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page
장
페이쥐
면
패이지
페쥐
쪽
d라이브러리
"
페이지
"(으)로 총 655건 검색되었습니다.
[한
페이지
뉴스] ‘뭉치면 강한’ 검은벌레 로봇에 활용한다면?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얕은 물가나 늪지에 사는 캘리포니아 검은벌레(Lumbriculus variegatus)는 수천 마리가 얽혀 하나의 생명체처럼 행동한다. 이 군집은 흐르는 액체처럼 모양이 자유자재로 바뀌어 ‘벌레 거품(worm blob)’이라고도 불린다. 미국 조지아공대 화학 및 생체분자공학부와 물리학부 연구팀이 실험과 모델링을 통 ... ...
[한
페이지
뉴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국내 첫 접종 시작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정부가 2월 말부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이용해 국내 첫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예방접종을 시작하기로 같은 달 15일 결정했다. 대상은 전국 요양병원과 요양시설 5873곳의 입소자와 종사자 중 만 65세 미만인 27만 2131명이다. 당초 계획은 요양병원과 요양시설 내 만 65세 이상 고 ... ...
[한
페이지
뉴스] 냄새조차 흘리지 않는 늑대의 사냥법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유라시아와 북아메리카의 빽빽한 북쪽 밀림에 사는 늑대의 사냥법이 상세히 밝혀졌다. 늑대는 들소, 사슴 등 육상동물을 사냥할 때 그들이 지칠 때까지 쫓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런데 육지와 하천을 오가는 비버를 목표로 할 땐 조금 달랐다. 미국 미네소타대와 캐나다 매니토바대 공동연구팀은 미 ... ...
[한
페이지
뉴스] 공기 희박해도 OK 빛으로 비행하는 비행체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공기의 저항을 이용해 양력을 얻는 항공기는 성층권 하부까지만 날 수 있다. 그보다 고도가 높은 중간권 영역은 대기의 밀도가 낮아 양력을 받기 힘들기 때문이다. 대신 중간권 영역에는 강한 태양 빛이 비치고 있다. 이고르 바르가틴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응용역학 및 기계공학과 교수가 이끄는 공 ... ...
[KAIST 50년] KAIST 탐구보고서, 괴짜라고 불린 최초의 시도들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본다. ) ● 1호 박사가 말하는 KAIST의 발전과 부침, 그리고 발전 “석사학위 논문 마지막
페이지
엔 파란 도면을 넣었어요. 공장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정밀했죠.”‘KAIST 1호 박사’인 양동열 KAIST 기계공학과 명예교수(광주과학기술원(GIST) 석좌교수)는 1월 6일 화상으로 진행된 ... ...
[보존과학] 과학 기술로 문화재를 지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8호
기회가 있었어요. 책을 가만히 들여다보니 이순신 장군은 필체가 굉장히 정갈한데, 특정
페이지
에서는 필체가 흘리듯이 써내려간 부분들이 있어요. 모두 한자로 적혀있어 무슨 내용이 적혀있는 건지 궁금해 한문학자께 여쭤봤어요. 그런데 내용을 해석해보니 이순신 장군의 아들과 어머니가 ... ...
지구 어디서든 인터넷이?! 수만 대 스타링크 위성 군단 뜬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영역이 좁아지는 것이다. 우리가 책을 멀찍이 떨어뜨리고 보면
페이지
전체 내용을 볼 수 있지만, 코에 바짝 붙이고 본다면 달랑 몇 개의 글자만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이치다.결국 지구 전체에 초고속 인터넷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지구 저궤도에 수백, 수천, 많게는 수만 대의 ... ...
[한
페이지
뉴스]"산소는 SELF" 스스로 산소 공급하는 인공조직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6월 기준 국내 장기이식 대기자 수는 사상 처음으로 4만 명을 넘어섰지만, 기증자는 매년 줄어들고 있다. 망가진 장기를 대체할 인공조직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는 이유다. 특히 최근에는 3D 프린터를 이용해 장기의 인공조직을 구현하는 기술이 각광받고 있다. 슈라이크 장 ... ...
[한
페이지
뉴스] 생명체 존재 가능성? 외계행성 대기도 고려해야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흔히 외계행성 표면에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하면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다. 하지만 중심별(항성)이 외계행성의 대기에 미치는 영향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요소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디미트라 아트리 미국 뉴욕대 아부다비 우주과학센터 연구원팀은 총 492개 중심별 근처 ... ...
[한
페이지
뉴스] ‘이이제이(以夷制夷)’ , 땀으로 땀 배출 막는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땀 냄새는 피부에 서식하는 박테리아(세균)가 땀 속 단백질을 분해할 때 난다. 이 냄새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는 금속염 성분의 땀 억제제를 피부에 발라 땀관을 막는 것이다. 그러나 금속염 물질이 암을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어 인체에 무해한 땀 억제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높다. 조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