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소"(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적 사고력이 쑥쑥! 두뇌퍼즐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논리력을 키우는 스도쿠와 문제해결력을 높이는 사고력 퍼즐, 공간지각능력을 향상시키는 공간 퍼즐까지! 에서만 만날 수 있는 고품격 퍼즐을 지금 바로 풀어보세요. ...
- 네 친구의 꿈, 12월 창공을 가르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라는 로켓 개발팀입니다. 이들은 오버페이스를 “대한민국의 민간 우주로켓 개발 연구소”라고 소개했습니다. 오버페이스의 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상공 30km까지 자체 개발한 관측 로켓을 발사해 대기 중 오존의 분포를 파악하기. 그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300만 원을 ... ...
- [기획] KAIST 학생들이 일상에서 포착한 실패의 순간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실패는 정면으로 마주해 자양분으로 만든다면 그걸로 오케이란 겁니다. 안혜정 KAIST 실패연구소 연구교수에게 과학동아 독자들이 어떻게 하면 실패를 성공적으로 다룰 수 있을지 조언을 청했습니다. 안 교수는 “KAIST 학생들이 그랬던 것처럼, 일상에서 벌어지는 실패의 순간들을 기록해 보면 ... ...
- [커리어] 진로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제약공학자란 꿈을 이뤄보는 하루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수 있다. 류 팀장은 “막연히 과학 분야에 흥미를 가지고 진로를 희망하는 학생들에게 연구소에서 이뤄지는 실험을 생생하게 체험해보는 기회를 주고자 한다”면서 “백마디 말보다 한 번의 경험으로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듯,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해 꿈을 구체화하는 경험을 갖길 바란다”고 ... ...
- [2039:화성에서 일 년 살기] 영화처럼 화성에서 감자를 키우기란 쉽지 않지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쪼갤 바오밥나무를 기대했던 내겐 아쉬운 결과였다. 정조 과학기지의 대원들과 화성 연구소의 연구진들은 모두 여기까지 온 것만으로도 큰 성공이라고 용기를 북돋워 줬다. 감사한 일이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디스커버리 채널, 내셔널 지오그래픽 채널이 함께 내놓은 화성 테라포밍 계획에 ... ...
- [최신이슈] 과학동아로 돌아본 올해의 이슈 10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최초로 핵융합 ‘순에너지’를 생산했다. 미국 에너지부 산하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연구소의 국립점화시설(NIF)에서 2.05MJ(메가줄〮1MJ은 100만 J)의 에너지를 넣어 핵융합 반응을 일으키고 3.15MJ의 에너지를 얻었다. 올해 7월에는 같은 에너지를 넣어 3.88MJ이라는 더 많은 순에너지를 얻는 데 성공했다. ... ...
- [기획] 두려움 없는 도전을 위해, KAIST는 실패를 연구한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첫 발짝은 KAIST 학생들이 어떤 실패를 겪는지 알아보는 것부터 시작했습니다. KAIST 실패연구소에선 2023년 6월 ‘일상에서 포착한 실패의 순간들’이란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프로젝트에 참가한 KAIST 학생 31명에게 3주간 자신의 일상을 관찰한 다음, 실패가 벌어진 현장 또는 실패감을 떠올린 ... ...
- 물리학자가 되기까지 위튼 교수가 걸어온 길수학동아 l2023년 12호
- 결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며 프린스턴으로 불러주셨지요. 2022년 가을, 제가 고등연구소에 도착하자마자 교수님이 연구실로 저를 불러서 진행 중인 연구에 관해 물어보고, 되도록 빨리 이전 논문의 후속 연구를 진행해 논문을 내면 제게 좋을 거라고 조언해주셨어요. 교수님의 재촉에 한편으론 ... ...
- [특집] Part2. 유전체 연구의 미래, 생물학에서 정밀의학으로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유전체학의 미래에 대해 물었다. 그는 2003년 4월, 프랜시스 콜린스 당시 미국 국립유전체연구소(NHGRI) 소장이 동료들과 네이처에 쓴 “유전체 연구의 미래에 대한 비전”이라는 글을 인용했다. doi: 10.1038/nature01626 “콜린스 소장은 2003년 HGP를 완료한 후 유전체 연구의 청사진을 발표합니다. HGP가 만든 ... ...
- [르포] 달을 향한 열망과 비전이 넘치는 곳 아제르바이잔 국제우주대회에 가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달 탐사로버의 바퀴를 접는 기술도 흥미로웠다. 한국의 우주 탐사 스타트업인 무인탐사연구소는 오리가미(종이접기 기술)를 연구하는 이대영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팀과 함께 바퀴를 접을 수 있는 구조를 연구했다. 실제로 바퀴는 접어놓은 것처럼 처음엔 작게 말려 있다가 신호를 주면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