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방
되풀이
답습
겉치레
모의
시늉
인용
d라이브러리
"
흉내
"(으)로 총 290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뇌 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돕는 완벽한 기계를 만들 수 있겠죠?뇌를 닮은 기계들이 온다!사람의 뇌 구조를 그대로
흉내
내서 슈퍼컴퓨터를 만들려는 노력도 이어지고 있어요. 유럽 86개 연구기관이 참여한 이 연구는 ‘휴먼브레인프로젝트’라고 불러요. 사람 뇌와 완벽하게 똑같은 슈퍼컴퓨터를 만드는 것이 목표지요. 우리 ... ...
[지식] 매미의 한여름 세레나데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찾아 짝짓기를 하는 매미의 생활방식에 적합하다. 하이보 동 교수팀은 매미 날개를
흉내
내 매미처럼 짧은 직선거리를 빠르게 날아다니는 로봇을 개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나비에-스톡스 방정식★ 점성을 가진 유체에 대한 일반적인 운동방정식. 이 방정식을 이용하면 물이나 바람의 흐름, ... ...
우주론을 바꾼 역사 뒤편의 영웅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도움이 없었다면, ‘허블의 법칙’은 나오기 힘들었다. 하지만 고상한 척 영국 억양을
흉내
내며 천문대에서도 승마복과 승마신발을 신고 다니던 허블은 자신의 가장 중요한 동료를 언제나 무시하며 천대했다.빅뱅이론의 원조 앨퍼와 허먼르메트르는 최초로 ‘뜨거운 우주 탄생 모형’을 제안한 ... ...
[수학뉴스] 오징어처럼 자유자재로 위장할 수 있다고?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점에 주목했습니다.그리고 전류에 반응하는 소재인 엘라스토머로 오징어의 색소체를
흉내
내는 인공 색소체를 만들었습니다. 엘라스토머는 외부 자극으로 순식간에 모양을 확 바꿀 수 있고, 다시 원래의 모양으로 재빨리 돌아갈 수 있는 성질이 있는 소재입니다.연구팀은 오징어의 색소체가 색깔과 ... ...
[수학뉴스] 해마 꼬리가 네모난 이유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개인기가 있습니까?과학자들이 최근에 벼룩을 닮은 ‘벼룩 로봇’이나 뱀의 움직임을
흉내
낸 ‘뱀 로봇’ 등을 개발하면서 여러 동물의 꼬리에 관심을 갖게 된 모양입니다. 아무래도 동물마다 사는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꼬리의 기능도 다를 수밖에 없지요. 저는 ‘멋진 꼬리 선발대회’에 ... ...
PART3. 가상현실과 현실을 구분 할 수 없다면?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말이다.1파트에서 소개한 가상현실 기기가 아무리 발달해 도 사람의 오감을 완벽하게
흉내
낼 수는 없다. 하지 만 뇌를 직접 자극하는 기술은 다르다. 팔과 다리에서 신경을 타고 척수로 들어간 감각신호는 시상하부 에 있는 후측배내측핵을 거쳐, 대뇌 피질의 좌․우측 섬엽에 도착한다. 만약 가상 ... ...
PART2. 현실 닮아가는 가상현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있다.‘HMD 춘추전국시대’가 갑자기 열리면서 시각 외에도 청각이나 촉감, 미각, 후각을
흉내
내는 가상현실기기 연구자들도 덩달아 바빠졌다. HMD에 이런 가상감각 장비까지 결합해 사용하면 가상현실을 온전히 즐길 수 있을 것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가상현실 눈앞으로 ... ...
연꽃과 도마뱀 키우는 기계공학자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자연이 가진 신기한 기능을 인공적으로 구현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거미를
흉내
내서 슈퍼히어로가 된 스파이더맨도 어떻게 보면 생체모방공학의 결과물이다. 스파이더맨이 생명공학의 결과라면 정 교수는 기계공학을 기반으로 자연을 모방한다.이 분야의 대표적인 예가 게코 도마뱀이다. 게코 ... ...
Part 3. 강함을 배운다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형태를 갖추는 것과 날갯짓을 하는 것은 완전히 다른 기술이라고 강조했다. 새 비행을
흉내
내려면 새의 정교한 날개 깃털 제어기술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 새는 항공기와 달리 날개와 깃털을 위아래 좌우로 움직여 비행한다. 어떤 방향으로 움직이는지는 주위 환경에 따라 수시로 바뀐다. ... ...
[생활] 어벤져스 vs인공지능 울트론 인류 생존을 건 전쟁의 승자는?
수학동아
l
2015년 05호
탄생할까? 앞으로 인공지능 기술은 방대한 지식을 활용해 답을 찾거나 사람을
흉내
내 말하고 움직이는 수준을 뛰어넘을 것이다. 그러면 새로운 지식을 학습해 스스로 데이터를 축적하고 사람과 공감할 수 있다.IBM에서 개발한 ‘카그니토이’는 지난 2011년 한 퀴즈프로그램에서 사람과 대결해 이긴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