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기"(으)로 총 5,041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무슨 노래 들으세요? 뇌파 읽으면 알 수 있다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뇌에 흐르는 노래를 엿듣기 위해 이 교수 연구실에서는 신경 세포들이 주고받는 전기 신호인 ‘뇌파’를 측정한다. 이 교수 연구실의 박석범 연구원이 직접 뇌파 측정 장비를 시연해보였다. 두피 전체에 전극을 씌워 뇌파를 측정하는 EEG 장비를 착용한 모습이, 멀리서 보니 마치 덥수룩한 가발을 ... ...
- [논문탐독] 확장현실 몰입감을 끌어올리다, 감각 증강 시스템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문제가 있습니다. 또한 사람마다 근육의 양과 위치 등이 조금씩 다르므로 사용 전에 전기 세기, 주파수 등을 조정해야하죠. 게임을 하며 자극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주기를 만드는 등, 자극 조정의 자동화 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EMS의 사용성을 높이기 위한 향후의 연구 과제일 것입니다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모터만 있으면 가능하답니다. 콜라 캔을 오려 붙여 세탁기 몸통을 만든 뒤 모터와 전기회로를 연결하면 미니 세탁기 완성! 물과 세제를 넣고 전원을 켰더니 위잉 소리가 나며 세탁기가 빨래를 시작하네요. 이제 어디서든 내 머리끈을 세탁할 수 있겠어요. 미니 세탁기는 머리끈을 깨끗하게 만드는 데 ... ...
- [특집] 배터리와 전기차 개발 히스토리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이차전지는 충전과 방전을 반복할 수 있는 배터리입니다. 자동차를 굴릴 수 있을 정도로 에너지 밀도가 높은 이차전지, ‘리튬이온 배터리’의 탄생은 전기차 상용화에 박차를 가했죠. 배터리와 전기차 개발 히스토리를 따라가보고, 앞으로 얼마나 많은 사용 후 배터리가 나올지 살펴봤습니다. ...
- [특집] 쓰임 다한 배터리가 모이는 곳 미래폐자원 거점수거 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재활용 공장은 한국에 이제 하나둘 생기는 단계입니다. 포스코홀딩스 관계자는 “1세대 전기차들이 나오는 시기에 발맞춰 폐배터리 재활용 산업도 이제 막 싹트는 시기”라며 폐배터리 재활용 산업의 현재를 설명했습니다. 포스코홀딩스는 2022년 8월 폴란드에 전처리 공장인 PLSC(Poland Legnica Sourcing ... ...
- [5년 후, 과학은] 하늘까지 자율비행하는 미래 열까, 객체탐지 기술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이 분야는, 인간의 시각을 뛰어넘는다고 평가될 정도로 기술적 진보를 이뤘습니다. 전기자동차, 도심항공교통(UAM) 등의 모빌리티 혁신으로 자율주행 시장이 확장되는 현재의 추세도 딥러닝 분야에서 컴퓨터 비전이 중시되는 큰 이유죠. 이와 함께 주차를 차량이 자율적으로 진행하는 기술이 탑재된 ... ...
- [냠냠! 어수잼] 해파리 손님 주문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0호
- 수도 없지요. 그러니까 사탕을 0개씩 나눠서 포장할 수도 없답니다.” “그렇군요! 그럼 전기맛 사탕 2개 묶음을 8개 주세요. 사탕이 총 16개니까 반으로 나눠 8개씩 포장해 주세요.” 해파리는 사탕을 챙겨서 떠났어요. 마침내 모든 손님의 주문을 해결한 무니는 기지개를 쭉 켰지요. 무니는 ... ...
- [이야기로 냠냠! 어수잼] 배달의 문어 출발~ 사탕을 집 앞까지 무사히!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0호
- 함께 배달을 도와주세요! 사탕을 나누어 담아라! 23쪽의 도안에 소금맛, 진흙맛, 전기맛 사탕이 준비되어 있어요. 아래의 배달 상자들에 세 종류의 사탕을 나누어 담아야 해요. 모든 상자에는 사탕이 종류별로 똑같은 개수만큼 들어가야 하지요. 몇 개씩 담아야 좋을지 생각해 보세요! 짤랑 짤랑 ... ...
- [Data Math] 뚫을 테면 뚫어 봐! 삼성전자 반도체 보안을 책임진다!수학동아 l2023년 10호
- 모든 산업의 기반이 되는 학문이고, 응용되는 분야가 많아요. 이를 바탕으로 전자전기공학, 기계공학, 컴퓨터공학, 경제학 등을 부전공해서 자신이 하고 싶은 분야에 진출한다면 그 분야에서 인정받는 인재가 될 수 있어요 ... ...
- [커리어] 세계에서 가장 센 레이저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IBS 초강력 레이저과학 연구단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양자 전기동역학’이라는 별도의 학문 범주로 다룬다. 도플러 효과에 의해 형성된 강한 전기장을 이용하면 전자와 전자의 반입자인 양전자를 생성하는 등 지구에서 쉽게 관찰할 수 없는 현상을 만들 수 있다. 김 연구원은 “그간 아무도 할 수 없었던 실험이고, 현재 이 같은 실험을 할 수 있는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