여 각기 혈구와 혈청으로 나누어 상호간의 혈구와 혈청을
시험관
속에서 반응시킨다 이 시험으로 응집반응(凝集反應)이 보이지 않는 혈액이면 수혈했을 때 혈액형에 기인하는 부작용은 일어나지 않는다 전극반응이 발생할 때 전극의 단위면적당 교환전류 구급할 때에 ... ...
연극 무대 위로 올라간 과학자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내 정자삽입술’(ICSI)을 다룬다. ‘
시험관
수정’(IVF)은 난자와 정자를 자궁 대신
시험관
에서 수정시킨 뒤 다시 산모의 자궁에 착상시키는 방법이다. ICSI는 수많은 정자가 필요한 IVF와 달리 정자 하나를 직접 난자 안에 집어넣어 수정시키는 방법이다.‘순수한 잘못된 수태’는 ICSI를 개발한 여성 ... ...
도구 사용하는 까마귀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누벨 칼레도니아 제도에서 사로잡힌 수컷 ‘아벨’과 암컷 ‘베티’. 연구팀은 긴
시험관
에 아주 작은 양동이를 넣고 그 안에 먹이를 놓았다. 부리만으로는 도저히 먹이를 꺼낼 수 없는 상황이었다.그러나 두 까마귀는 옆에 높인 갈고리 모양의 철사를 부리에 물고 양동이에 걸어 먹이를 ... ...
아인슈타인과 디카프리오 합친 아기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몰리와 조직이 일치하는 골수를 가진 아기를 낳도록 하기 위해, 부인의 난자 15개를
시험관
에서 수정시켜 배아 10개를 얻었다. 그런 다음 PGD 검사로 판코니 빈혈 유전자가 없는 배아를 골라 출산시키는데 성공했다. 몰리는 동생 아담의 탯줄혈액에서 이식받은 골수가 혈소판과 백혈구를 생산하기 ... ...
임신 유지시키는 정자 속 단백질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박사는“이번 결과를 이용해, 아이를 원하는 불임부부들이 복잡하고 비용이 비싼
시험관
생식을 쓰지 않고도 임신이 가능하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3 사이버 공간에서 특효 약물 디자인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이뤄지는 일이 실제로 똑같은 결과를 낼 것인지는 아무도 확신할 수 없다. 이를 위해
시험관
내에서 글리벡이 ATP를 대신해 C-ABL과 실제로 반응하지는 확인하는 검증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 결과는 NMR을 이용한 복합체 실험, X선을 이용한 복합체 구조규명 실험을 거쳐 최종적으로 확인된다. 자동차 ... ...
할머니 소원 3월의 설경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온도가 내려가면서 눈과 같은 결정이 만들어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모험이와 슬기가
시험관
속에서 내리는 눈을 할머니에게 보여드리자, 할머니는 무척 기쁘고 신기하게 여겼다.종이로 나만의 눈 결정 만들기■ 왜 그럴까?!눈 결정은 6각기둥의 빙정핵을 기본 모양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 ...
Ⅰ 디지털 르네상스 주도할 쌍두마차 : ② 몸에 존재하는 자연산 슈퍼컴 DNA컴퓨터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아니었다. 또한 입력과 출력을 모두 인간이 조작해야 한다. 단지 계산과 제어과정이
시험관
에서 자동으로 이뤄질 뿐이다. 분자생물학과 컴퓨터의 전문가가 아니고선 도저히 이용할 수 없을 정도다.현재의 컴퓨터처럼 모든 사람이 쉽고 편하게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가공할 수 있는 DNA컴퓨터는 ... ...
겨울을 녹이는 따뜻한 차 이야기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전년 대비 무려 1000%나 증가했다. 가장 큰 원인 중의 하나는 최근 과학자들에 의해
시험관
에서, 또는 실험동물과 사람을 대상으로 집중적으로 연구돼온 녹차의 효능에 대한 연구결과 때문이다.5천년 동안 인류가 음용해왔고, 화려한 문화를 발전시키기도 하고, 때로는 국가간의 전쟁과 새로운 나라의 ... ...
약물 안전하게 수송하는 분자 곶감타래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쉽지 않다. 생체 내 존재하는 초분자 물질을 아무리 모방하려 해도, 이들을 합성하는
시험관
내의 상황이 세포 안과는 너무 다르기 때문이다.포항공대 지능초분자 연구단의 김기문 교수는“초분자화학이야말로 인내와 끈기의 학문이다. 수많은 밤을 지새며 실험에 실험을 거듭해야 원하는 초분자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