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편지에서 시작된 난제 골드바흐의 추측수학동아 l2024년 02호
- 018배까지 모든 짝수에 대해 이 추측이 성립한다는 사실이 확인돼 있다. 하지만 이 수보다 큰 수에서 예외가 발견될 수 있다. 그 후의 짝수에 대해서 정확히 성립하는지 아무도 증명하지 못했다 ... ...
- 쌍둥이 소수 추측 신드롬의 전말수학동아 l2024년 02호
- 극복해야 하는데, 폴리매스 프로젝트에선 전 세계 사람들과 함께 소통하기 때문에 큰 장애물을 조금씩 넘는 방법이 쏟아져 나온다”라며, 이 프로젝트의 장점을 2022년 와의 인터뷰에서 언급한 적 있다. 메이나드 교수의 연구에서 영감을 얻은 수학자들은 다시 열정을 불태웠고, 2014년 4월, ... ...
- 쌍둥이 소수 추측으로 필즈상 수상한 제임스 메이나드수학동아 l2024년 02호
- 교수의 논문을 보고, 메이나드 교수는 매우 흥분했다고 한다. 같은 연구가 같은 시기에 큰 발전이 일어나는 것은 매우 드문 일이기도 하고, 서로 해결하는 방식이 달랐기 때문이다. 장 교수는 소수를 골라내는 체 안에 어떤 수를 넣어서 소수로 이뤄진 등차수열(두 수의 차이가 같은 수들의 나열)을 ... ...
- 여성 수학자의 열정 담기다, 소피 제르맹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관한 연구가 해결의 결정적인 힌트를 제공했다. 알려진 소피 제르맹 소수 가운데 가장 큰 수는 2016년 2월에 발견한 무려 388342자리의2618163402417×21290000 - 1이다. 소피 제르맹 소수는 무한할 거로 추측되나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더 안전한 암호 만드는 데 유용 소피 제르맹 소수는 암호학과 관련이 ... ...
- RSA 암호의 미래는?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대표적으로 타원곡선을 이용한 공개키 암호시스템인 ‘타원곡선암호(ECC)’가 있다. 큰 수를 거듭제곱 꼴로 나타내는 것이 어렵다는 걸 이용하는데 1985년 미국 수학자 닐 코블리츠와 빅터 밀러가 거의 동시에 독립적으로 개발했다. RSA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수를 키로 사용하면서도 안전성이 높아 ... ...
- [에디터 노트] AI, 로봇 체인저의 등장과학동아 l2024년 02호
- AI 로봇과 함께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고민까지 폭넓게 담아내려 노력했습니다. 그 큰 그림을 한 발 앞서 미래를 준비하는 과학동아 독자들께 가장 먼저 보여드립니다. 여러분이 10년 뒤 이번 호를 다시 들춰보고 지금보다 더 놀라기를 바라봅니다. ‘아, 저때부터 현실이 SF를 앞질렀지!’ 하면서요 ... ...
- [과학뉴스] ‘뻥!’ 샴페인 터지는 소리 물리학적 비밀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드는 모습을 본 적 있는가. 마구 흔들어 기포가 올라온 샴페인을 여는 순간 ‘뻥!’하는 큰 소리가 난다. 이 경쾌한 소리의 비밀을 2023년 12월 19일 루카스 바그너 오스트리아 빈공대 유체역학 및 열전달 연구소 연구원팀이 밝혀냈다. doi: 10.1017/flo.2023.xxx 연구팀은 샴페인을 여는 순간을 ... ...
- Part1. 휴머노이드 로봇 AI로 ‘퀀텀점프’할까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수 있다. 휴머노이드 로봇의 경우 이보다 더 짧은 시간동안 활용할 수 있을테니 상용화에 큰 벽이 되리란 예측이다. “확실한 건 5년 안에는 안된다는 겁니다. 작년에 혹시 넘어진 적 있으세요?” 박해원 KAIST 기계공학과 교수의 질문에 기자는 고개를 저었다. 생각해보면 2023년 내내 한 번도 넘어진 ... ...
- 혹등고래와 대화를 시도하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꾸준히 분석해 온 과학자들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프로젝트가 지구에서 뇌가 가장 큰 향고래(향유고래)와의 대화를 꿈꾸는 미국의 CETI(Cetacean Translation Initiative)입니다. 향고래는 모스 부호와 비슷한 ‘코다’라는 음성 신호를 사용합니다. 또한, 향고래는 고래 생물학자 셰인 게로의 연구를 통해 ... ...
- [논문탐독] 혹등고래가 알려준 자유자재 유체 사용법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모델이 정확하다는 사실을 밝혔습니다. 이 논문에 따르면 혹등고래의 지느러미는 더 큰 받음각에서도 양력계수의 변동이 크지 않습니다. 최대 양력의 크기는 돌기 없는 지느러미보다 다소 적었지만, 돌기 없는 지느러미가 양력을 일으키기 어려운 크기까지 포함한 훨씬 넓은 영역의 받음각에서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