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소"(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 구해줘! 잭의 콩나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020년 남극 에스파란사 기지의 기온은 18.3℃로, 역대 가장 높은 기온을 기록했습니다. 극지연구소 이은정 박사는 “앞으로 남극의 곰팡이가 병원균으로 활성화하는 데 기후변화가 구체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추가로 분석할 계획”이라고 말했답니다 ... ...
- 심해는 생물들의 집! 채굴해도 괜찮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골격을 지녀 게, 조개, 불가사리 같은 다른 동물들의 집이 되어 주지요.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탄 스트라트만 연구원은 “망간단괴가 사라지면 해면이 서식지를 잃어 심해 생태계가 단순해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채굴의 환경 피해를 최소화해야” 선상에서 버려지는 배출물이 해양 ... ...
- 타임지 선정 현존하는 최고 물리학자, 수학과 물리학의 교차로 놓은 에드워드 위튼수학동아 l2023년 12호
- 10월 에드워드 위튼 미국 고등연구소 명예교수가 ‘2023년 이휘소상’ 수상을 기념해 우리나라에 방문했습니다. 이휘소상은 이론물리학에 큰 공헌을 한 한국계 미국 물리학자 이휘소의 이름을 딴 학술상으로, ‘아시아 태평양 이론물리센터’에서 뛰어난 업적을 세운 물리학자에게 수여해요. ... ...
- [기획] 두려움 없는 도전을 위해, KAIST는 실패를 연구한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첫 발짝은 KAIST 학생들이 어떤 실패를 겪는지 알아보는 것부터 시작했습니다. KAIST 실패연구소에선 2023년 6월 ‘일상에서 포착한 실패의 순간들’이란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프로젝트에 참가한 KAIST 학생 31명에게 3주간 자신의 일상을 관찰한 다음, 실패가 벌어진 현장 또는 실패감을 떠올린 ... ...
- [최신 이슈] 태우는 게 최선일까? 지구 오염시키는 우주 쓰레기과학동아 l2023년 12호
- 1호를 지구로 귀환시킬 계획을 세우고 있다. 우리별 1호의 귀환 프로젝트는 KAIST 인공위성연구소에서 연구 중이다. 정 연구원은 “(우리별 1호 귀환과 별개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역시 현재 로봇팔로 우주 쓰레기를 붙잡는 ADR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우주 쓰레기를 끌어내려 없애려면 ... ...
- [과학 뉴스] 해냈다, 누리호! 3차 발사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3차 발사에는 실제 임무를 수행할 위성이 누리호에 실렸습니다. 먼저 카이스트 인공위성연구소가 개발한 차세대소형위성 2호는 우주방사선 등을 연구할 위성입니다. 앞으로 2년 동안 지구를 하루에 15바퀴씩 돌면서 각종 데이터를 보내줄 예정이에요. 위성 4기가 일정 간격으로 나란히 나는, 이른바 ... ...
- 세계적인 물리학자와의 대화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은퇴해서 고정적인 일은 없어요. 세미나에 가거나 학자들과 소통하기 위해 가끔 고등연구소에 가지요. 최근에는 손주들과 놀아주기 위해 바쁜 시간을 보내고 있어요. 손주는 6명인데, 13살부터 4개월까지 있어요. 두 명은 제가 사는 뉴저지에, 네 명은 시애틀에 살고 있지요. 한국에 올 때도 손주들을 ... ...
- [최신이슈] 과학동아로 돌아본 올해의 이슈 10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최초로 핵융합 ‘순에너지’를 생산했다. 미국 에너지부 산하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연구소의 국립점화시설(NIF)에서 2.05MJ(메가줄〮1MJ은 100만 J)의 에너지를 넣어 핵융합 반응을 일으키고 3.15MJ의 에너지를 얻었다. 올해 7월에는 같은 에너지를 넣어 3.88MJ이라는 더 많은 순에너지를 얻는 데 성공했다. ... ...
- [르포] 달을 향한 열망과 비전이 넘치는 곳 아제르바이잔 국제우주대회에 가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달 탐사로버의 바퀴를 접는 기술도 흥미로웠다. 한국의 우주 탐사 스타트업인 무인탐사연구소는 오리가미(종이접기 기술)를 연구하는 이대영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팀과 함께 바퀴를 접을 수 있는 구조를 연구했다. 실제로 바퀴는 접어놓은 것처럼 처음엔 작게 말려 있다가 신호를 주면 ... ...
- [기획] ‘아프니까 청춘이다’가 와 닿지 않는 당신에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합니다. 실패에 직면하길 두려워하지 않는 학생들의 이야기입니다. 실패학회는 KAIST 실패연구소와 KAIST 학생동아리 ICISTS 학생들이 함께 준비한 행사입니다. 특히 ICISTS 학생들은 매년 크고 작은 행사를 스스로 기획하고 운영하고 있죠. 이 중에는 세계 각국의 학생들이 모이는 국제 컨퍼런스도 포함돼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