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표
대상
과녁
목적
겨냥
표점
타깃
d라이브러리
"
표적
"(으)로 총 360건 검색되었습니다.
[융복합파트너@DGIST] 뇌 속 단백질 조절해 지방 줄인다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치료법을 찾는 것이 목표다. 그는 “식욕조절에 문제를 일으키는 특정 세포나 단백질만
표적
으로 삼아 치료할 수 있는 후보 물질을 밝혀내면 부작용 없는 치료제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김 교수는 현재 뇌대사체학(Neurometabolomics) 연구도 진행중이다. 이는 뇌 기능 조절에 관여하는 핵심 ... ...
글로벌 제약 사업에 뛰어든 바이오 전문가 “인생의 멘토를 만드세요”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제약사로 발돋움하기 위해 거침없는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이뮤노믹 테라퓨틱스 외에도
표적
항암제인 ‘리보세라닙’을 개발한 미국의 엘리바, 인공 간 줄기세포치료제 개발사인 에이치엘비셀(구 라이프리버) 등 바이오연구기업을 인수했다. 항암제 개발에 주력하기 위해 에이치엘비생명과학 ... ...
[기초과학의 힘] 복제 스트레스 높여 암세포 먼저 죽인다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시스템에 대한 기초연구가 필수”라고 강조했다.DNA 복제 과정을 이용하면 새로운 형태의
표적
항암제도 개발할 수 있다. 명 단장은 “암세포는 정상세포보다 복제 스트레스에 훨씬 민감하다”며 “암세포의 ATAD5 유전자를 억제해 인위적으로 복제 스트레스를 극대화하면 정상세포보다 먼저 ... ...
미사일·어뢰·드론 3대 위협 청해부대 호르무즈해협 파병 안전진단
과학동아
l
2020년 04호
360도 모든 방향을 탐지하기 위해 회전하는 동안 감시하지 못하는 구역이 발생하고
표적
의 추적 능력이 떨어진다. 이와 다르게 영국과 일본이 각각 호르무즈해협에 파병한 HMS디펜더함(D36)과 다카나미함(DD-110)은 위상배열레이더가 탑재됐다. 위상배열레이더는 안테나를 기계적으로 회전시키지 않고, ... ...
고작 감기인줄 알았던 코로나바이러스의 진짜 정체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필요한 효소의 활성을 방해하는 항바이러스제가 대부분인데, 스파이크 단백질의 RBD만을
표적
(항원)으로 삼는 백신(항체)을 개발할 수도 있다. 지금 이 순간에도 코로나바이러스는 자연 숙주인 박쥐에서 유전자 재조합을 통해 끊임없이 새로운 종을 만들어내고 있을 것이다. 다양하게 재조합된 ... ...
[DGIST] 신형 나노입자로 비정상 세포 정조준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EGFR은 유전자에 변이가 생기면 정상세포를 암세포로 바꾸고 암세포의 성장을 돕는 대
표적
인 암 표지인자다. 이 연구결과는 화학 분야 최고 학술지인 ‘미국화학회지(JACS)’ 2018년 10월 31일자에 실렸다. doi: 10.1021/jacs.8b09037현재 서 교수는 삼성창원병원 이비인후과, 서울아산병원 안과 등과 공동으로 ... ...
[과학뉴스] 비만 치료 위해 뇌 시상하부 정조준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찾아내 국제학술지 ‘오토파지’ 8월 30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연구팀이 찾아낸
표적
은 뇌실과 시상하부를 연결하는 띠뇌실막세포(tanycyte)다. 연구팀은 고지방 먹이를 다량 섭취한 비만 쥐의 띠뇌실막세포를 관찰한 결과, 지방을 저장하는 주머니 역할을 하는 지방소립이 과도하게 축적돼 있음을 ... ...
[과학뉴스] DNA 그물로 감싼 약물, 유전자가위로 싹둑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유전자가위만 바꾸면
표적
을 쉽게 바꿀 수 있다”며 “암세포뿐만 아니라 다양한
표적
에 약물을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 10.1126/science.aaw512 ... ...
[과학뉴스] 위장크림처럼 세포막 바른 박테리아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용도가 제한적이었다. 연구팀은 군인이 얼굴에 위장크림을 바르듯, 박테리아 표면에
표적
생물의 세포막을 코팅해 마치 스텔스기처럼 면역체계를 피해갈 수 있는 박테리아인 ‘CMCB’를 개발했다. 연구팀은 쥐 실험을 통해 CMCB가 체내 면역체계의 공격을 받지 않고 종양 촬영에 필요한 조영제 ... ...
日, 사지마비 환자 일으켜 세우나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만드는 건 생각보다 까다롭다. 1대 1로 바로 ‘변신’시키는 직접교차분화 기술이 원하는
표적
조직의 세포를 얻기에는 훨씬 수월하다. 물론 한계도 있다. 김 교수는 “직접교차분화 기술은 원하는 세포를 얻기는 쉽지만 실제 만들어낸 세포의 기능이 역분화 방식보다 다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고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