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순록이 눈밭에서 먹이 찾는 비결, 자외선 보는 눈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새하얀 눈 속, 순록들이 무언가를 열심히 찾고 있다. 지의류다. 순록은 지의류를 주식으로 하는 유일한 반추동물이다. 눈 덮인 땅에서 순록은 어떻게 먹이를 ... 한다”며 “멀리서도 이끼류를 볼 수 있다면, 먹이가 부족한 시기에 칼로리소모를 줄일 수 있어 큰 이점이 된다”고 설명했다 ... ...
- Part3. 대규모 언어모델 AI 로봇 혁신할까과학동아 l2024년 02호
- RT-X에 대해 “장기적으로 성공률이 더 향상된다면, 우리 일상에 로봇이 활용되는 데 큰 기여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➁ 스스로 해결책을 생성하는 모델 고두열 한국기계연구원 인공지능기계연구실 선임연구원은 “일반인도 AI 로봇을 활용할 수 있을 정도로 상용화가 되기 위해선 휴대폰처럼 ... ...
- [COP28리뷰] 한국은 왜 ‘오늘의 화석상’을 받았나과학동아 l2024년 02호
- BTS, 영화 ‘기생충’ 같은 소프트파워를 가진 나라로 알고 있어 한국의 그린워싱에 큰 충격을 받은 것 같았다”며 “굉장히 부끄러웠다”고 소감을 밝혔습니다. 이어 “기후 악당이라는 오명을 벗기 위해 화석연료 투자를 멈추고, 청정 에너지에 대한 투자 확장에 대한 선언이 필요하다”고 ... ...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정책] 기초과학 vs. 응용과학 어떻게 다를까?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기초과학연구원(IBS)도 설립됐습니다. 두 기관 모두 노벨상에 대한 강한 열망이 설립의 큰 동력이 됐습니다. 즉 한국 과학정책 안에서 기초과학은 오랫동안 응용 및 개발을 위한 연구였다가, 언제부턴가는 노벨상을 받기 위한 연구로 다뤄진 것입니다. 혁신보다는 가시적인 성과를 위한 행보였습니다 ... ...
- 고려시대 선박, 잠에서 깨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배의 바닥 면인 저판의 규모로 따졌을 때 지금까지 국내에서 발굴된 고선박 중 가장 큰 규모”라고 설명했습니다. 연구팀은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법을 통해 해남선이 사용된 시기를 추정했어요. 방사성 원소인 탄소-14는 공기 중에 일정한 비율로 존재합니다. 방사성 원소는 상태가 불안정해 ... ...
- [가상 인터뷰] 국내 최초 물리탐사 연구선 ‘탐해 2호’ 퇴역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채취했단다! 이뿐 아니라 탐해 2호는 바다 아래 석유 자원이 있는지 조사하는 데도 큰 역할을 했어. 독도도 탐사했다던데? 바다엔 땅과 마찬가지로 가까운 나라가 주권을 행사할 수 있는 영해, 즉 배타적 관할 구역이 있어. 이곳의 권리를 주장하기 위해선 우리도 그만큼 바다를 잘 알고 ... ...
- [데이터로 지구 지킨다] 우리나라 교사들, 두바이로 향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끝난 지금도 열심히 환경 지킴이 활동을 하고 있답니다. 학생들이 한 실천은 단순하지만 큰 파장을 일으킬 수 있는 행동들이었어요. 전구 하나를 켜는 덴 석탄으로 가득 찬 1.5L짜리 페트병 12개가 필요합니다. 송전 시설에서 1.5L짜리 페트병 12개만큼의 석탄으로 전기를 만들면, 집이나 학교의 전구로 ... ...
- 소수 통해 수학의 중요성 깨달아수학동아 l2024년 02호
- 고민하기 위해서다. 올해 활동 시간이 60여 시간으로, 동아리 중 가장 길다. 입시와 큰 상관이 없는데도 이들이 이렇게 몰두하는 이유는 단 하나 재밌어서다. 최도휘 학생은 “더 프라임이 열리는 날 참가 학생들이 초반에는 활동에 집중하지 않다가, 어느 순간 몰입해 쉬는 시간에도 친구들과 ... ...
- 모든 수의 근원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있다. 소수는 아무런 규칙 없이 무작위로 드문드문 나온다. 그런데 왠지 조금만 더 큰 소수를 찾으면 규칙을 발견할 것 같은 예감이 들게끔 수가 등장한다. 오른쪽 그림은 1998년 독일의 화학자이자 작가인 피터 플리치타가 만든 ‘소수원’이다. 자연수를 1부터 순서대로 동심원 위에 시계 ... ...
-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거대 소수 찾기수학동아 l2024년 02호
- 기대감을 내비췄다. “‘거대 소수가 있다’라고 말만 하면 학생들이 얼마나 큰 수인지 느끼지 못해요. 그때 전 저만의 메르센 소수 책을 보여줘요. 48, 49, 50, 51번째 메르센 소수를 전부 인쇄한 책이에요. 한 장 한 장 깨알 같은 숫자를 읽으며 거대 소수를 학생들이 실감하고 감동하는 모습을 보면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