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행렬"(으)로 총 336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당신의 시간은 존재하나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그게 무엇인지는, 여전히 연구 중이다. 끈이나 고리, 또는 추상적인 비가환 공간(행렬)이 후보로 꼽힌다.물론 이런 아이디어에 대한 저항도 있다. 양자중력이론의 후보 중 하나인 고리양자중력을 연구하는 미국의 물리학자 리 스몰린은 “시간은 실재하며, 미래를 만들어낸다”고 주장한다. 그는 ... ...
- 인공지능, 인간을 뛰어넘은 비밀수학동아 l2016년 04호
- 굉장히 오래 걸린다. 이것을 해결하는 답은 선형대수학에 있다. 선형대수학은 크기가 큰 행렬을 컴퓨터가 효과적으로 다루도록 도와준다. 푸는 데 10년 걸릴 문제를 순식간에 풀도록 바꿔주는 것이다.컴퓨터에게 선형화한 문제를 해결하도록 시키려면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알고리즘을 짜야 ... ...
- [지식] #數수스타그램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소프트웨어는 시각적인 정보를 부호로 바꿔 픽셀 하나하나에 담아요. 그리고 벡터와 행렬을 이용해 이미지에서 나타내려는 색깔을 결정해요. 픽셀 하나는 아주 작은 점이지만 수없이 많이 모이면 직선이나 곡선, 다각형 면, 패턴, 심지어 3차원 입체도형도 되지요. 픽셀마다 색깔이나 패턴이 달라 ... ...
- [지식] 엄상일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3호
- 나뭇가지 모양처럼 구조적으로 단순하게 나눴을 때, 각 절단면을 지나는 선들로 만든 행렬계수를 얼마나 작게 만들 수 있는지를 알아보는 알고리듬이에요.그 전에도 이런 알고리듬이 있다면 그걸로 여러가지 응용을 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었지만, 그래프를 실제로 어떻게 나눠야 하는지 알 수 ... ...
- [Knowledge]파충류의 속사정 ➒ 익룡 中 ‘중생대 뷔페’가 만든 기기묘묘한 머리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익룡들은 이 해변을 걸어 다니면서 발자취를 남겼다. 재밌는 것은 이곳의 익룡 발자국 보행렬이 모두 제각각이라는 것이다. 어떤 익룡은 보폭이 좁고, 어떤 것은 보폭이 넓다. 이것은 익룡이 때에 따라 다른 속도로 걸어 다녔음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익룡들이 땅 위에서 자유롭게 움직였음을 알 수 ... ...
- 교과서 밖으로 나온 수학, 세상을 바꾼다!수학동아 l2015년 12호
- 숫자나 공식이 하나도 안 보이는데 수학은 어디 있을까요? 방금 본 화면에는 미분, 적분, 행렬이 다 들어 있어요. 영상 속에 보이는 아이언맨의 집은 그래프로 만든 것이고, 진짜 같은 파편과 물결 파도도 모두 수학식이에요. 실제처럼 보이는 그래픽 기술은 수학으로 이뤄져 있어요.”뒤이어 영화 ... ...
- 빛을 멈추게 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부근에서 선두 차량의 속도가 느려져 뒤의 차들도 서행을 한다면 간격이 좁아져 전체 행렬이 10m 이내로 줄어들 수 있다(차량 길이를 무시한다고 가정하자). 마찬가지로 원래라면 수 km에 달하던 펄스가 느린 빛으로 변하면 수 mm가 된다. 정보가 압축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것만으로 정보를 저장했다고 ... ...
- [Photo] 기후변화가 만든 미래의 고고학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집중 촬영했다.미래로 걸어가는 사람들유목민들이 예견된, 황폐한 미래로 걸어가고 있다.행렬 끝에 선 어른보다 맨 앞에 선 어린이가 기후변화의 직접적인 피해자라는 암시를 담고 있다 ... ...
- [Knowledge] 더 지니어스의 생존법 : 인디언포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유도하곤 한다. 혹시 상대의 10을 잡기 위한 거짓말 확률도 구할 수 있을까.엄 : 일단 10×10 행렬을 그려서 각 상황별로 철수와 영희가 받는 보상을 계산해서 … (이때부터 기자는 아무것도 알아듣지 못했다.)정 : 그건 어려울 것 같은데, 식 개수보다 변수가 더 많다. 이 : 아. 분명히 구할 수 있는데…. ... ...
- PART 1 기하학을 품은 브릭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직육면체 모양으로, 스터드 수와 모양에 따라 ‘$n×m$ 브릭’이라고 한다. 수학에서 행렬을 나타내는 것과 같은 방법이다. 직육면체 모양의 기본 브릭은 ‘2×4 브릭’이라고 쓴다. 기본 브릭보다 얇고 납작한 브릭의 이름은 ‘플레이트’다. 플레이트도 크기에 따라 ‘$n×m$ 플레이트’라고 부른다. 또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