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영구"(으)로 총 577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과학으로 안전하게 해체한다! 굿바이~, 고리 1호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6월 19일, 우리나라 최초의 원자력 발전소인 고리 1호기가 영구 정지 됐어요. 앞으로 고리 1호기는 5년간의 준비 과정을 거친 뒤, 본격적으로 해체 작업에 들어갈 예정이에요. 그런데 원자력 발전소를 해체하는 데는 15년 이상이라는 긴 시간이 필요하다고 해요. 대체 왜 이렇게 오래 걸리는 걸까요 ... ...
- Part 1. [고리 1호기] 시작과 끝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지역 주민들의 요청에 따라 영구 정지를 권했어요. 한국수력원자력은 이를 받아들여 영구 정지와 해체 작업에 들어가게 됐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과학으로 안전하게 해체한다! 굿바이~, 고리 1호기Part 1. [고리 1호기] 시작과 끝Part 2. [고리 1호기] 어떻게 해체할까?Part 3. [고리 .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해 번거롭다. 홍채, 혈관 등은 특별한 사고를 당하지 않는 한 한 번 정보를 등록하면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번 저장해 놓으면 수십 년이 지나도 주인을 분간한다. 하지만 얼굴은 나이가 들면서 주름이 생기는 등 물리적인 변화가 나타난다. 이런 변화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해놓지 않으면 AI의 ... ...
- [과학뉴스] 35억 년 전 달에 두꺼운 대기가 있었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대기를 이뤘던 휘발성 물질 가운데 일부는 현재 달 표면의 영구 응달 지역에 있는 얼음속에 갇혀 있을 수 있다”며 “이는 향후 우주인이 달 탐사 프로그램을 지속하는 데 필요한 연료와 공기의 원천이 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지구 ... ...
- Part 2. “털! 이번 生엔 널 없애기로 했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브라질리언 제모는 레이저를 사용해 수영복 라인을 제외한 다른 부위의 털을 반영구적으로 없애 매끈하게 만드는 것이다. 박 원장은 “브라질리언 제모는 몸에 털이 많은 사람에게는 권하지 않는다”며 “타투 시술 이상의 고통이 따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레이저 제모는 평균 7~8회 시술로 ... ...
- [Culture] 원본 증명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정말로 전송되는 걸까요? 아니면 구별할 수 없는 사본이 다른 곳에 만들어지는 순간, 영구적인 손상을 입고 더 이상 존재할 수 없는 상태에 접어드는 건 아닐까요? 저는 알고 있었습니다. 그 시절 저에게는 “의료” 분야에 관해 약간의 전문지식이 있었거든요. 지금은 별로 실용적이지 않은 게 되고 ... ...
- Part 1. Back to the Moon, 다시 불붙는 달 탐사 경쟁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소유즈특징: 러시아, 중국과 다방면 협력 유럽우주국(ESA)은 2020년대 중반까지 달 표면에 영구 기지인 ‘문 빌리지(Moon village, 위 사진)’를 지을 계획이다. 얀 뵈르너 ESA 사무총장은 2015년 12월 ESA가 주최한 ‘인간과 로봇의 탐사 협력 시대’ 심포지엄에서 국제우주정거장(ISS)의 뒤를 잇는 기지를 ... ...
- [Future] 고리1호기 가동 중단 ‘방사성 때’ 어떻게 벗길까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정지한 뒤, 시설과 부지를 철거하거나 방사성 오염을 제거하는 모든 활동을 말한다. 영구정지한 다음 5년 내에 원자력안전위원회에 해체계획서를 제출하고, 해체승인을 받은 후에 본격적인 해체작업을 시작할 수 있다.고리1호기의 경우 국가로부터 승인을 받은 뒤인 2022년 이후에나 해체 업이 시작될 ... ...
- [Origin] 프랑스 원자력 및 대체에너지청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월 19일 우리나라의 첫 상업용 원자력발전소인 고리1호기가 영구정지 됐습니다. 노후한 원자력발전소를 해체하는 것은 우리나라에서 처음 있는 일인데요. 전세계적으로는 오래 전부터 뜨거운 이슈였습니다. 원자력발전소의 대부분이 1960~1970년대 세워져 수명이 다해가고 있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 ...
- Part 2. 백신은 정말 옳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논문 때문이다(1파트 참조). 하지만 부정확한 데이터와 윤리적인 문제로 해당 논문은 영구 철회됐다. 백신 반대론자들은 백신의 사용과 자폐증에 걸린 어린이의 수 증가가 비례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자폐증이 증가한 것은 과거에는 가벼운 증상으로 자폐증으로 진단하지 않던 아이들이 자폐증으로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