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옹이
혹
관절
뼈마디
골관절
매듭
귀절
뉴스
"
마디
"(으)로 총 628건 검색되었습니다.
빌 게이츠도 주목한 혁신 의료기기 기업, 한국인 연구자가 주축
동아사이언스
l
2020.08.24
블루투스) 안테나, 두께 0.005mm의 구리 도선 등을 집적해 만든 패치로 어른 손가락 두
마디
크기다. 가슴과 발바닥에 각각 붙여 데이터를 수집한 뒤 거추장스러운 전선 없이 무선으로 외부 모니터링 장비에 전송한다. 결과는 노트북이나 스마트폰으로 확인할 수 있고 클라우드를 통해 데이터를 ... ...
손 대신 지느러미 택했지만...자연은 손가락뼈 유지한 수중동물 택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9
없는 동물”이라고 말했다. 어룡의 일종인 오프탈모사우르스의 지느러미 뼈다. 손가락
마디
가 확연한 다른 동물과 달리 조각조각 달린 뼈가 서로 이어진 형태를 띄는 것을 볼 수 있다. 위키피디아 제공 각 동물의 차이 중 어떤 것이 가장 진화한 형태인지를 찾기 위해 연구팀은 각 생물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코로나 블루 원인은 어쩌면 전자기기의 파란빛?
2020.08.04
물에 빠뜨렸을 때 벗어나려는 움직임이 약해졌고 설탕물에 대한 선호도도 낮아졌다. 한
마디
로 삶의 의욕이 떨어진 것이다. 원래 밤 조건으로 돌아간 뒤에도 이런 행동의 변화가 3주 정도 이어졌다. 연구자들은 신경 전달 경로를 추적하는 기법을 써서 감광신경절세포의 일부가 시상의 pHb를 거쳐 ... ...
"슈퍼전파자 외엔 코로나 실내 공기전파 위험 높지 않아"
동아사이언스
l
2020.07.28
중에 배출되는 바이러스 전파량을 계산했다. 연구 결과 호흡시에는 어른 엄지손가락 반
마디
만한 공간에 바이러스가 0.0000049개 존재해 0.277개 존재하는 기침의 약 5만6530분의 1 수준으로 측정됐다. 연구팀은 “자주 기침을 하는 사람과 방에 있다면 공기 중 바이러스 농도는 매우 높아진다”며 ... ...
NYT도 피하지 못한 코로나19 과장보도 "섣부른 결론 대신 맥락·한계 전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0.07.15
1327건 중 273건이 항말라리아제로 단일 분야로는 가장 많다. (관련 기사 : '그들' 한
마디
에 검증 안 된 치료제 구매 검색량 52배 치솟았다) 하지만 효과가 없다는 연구가 잇따랐고 FDA는 긴급사용승인을 철회했다. NIH도 효과가 없을 것이라며 임상시험을 중단했다. 그럼에도 보름 뒤 2000여 명의 환자를 ... ...
동성간 성접촉 통한 국내 에이즈 감염 53.8%…이성간 첫추월
연합뉴스
l
2020.07.14
면역체계가 손상, 저하됐거나 감염 중 암 등의 질병이 나타난 사람이 에이즈 환자다. 한
마디
로 에이즈 환자는 HIV 감염 이후 면역 결핍이 심해져 합병증이 생긴 사람을 말한다. HIV 감염인과 한 그릇에 담긴 음식을 함께 먹어도 HIV에 걸리진 않는다. 음식에 들어간 HIV는 생존할 수 없으므로 HIV 감염을 ... ...
코로나19 감시부터 몸속 의료장비 전력공급까지..."붙이면 끝" 패치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0.07.13
있는 부위에 부착하는 패치형 센서를 고안했다”고 설명했다. 이 장비는 어른 손가락 한
마디
크기로 부드러워 쉽게 휘어진다. 목 아래 움푹 들어간 부위 바로 아래에 부착해 호흡에 따른 미세한 진동과 기침, 혈류와 심장박동을 모니터링한다. 특히 인공지능(AI) 머신러닝을 이용해 코로나19에 의한 ... ...
실시간 수화 번역 기술 나왔다…무선 장갑끼고 수화하면 앱이 읽어준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30
발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장갑 안에는 얇고 유연한 센서가 들어있다. 다섯개 손가락
마디
마다 센서를 집어넣었다. 이 센서는 손바닥과 손가락의 움직임을 읽는다. 읽은 신호는 전기 신호로 변환돼 손목에 설치된 회로 기판으로 전송된다. 회로 기판의 크기가 크지 않아 손 움직임에 크게 영향을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열역학과 엔트로피
2020.06.25
클라우지우스가 《열의 동력에 관하여》라는 논문에서 주장한 법칙이다. 제2법칙은 한
마디
로 말해 열은 항상 온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른다는 것이다. 즉, 자연현상에는 방향성이 있다. 카르노 엔진의 예를 들자면 아무리 이상적인 열기관을 만들더라도 열효율이 결코 100%가 되지 않으며 ... ...
불치의 루게릭병, 변이 유전자서 치료 실마리 찾았다
연합뉴스
l
2020.06.11
하버드대, 오클랜드대(뉴질랜드), 킹스 칼리지 런던(KCL) 등의 과학자들도 참여했다. 한
마디
로 ALS는 근육을 쓰지 못하게 되는 병이다. 심해지면 호흡과 음식 삼키기도 어려워져 결국 사망에 이른다. ALS가 UBQLN2 유전자의 돌연변이와 연관돼 있다는 건 여러 선행연구에서 확인됐다. 이 유전자는 잘못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