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원
영존
불변
내구
항구
구원
영구기관
스페셜
화(火), 표현해야 건강해진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5.12.29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회복이 빠르다. 또 증상이 나타났다하더라도 심장 근육에
영구
적인 손상을 주지 않고 기능 장애 역시 일시적이며 2년 내 재발빈도도 2% 미만으로 꾸준한 약물 치료가 필요한 것도 아니다. 화를 참지 말고 표현하는 것이 예방의 시작 다만 원인이 ‘상심’에 있는 만큼 ... ...
신규원전의 롤모델, 지역경제와 결합한 세계의 원전들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11.06
월급 4000만 달러가 포함돼 있다. 또한 원전 가동으로 최소 400명에 최대 700명이
영구
적으로 직장을 얻게 된다. 이들은 지역의 다른 직업을 가진 사람들보다 평균 36% 더 높은 연봉을 받는다. 원자력발전소 건설 시에는 최대 3500명분의 일자리가 추가된다. 원전 기술 수출로 지역 발전에 기여 캐나다는 ... ...
우리보다 한발 앞선 스위스 그림젤 연구소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11.04
기여하고 있다. 연구시설을 통해 꾸준하고 깊이 있는 연구가 국민들에게 ‘방사성폐기물
영구
처분 시설이 안전하게 설치되고 운영된다’는 신뢰로 이어지고 있는 셈이다. * 본 기사는 한국원자력문화재단의 아톰스토리(http://atomstory.or.kr)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
['고리 1호기' 특집 (1)] 한수원 김현준 안전점검 차장 “고리 1호기에 바친 땀과 열정"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10.23
시간을 향하는 ‘연금술사’의 꿈 한 시간여의 인터뷰가 끝나가면서 고리 1호기
영구
정지에 대한 감회를 물었다.“정기검진 받으러 병원 한 번 다녀온 사람에게 사망선고 하는 거나 마찬가지 아닙니까?”고리 1호기 안전 책임을 맡은 그는 오히려 취재진에게 되물어 왔다. 인터뷰를 하는 그의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특집] 동물복제 왜 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컬라슬은 수천년 전 멸종한 매머드를 복원하는 프로젝트에 착수했어요. 시베리아 툰드라
영구
동토층에서 발견된 매머드 사체로부터 DNA를 분리한 다음 인공 자궁을 통해 복제를 시도한다는 계획이죠. 연구팀은 “매머드를 복원함으로써 시베리아 툰드라를 초원으로 되돌리고, 이 초원이 이산화탄소 ... ...
빙하 녹는 속도 알려주는 푸리에 법칙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기후변화가 어떻게 일어나는지 설명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용어 설명*
영구
동토층 : 토양 온도가 0℃ 이하로 최소 2년 동안 유지되며 얼어 있는 땅 ... ...
상어의 무한재생 이빨 인간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영구
치를 잃은 사람에게 ‘제3의 치아’를 찾아주는 목적이 아닙니다. 유전적인 문제로
영구
치가 정상보다 부족한 선천적 무치증 환자들을 위한 치료제입니다. 오늘날 치아가 6개 이상 없는 선천성 무치증 환자는 전 세계 인구의 약 0.1%에 달합니다. 무치증은 임플란트로 치료하는 것이 가장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가스 하이드레이트, 식량 자급률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2호
100년이 훌쩍 더 지난 1970년대 초가 되어서야 자연 상태의 가스 하이드레이트가 시베리아
영구
동토층●에서 처음 발견됩니다. 곧이어 수심 300m 이상의 깊은 해저에서도 다량 발견되지요. 전 세계에 매장된 가스 하이드레이트 양은 10조 t(톤)으로 추정됩니다. 가스 하이드레이트는 기존의 한정된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우주기자단] 우주항공청 최승철 과장님의 강연을 듣고
기사
l
20250830
우주 프로젝트로는 아르테미스 계획이 있습니다. 미국에서 주도하고 있고 우리나라도 참여하고 있다고 합니다. 다누리의 섀도우 캠이
영구
음영지역을 관측함으로써 달 착륙 지점 선정에 큰 도움을 주었다니 자랑스러웠습니다. 또 이제는 세계 각국의 민간 기업들도 우주 개발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미국의 스페이스X와 블루오리진, 우리나라의 이노스페 ...
ㅠㅠ
포스팅
l
20250804
.. 그런데 한 6개월 뒤에는 꼭!!!!! 언젠가는!!!!!! 이빨을 빼야 한대요 ㅠㅠㅠㅠ 그런데 잘못하면 아래 송곳니 2개 (이 2개의 송곳니도
영구
치임)도 뽑아야 할 수도 있대요 ㅠㅠ 그래도 다른 친구들은 다 교정 넣었다 빼는 거로 하던대 ㅠㅠ 하지만 다른 애들은 저보다 이빨이 가지런해서 그냥 이빨을 안 뽑아도 되는 거래요 ㅜㅜ 어... 이 ...
한국항공우주연구원으로의 견학!
기사
l
20250709
총 600KG 탐사선으로 6개의 탑제체가 있습니다. 또 여긴 미국의 기술이 실어져 있는데요, 바로 도우 워킹 탑재체입니다. 달의
영구
음영지역을 탐사하는 기능으로 태양 빛이 전혀 닿지 않은 지역으로, 물이 있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 곳입니다. 그리고 EVA-3 무인기의 모델을 봤는데요, 이 무인기는 성층권에서 활동하며 태양 에너 ...
우주기자단, 대한민국 우주 산업의 중심, 항우연에 다녀오다!
기사
l
20250630
이용해 기능을 바꿀 수 있는데, 다누리에는 6개의 탑제체가 있다고 합니다. 그중 미국이 개발한 쉐도우 캠은 달의 어두운 부분인
영구
음영지역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했다고 합니다. 성층권 무인기 EAV-3에 대해 설명을 들었습니다. 100Kg도 안되는 가벼운 무게입니다. 성층권까지 올라가면 공기가 없어 바람이 없습니다. 성층권 비행은 같은 지역을 ...
[우주 기자단 현장미션] 우리나라의 항공우주 기술, 그것이 알고 싶다!
기사
l
20250503
계획은 달에 사람을 보내는데 그치지 않고 정착시키는 것까지 목표를 둬 물이 필요하기때문에, 달의 크레이터 중 햇빛이 들지 않은
영구
음영지역에서 물 (얼음) 이 존재한다고 예상해 그 어두운 지역을 찍을 수 있기때문입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도 다누리를 통해서 착륙지 선정에 큰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물론 협력하는 것만큼 독자적으로 하는 것도 중요합니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