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옹이
혹
관절
뼈마디
골관절
매듭
귀절
뉴스
"
마디
"(으)로 총 628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사랑받는 게 두려운 사람들
2021.09.04
집안에서 딸로 태어나 사랑보다 차별에 먼저 익숙해지고 그럼에도 양육자의 칭찬 한
마디
가 고파서 '좋은 성적' 같이 뛰어난 성과를 보이는 데 집착하게 된 경우, 또 어린 나이에도 불구하고 양육자의 감정 상태나 양육자가 자신에게 원하는 바를 면밀히 파악해서 착한 아이가 되는 데 집착하게 된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전자의 발견
2021.09.02
안에 음의 전기를 띠고 있는 훨씬 더 가벼운 요소가 있다고 주장한 것이기 때문이다. 한
마디
로 원자는 쪼개질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원자는 더 이상 '아톰(atom)'이 아니게 된다. 몰론 그럼에도 우리는 여전히 원자(atom)라는 말을 쓰고 있다. 또한 원자는 이 세상을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기본단위 중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방사능의 발견
2021.08.19
퀴리를 만나 결혼(1895년)했고, 이후 마리 퀴리로 더 널리 알려지게 된다. 방사능이란 한
마디
로 말해 입자나 파동의 형태로 에너지를 방출하는 성질이나 능력을 말한다. 이때 방출되는 입자나 파동의 흐름을 '방사선'이라 하고, 이런 성질을 가진 물질을 '방사성 물질'이라 부른다. 보통 불안정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진정한 위로와 조언의 조건
2021.08.07
사람들의 경우 죽어가는 마음에 생명을 불어넣을 수 있는 힘을 지닌 사람들이다. 열
마디
말 보다 감정이 더 많은 메시지를 전달한다. “힘들다”는 짧은 말에서 우리가 서로에게 전달하려 하는 것은 사실 말 자체보다 그 안에 담겨있는 감정인 경우가 많다. 누군가의 감정을 이해하는 것은 곧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우주의 '괴물' 블랙홀
2021.07.22
속에서 정의될 수 있는 현대적인 개념이다. 일반상대성이론에서 블랙홀은 한
마디
로 어떤 경계 안에 질량이 집중돼 있는 시공간의 영역이다. 그 경계를 사건의 지평선이라 부른다. 사건의 지평선은 사실 가상의 구면으로 그 크기를 결정하는 반지름을 슈바르츠실트 반지름이라 한다. 슈바르츠실트 ... ...
[표지로 읽는 과학]경이로운 기하학적 형태를 띠는 꽃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1.07.11
결합해 분석했다. 분석 결과 제기능을 하지 않는 식물 분열 조직으로 인해
마디
와
마디
사이가 느리게 성장하는 현상과 개화 관련 유전자가 결합하고 그 결과 불완전한 형태의 꽃이 겹겹이 자라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 기관이 발달하는 동안 분열 조직이 제기능을 했다면 지금과 같은 차원 ... ...
[강석기의 과학카페]피부에 흉터 남기지 않고 나을 수 있을까
2021.06.22
감지하는 신경계도 엉성해져 흉터 부분을 건드려도 감각이 둔하거나 이상한 느낌이다. 한
마디
로 흉터는 피부로서 제 기능을 하지 못한다. 흉터가 작으면 보기에만 안 좋은 수준이지만 전신 화상 등으로 피부의 넓은 면적에 흉터가 생기면 체온조절 등 여러 생리 기능이 떨어진다. 놀랍게도 임신 2 ... ...
'벌새보다 작은 공룡' 호박 속 실제 주인공 도마뱀 확실해져
연합뉴스
l
2021.06.15
도마뱀이라는 점이 더 잘 보존된 다른 종(種)을 통해서 다시 확인됐다. 손가락 끝
마디
크기의 호박에서 발견된 이 두개골은 지난해 3월 '눈과 이빨, 새'를 뜻하는 라틴어인 '오쿨루덴타비스 카운그라이'(Oculudentavis khaungraae)라는 학명을 붙여 현존하는 가장 작은 새인 벌새에도 못 미치는 몸집을 가진 ... ...
뛰는 것 빼곤 다 된다…국내 첫 무릎형 로봇 의족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1.06.15
모터가 많이 달리고 무거워진다”며 “모터를 하나만 쓰는 대신 와이어를 이용해 손가락
마디
의 굴곡을 자유롭게 움직이는 구조로 설계했다”고 설명했다. 로봇 의수를 차고 팔뚝에 근전도 센서를 붙이면 근전도 센서가 근육에서 발생하는 전기신호를 읽어 로봇 의수에 전달한다. 김 선임연구원은 ... ...
무엇이든 잡는 로봇손, 비밀은 손바닥
과학동아
l
2021.06.02
손이 얼마나 잘 집을 수 있는지 확인한 결과 전체 손의 크기 대비 손바닥을 25%, 두 손가락
마디
를 각각 43%와 32% 비율로 설계했을 때 가장 잘 집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대부분의 로봇손은 두 개의 집게손가락만을 이용해서 사물을 잡는다. 이 경우 사물의 형태에 따라 물건을 잘 집지 못하기도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