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page
장
페이쥐
면
패이지
페쥐
쪽
d라이브러리
"
페이지
"(으)로 총 655건 검색되었습니다.
[한
페이지
뉴스] 중세시대 남자들 사이에서 퍼진 유행병, 범인은 ‘뾰족구두’
과학동아
l
2021년 07호
앞코가 좁거나 굽이 높은 신발을 오래 신으면 엄지발가락이 휘어지는 무지외반증이 일어나기 쉽다. 현대에는 하이힐을 신는 성인 여성 사이에서 다수 발견된다. 최근 중세 영국에서는 이 질환이 중산층 성인 남자 사이에서 유행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영국 케임브리지대 등 공동연구팀은 케임브 ... ...
[한
페이지
뉴스] 표적 부위만 골라 열 쬐는 피부 접착 발열 장치
과학동아
l
2021년 07호
방사선 치료에 열 치료를 병행하면 종양 세포를 더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몸속에서 병변이 있는 국소 부위만 온도를 높이기 위한 신체 이식 장치가 연구됐으나, 인체에 독성이 없고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 해야 하는 문제가 남아 있었다. 후지 도시노리 일본 도쿄공업대 교수팀은 이 ... ...
[한
페이지
뉴스] 화성 5만 년 전에도 화산 폭발, 생명체 존재 가능성 높여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화성을 돌고 있는 인공위성이 5만 년 전 분출된 용암의 흔적을 찾아냈다. 지질학적으로 5만 년 전은 ‘최근’의 일이다.미국 애리조나대 달 및 행성연구소와 스미스소니언 국립항공우주박물관 공동연구팀은 위성 데이터를 통해 화성 적도 부근의 지역인 엘리시움 평원에서 약 34km 길이로 균열된 ... ...
[한
페이지
뉴스] 다이아몬드가 밝힌 아프리카 땅의 나이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순수 탄소로만 이뤄진 다이아몬드는 특유의 광택을 내서 귀한 보석으로 여겨지는 한편, 불순물이 섞인 다이아몬드는 천대받기 일쑤다. 그런데 이런 다이아몬드가 지질학자들의 손에서는 보석보다 오히려 귀한 취급을 받는다. 미국 컬럼비아대와 영국 글래스고대 국제 공동연구팀은 다이아몬드 ... ...
[한
페이지
뉴스] 거시세계에서도 증명된 양자얽힘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양자역학은 고전역학으로 풀이할 수 없는 미시세계의 물리현상을 설명한다. 그런데 최근 고전역학으로 설명하지 못한 거시세계의 현상까지 양자역학으로 밝힌 두 연구결과가 연달아 발표됐다. 양자역학 관점에서는 엄청나게 큰 물체인 머리카락 너비의 5분의 1 크기 알루미늄 원형 조각에 벌어진 ... ...
[한
페이지
뉴스] 척추동물 16종 완전한 표준유전체 공개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특정 생물종을 대표하는 유전체 정보인 표준유전체는 ‘설계도’에 비유된다. 정확한 표준유전체만 있다면 해당 염기서열을 재조립해 멸종한 생물을 되살리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존 유전체 해독 방식은 유전체 내 반복서열을 제대로 알아내지 못하는 등 한계가 있었다. 12개국 50여 ... ...
[SF소설] 랄로랑이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누군가의 미래를 위한 일을 하는 거죠.”회색 여자는 잠시 조용히 생각하더니 자료 첫
페이지
로 시선을 보내며 물었다. “그런데 우주선 이름이 왜 하필이면 스틱스죠?” 파란 남자가 미소를 지으며 대답했다. “우리의 마지막 영혼이 지나갈 길이니까요.”“다들 오만했던 거야. 선배 문명 같은 ... ...
[한
페이지
뉴스] 세계에서 가장 빠른 정보엔진 나왔다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정보로 에너지를 만드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정보엔진’이 개발됐다. 캐나다 사이먼프레이저대 연구팀은 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 크기의 입자를 용수철 끝에 매달고 레이저 빔을 마치 집게처럼 써서 일정 범위 내에 가두는 방법으로 속도가 빠른 정보엔진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 ... ...
[한
페이지
뉴스] 생명체 존재 가능성, 행성 탄생 과정에서 정해진다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태양계 내에서 생명체 거주 가능 행성을 찾는 과학자들의 노력은 그간 골디락스 영역에 집중됐다. 생명체에게 적당한 온도는 물론, 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큰 지역이기 때문이다. 데이먼비르 그레윌 미국 라이스대 지구, 환경 및 행성학과 연구원팀은 행성 발달 과정과 주변 환경에 의해 생명체 거 ... ...
[한
페이지
뉴스] 약물 전달한 뒤 사르르 녹는 얼음 미세침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고통 없이 약물을 주입할 수 있는 미세침은 주사를 대체할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통각 신경에 채 닿지 않는 피부 아래 1mm 이내의 깊이로 미세한 침을 찔러 약물을 투여하는 방식이다. 다만 지금까지 개발된 미세침은 피부에 붙인 뒤 약물 주입이 끝나면 다시 떼어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홍콩시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