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성
스페셜
"
쌍성
"(으)로 총 22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행성 포식자' 흔하다…지구의 운명은
동아사이언스
l
2024.03.23
연구팀은 가이아 우주망원경과 지상망원경 3대를 사용해 은하수 근처에서 91쌍의
쌍성
을 관찰하고 각 별을 이루는 탄소(C) 등 주요 원소 21개 성분의 비율을 분석했다. 별을 구성하는 원소에 따라 방출하는 빛이 달라져 이를 망원경으로 관측한 것이다. 그 결과 91쌍 중 약 8%인 7쌍에서 두 별의 원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중성자별과 블랙홀의 경계는
2024.02.07
검출된 중력파를 분석해 추정한, 태양질량 23배 블랙홀과 짝을 이룬 2.6배 천체 역시 과거
쌍성
계가 병합돼 생긴 작은 블랙홀(또는 중성자별)일 수 있다. 앞으로도 질량 공백 범위의 천체가 더 많이 관측될 것이다. 과연 질량 공백 가설이 살아남을 수 있을지 지켜볼 일이다. ※ 필자소개 강석기 ... ...
중력파 검출 그후 6년, 우주 비밀 향해 달려가는 중력파 천문학
동아사이언스
l
2022.03.28
대표적이다. 이 단장은 “우주에 중력파 검출기를 띄우면 블랙홀이나 중성자별
쌍성
계의 움직임 전반을 관측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암흑물질 연구나 천체와의 거리에 대한 정확한 측정으로 허블 상수의 정확도를 높일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빛 굴절 중력렌즈 효과 활용 외톨이 블랙홀 첫 확인
연합뉴스
l
2022.02.08
발견하지 못했다"면서 "이제 외톨이 블랙홀이 실제로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됐으며,
쌍성
계에서 발견되는 것과 비슷한 질량을 갖고 있고 우주에 많이 분포하는 것이 틀림없다"고 했다. 애리조나대학의 천문학자 페르얄 외젤은 네이처와의 회견에서 "하나의 자료만으로 추론해서는 안 되지만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우주의 '괴물' 블랙홀
2021.07.22
그 물질들이 가진 에너지가 강력한 X선으로 방출되는 경우가 있다. 보통은 두 개의 별이
쌍성
계를 이루고 하나의 별에서 다른 별로 물질이 유입될 때 이런 현상이 생긴다. 이때 물질이 빠져나가는 별은 보통의 별이고 물질을 빨아들이는 별이 대개 중성자별이나 블랙홀이다. 최초의 블랙홀은 ... ...
반짝반짝 작은 별? 사실은 쌍둥이 초거대 별!
과학동아
l
2021.07.08
VVV-WIT-08이
쌍성
계를 이룬다는 주장을 뒷받침해주며,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은 초거대
쌍성
계가 은하계 내부에 존재할 가능성을 보여주는 결과다. 스미스 연구원은 “수수께끼별에 대해 많은 것이 밝혀졌지만, 동반자 천체의 정체와 형성과정 등 추가로 밝혀내야 할 것이 남아있다”며 “후속 ... ...
블랙홀이 중성자별 먹어치웠다…블랙홀과 중성자별 충돌로 생긴 중력파 첫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21.06.30
공동연구 결과물이었다. 이들은 태양 질량의 36배와 29배인 블랙홀 두 개로 이뤄진
쌍성
이 지구에서 13억 광년 떨어진 곳에서 충돌하면서 발생시킨 중력파를 처음으로 관측했다. 이번 연구에는 라이고, 버고 협력단과 함께 지난해 초 가동을 시작한 일본의 중력파 검출기 ‘카그라(KAGRA)’ 협력단도 ... ...
아레시보 전파망원경 피해 수습에만 570억원…재건 여부 불투명
동아사이언스
l
2021.03.09
헐스는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으로 강한 자기장을 갖고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중성자별인
쌍성
펄서를 발견했고 이에 관한 연구로 1993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역사 속으로 사라진 ‘아레시보 전파망원경’
동아사이언스
l
2021.01.17
갖고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중성자별인
쌍성
펄서를 발견했다. 이 발견을 토대로
쌍성
의 공전 주기가 감소하고 있으며 이 감소율이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 예측과 매우 잘 일치한다는 사실을 확인해 1993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
공전주기1만 5000년 외계행성 존재… 태양계 9번째 행성 힌트 될까
과학동아
l
2021.01.12
경우 모든 행성들의 공전궤도가 한 평면 위에 있다. 하지만 HD 106906 b는 달랐다. 중심별인
쌍성
계 근처에 있는 먼지구름이 이룬 원반과 HD 106906 b의 공전궤도가 틀어져 있었다. 연구팀은 HD 106906 b가 지구와 태양 거리의 3배 정도 되는 거리로 중심별에 가까이 있다가, 중심별의 중력에 의해 궤도 밖으로 ... ...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