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표적"(으)로 총 36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韓 가속기 굴기 ‘ 입자 공장’ 라온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들어설 예정”이라며 “이들은 각각 저에너지 핵과학, 고에너지 핵과학, 응용 분야의 대표적인 연구가 가능한 장치”라고 설명했다. 이들 장치가 들어설 가속기동은 2020년 12월 구축이 끝난다. 이후 ISOL 시스템과 IF 시스템의 시운전을 순차적으로 진행하고 나면 라온은 2022년 본격적으로 실험을 ... ...
- 움직이고 부딪치는 운동량과 충격량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스톤’이라고 부르는 무겁고 넓적한 돌을 번갈아 던지며, ‘하우스’라는 원으로 된 표적에 얼마나 가까이 보내는지에 따라 게임의 승패가 갈린다. 그런데 이렇게 스톤을 움직이거나, 스톤을 다른 스톤으로 쳐내 이동시키는 과정에는 운동량과 충격량이 들어 있다. 조금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 ...
- UNIST 종합다면면접평가 분석 및 대비법과학동아 l2018년 03호
- ‘크리스퍼(CRISPR)’가 개발됐다.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기술은 크리스퍼라는 RNA가 표적 유전자를 찾아가 ‘캐스(Cas)9’이라는 효소를 이용해 DNA 염기서열을 잘라내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돼지 장기를 인간에게 이식할 때 나타나는 문제점을 유전자가위 기술로 교정하거나, 줄기세포나 체세포에서 ... ...
- [종목5] 컬링, ‘ 빙판 위의 체스’ 돕는 얼음 물리학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얼음 위에서 미끄러지게 만들어 원형 표적(하우스) 안에 집어넣는 방식이다. 스톤을 표적 중앙에 더 가까이 붙인 팀이 점수를 얻는다. 스톤을 원하는 방향으로 보내기 위해서 빗자루 모양의 브러시로 얼음바닥(컬링 시트)을 빠르게 닦아주는 게 중요하다. 컬링 선수들은 한국스포츠개발원 연구팀에 ... ...
- [가즈아! 평창] 2018 동계올림픽수학동아 l2018년 02호
- 해낼 수 있는지는 지켜 보자고! 컬링 스톤 궤도의 비밀은?컬링은 스톤을 정해진 표적 안에 넣어 득점하는 경기야. 상대팀의 스톤을 밀어내거나 피해야 하지. 스톤의 무게는 무려 19.96kg이야. 이 무거운 돌이 어떻게 곡선을 그리며 상대방의 스톤을 피해서 목표지까지 들어갈까? 스테판 야콥슨 ... ...
- Part 5. 온 몸이 보안 코드, 생체인증 시대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갤럭시 S8’의 홍채 보안 인증을 보기 좋게 통과하는 영상을 공개하기도 했다. 이들은 표적이 된 사람의 눈을 야간 촬영 모드로 찍어 출력한 뒤 콘택트렌즈를 붙인 가짜 눈으로 홍채 인증을 뚫었다. 적외선을 이용해 홍채를 인식하는 홍채 인식 시스템의 허점을 노린 것이다(위 QR 코드). 이를 ... ...
- [Issue] 잘 나가는 크리스퍼 ‘처녀생식’ 논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도입하기 위해서, 주형이 될 수 있는 외부 DNA를 함께 넣어준다. 이 외부 DNA(Donor DNA)는 표적 DNA와 유사한 염기서열을 가지고 있어, DNA가 잘리고 나면 그 부분에 자연스럽게 붙는다. 이를 ‘상동직접수선’이라고 부른다(아래 그림). 그러면 DNA가 잘린 부분을 수선할 때 변이가 없는 외부 DNA를 주형으로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가위’다. 크리스퍼라는 RNA(유전자 가위)가 ‘Cas-9(캐스-9)’이라는 효소를 이용해 표적 DNA 염기서열을 잘라내는 기술로, 유전자 교정의 정밀도를 획기적으로 높인 것으로 평가 받는다. 이 기술의 파급효과는 매우 강력해서, 암 같은 난치병을 곧 쉽게 치료하게 될 거라는 기대와, 제대로 된 기준을 ... ...
- Part 2. 슈퍼맨의 히트비전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300~600km, 출력이 총 3MW(메가와트)나 되는 ‘산소요오드 화학레이저(COIL)’를 실어 지상 표적을 파괴하는 실험에 성공했다. 2011년 비용 문제로 기술 개발이 중단됐으나, 최근 미사일방어국(MDA)이 ICBM을 초기 발사 단계에서 요격할 수 있는 고에너지 레이저 발사체계 탑재 무인기를 개발하기로 하면서 ... ...
- Part 5. [노벨상 예측] 노벨상 제정 벌써 117년 향후 노벨상 탈 연구는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부산물을 확인하는 방법이다. 과학자들은 은하계 중심부를 간접 탐지의 가장 유망한 표적으로 여긴다. 여기에 암흑물질이 가장 많을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최근 몇 년간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페르미 감마선 우주망원경’은 감마선 방출이 은하 중심부에 집중돼 있음을 보였다.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