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표
대상
과녁
목적
겨냥
표점
타깃
d라이브러리
"
표적
"(으)로 총 360건 검색되었습니다.
북한은 왜 500km 고도에 위성을 쐈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지상으로 내려와야 한다. 즉 우주에 올라갔던 로켓이 지상의 정확한 목표를 겨냥하는 ‘
표적
조준기술’과 대기권을 돌파하고 들어오면서도 탄두가 타 없어지지 않는 ‘재돌입’ 기술이 있어야 ICBM으로 쓸 수 있다. 북한이 이런 기술을 갖췄다고 보기는 아직 어렵다. 북한은 아직 ‘재돌입’ 과정을 ... ...
죽음의 공포를 삭제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삭제할 수 있다. 최근에는 삭제하고자 하는 공포기억을 다시 떠올리게 한 뒤 그 기억만
표적
으로 골라 삭제할 수 있는 약물이 보고되기도 했다. 하지만 기억 삭제는 윤리적인 문제가 많기 때문에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아직 실험적 증거는 없지만, 이런 후천적 공포도 결국 죽음의 공포를 담당하고 ... ...
Part 3. 미래전은 5차원 전쟁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무인무기의 활약이 더 커진다. 다양한 무인무기가 사람을 대신해 정보를 모으고,
표적
을 추적하고 레이더를 교란하는 것은 물론, 지뢰를 제거하고 오염을 제독하는 위험한 일도 수행할 것이다. 또 로봇이 인간전투원의 전통적인 3D작업을 대신해 경제성, 생산성, 효율성 등을 높일 것이다. 이런 무인 ... ...
Part 2. 창 대 방패, 미래무기 물리학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형태가 자연에서 생기는 번개와 같다. 그러나 아무리 테슬라 코일로 만든 인공 번개라도
표적
을 맞추거나 아군과 적을 선별해서 공격할 수는 없다. 조종이 안 되는 것이다. 이 문제를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최근 레이저와 플라스마를 이용해 번개를 제어할 수 있는 해법이 등장했다. 먼저 레이저로 ... ...
수학으로 명중! 사격과 양궁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8강 이후)를 이기면 경기가 끝나고, 세트포인트가 동점이면 다시 1발씩 쏴서(슛-오프)
표적
의 정중앙에 가까운 사람이 이긴다.실제로 이번 올림픽 여자 개인전에서 최현주 선수는 세트제 때문에 16강에서 탈락하고 말았다. 최 선수는 16강에서 만난 프랑스의 베랑제르 슈 선수보다 누적 점수가 2점이나 ... ...
2500m 초장거리 저격의 비밀은?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빨리 다음 발을 발사해야 한다. 두 번째 탄환은 반드시 맞춰야만 한다. 이 관계자는 “
표적
과의 먼 거리 때문에 두 발까지는 비교적 안전하게 쏠 수 있지만 세 번째는 없다”고 못 박았다.그러나 정확도 100%는 저격수들이 여전히 추구하는 목표다. 저격용 탄환은 테러리스트를 빗겨 지나가는 순간부터 ... ...
[시사] 수학으로 배우는 서커스 마다가스카 3
수학동아
l
2012년 07호
환경에 맞게 오랜 시간 진화해 특이한 생김새를 지니게 됐다.카멜레온은 마다가스카의 대
표적
동물이다. 세계에서 가장 작은 카멜레온이 있는 등 전 세계 카멜레온 종의 절반인 75종이 마다가스카에 몰려 있다.게코도마뱀도 마다가스카에서는 독특하게 진화했다. 큰나무잎꼬리게코도마뱀은 꼬리와 ... ...
똑똑한 사냥꾼 T세포의 역습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찾는 것과 같은 전략이다. 연구팀의 크리스토퍼 헌터 교수는 “레비 워크 기법은 희귀한
표적
을 찾을 때 효과적인 방법”이라며 “T세포도 여러 세포 중 감염된 특정세포를 찾아야 하기 때문에 이 방법을 쓰는 것 같다”고 말했다.T세포는 병원체에 감염된 세포를 죽이거나 B세포(항체를 분비해 항원 ... ...
이공주 이화여대 교수, 한국 로레알-유네스코 여성생명과학상 수상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기능을 특화하는 과정을 연구하고 있다. 정초록 연구원은
표적
항암제 개발을 위한
표적
분자를 찾고 있다. 학술진흥상 수상자는 2000만 원, 펠로십 수상자는 각각 500만 원을 받는다 ... ...
DNA오리가미로 나노로봇 만든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실어 보낼 수 있다. 나노로봇은 뚜껑이 닫힌 채 이동하다가 암세포 주변에서 DNA앱타머가
표적
단백질과 결합해 뚜껑이 열리고 속에 있던 항체가 암세포 표면의 항원과 결합해 성장을 억제한다.연구자들은 “나노로봇을 이용하면 다양한 측면에서 세포의 행동을 조절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