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성
d라이브러리
"
쌍성
"(으)로 총 106건 검색되었습니다.
초여름 구상성단을 산책해보자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표적이 될 만한 별이 없는 것이 단점이다. 이 성단을 찾는 가장 좋은 방법은 광학적
쌍성
인 45번별에서 시작해 망원경을 천천히 5.5º 서쪽으로 옮기는 것이다. M62는 6.6 등급에 14.1' 크기로 4인치 망원경으로도 쉽게 보인다. 이 성단의 가장 특이한 점은 현저한 비대칭의 모습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1 ... ...
운석과 혜성으로 지구에 접근하기도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곡선에 의하면 소행성이 하나의 길쭉한 형태로 존재하기 보다는 식(蝕)
쌍성
이나 근접
쌍성
과 같이 쌍으로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줄 뿐이다.근접쌍 소행성에 대한 명백한 증거가 최근 몇몇 소행성에 대해 실시한 레이다 관측에 의해서 얻어졌다. 예를 들면 두번째로 발견된 소행성인 팔라스는 ... ...
21세기 천문학 중력파 천체물리학이란?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galaxy formation theory)도 큰 도움을 얻게 될 것이다.중력파는 이외에도 X-선을 내는
쌍성
들이나 신성(nova), 왜신성(dwarf nova)등과는 깊이 관련돼 있어 만일 천체가 지구로부터 충분히 가깝기만 하다면 얼마든지 새로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천문학계의 르네상스천문학(astronomy)에서 중력파를 다루는 ... ...
감마선의 수수께끼, 물리학계 긴장시켜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우주물리학자들에게는 더없는 관측자료가 되는 것이다.양자건 감마선이건 우주선은
쌍성
(雙星)체제속에서 발생한다. 적어도 두 별이 있어야만 우주선이 생길 수 있다는 얘기다. 게다가 그중 한 별은 반드시 중성자성(neutron star)이어야 한다는 제약이 있다.로스알라모스연구팀의 발견도 두 별을 ... ...
중공의 우주기지와 과학자
과학동아
l
1988년 06호
개설되었으며 뒤에는 동풍(東風)기지라 불렀다. 서방측에서는 이 주변의 지명을 따서
쌍성
자(双城子)기지라 부르고 있으나 중공에서는 서방측에 상업활동을 시작하면서 주천(酒泉)기지라는 이름을 쓰고 있다. 그 주천시는 이곳에서 1백50km 떨어져있다. 주천기지는 제1호 위성발사이래 계속하여 ... ...
블랙홀은 결코 괴물이 아니다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물리학은 본질적으로 같은 것으로 간주된다. 거대한 블랙홀 주변의 유입물질원반이
쌍성
계의 작은 유입물질원반과 명확히 구분되는 점이 있다면, 그것은 내부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두꺼운 원환체(torus)의 모양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일 것이다. 천체물리학의 세계에는 주로 2가지 종류의 압력이 ... ...
이전
7
8
9
10
11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