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이트"(으)로 총 179건 검색되었습니다.
- ‘10대 바이오 유망기술’에 근육 생기는 약, 플라스틱 분해 미생물 등 선정동아사이언스 l2019.01.29
- 분자 레코딩 기술 등이 유망 기술로 꼽혔다. DNA는 이론상 1g에 정보를 4억 5000만 테라바이트(TB) 기록할 수 있을 정도로 효율이 좋아 세포 내 신호전달 등 생명 현상을 직접 DNA에 기록해 질병이나 작물 연구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흥열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센터장은 ... ...
- 세계 최고 수준 100Gbps 연구용 빅데이터 전송 성공 동아사이언스 l2018.12.04
- 기존 1~10Gbps급에서 100Gbps급으로 개선된 것”이라며 “30일 이상 걸렸던 PB(페타바이트·1PB는 100만 GB)급 데이터를 1주일 안에 전송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이 구현한 사이언스 DMZ는 연구자간 연동 대역폭 대비 99% 이상의 전송 성능을 기록했다. 대전과 미국 마이애미 간 100Gbps급 글로벌 ... ...
- 기존 광통신망으로 10배 빠른 인터넷 구현했다동아사이언스 l2018.11.27
- 10배 향상시킨 25Gbps급 인터넷의 핵심 기술 '틱톡'을 개발해 27일 공개했다. 25Gbps는 1GB(기가바이트) 분량의 영화 세 편을 1초만에 내려 받을 수 있는 속도다. 지연 시간이 거의 없이 실시간으로 대용량의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어, 초고속 인터넷망과 증강현실, 원거리 로봇 제어 등을 효율적으로 ... ...
- [암호기술 혁명]④프라이버시 지키며 유전체 빅데이터 연구한다동아사이언스 l2018.11.24
- 정보의 경우 데이터 용량도 크다. 사람 한 명의 전체 유전체 데이터가 무려 200G~300GB(기가바이트)에 이른다.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해 여러 병원이 연구용 유전체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이 있지만, 이 역시 정보 유출 우려가 걸림돌이다. 삼성SDS 보안연구팀은 이런 문제의 해법으로 동형암호에 ... ...
- 땅위 인공태양 대용량 데이터 대륙간 전송 성공동아사이언스 l2018.11.14
- TB, 1TB는 1024기가바이트)의 데이터가 생성될 전망이다. 국제 핵융합실험로에서는 36페타바이트(PB, 1PB는 1024TB)의 데이터가 축적될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적인 핵융합 연구 협력을 위해 각 국가의 대형 연구 장비에서 발생하는 대용량 데이터를 빅데이터 익스프레스를 통해 빠르게 공유할 수 있을 ... ...
- 자동차용 반도체 시동건 삼성전자동아일보 l2018.10.17
- 개까지 동시에 구동할 수 있는 게 특징이다. 올해 2월에는 세계 최초로 자동차용 256GB(기가바이트) eUFS(embedded Universal Flash Storage)를 선보이기도 했다. 자동차용 eUFS는 고급세단, 스포츠카 등 고스펙 차량의 ADAS와 인포테인먼트 등에 들어가는 메모리 반도체다. SK하이닉스 역시 2012년부터 미국 반도체 ... ...
- 신과 함께? CG와 함께! 지옥과 현실을 잇는 컴퓨터그래픽 속으로 과학동아 l2018.09.15
- “산에 있는 나무를 하나씩 작업하면 데이터만 해도 용량이 테라바이트(TB·1TB는 1024기가바이트) 수준으로 어마어마하게 증가한다”며 “렌더링 하는데도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 영화 한 편을 제작하는 데 수십 년이 걸릴 수도 있다”고 말했다. 렌더링은 수와 방정식으로 이뤄진 데이터를 2차원 ... ...
- [과학게시판] 베트남 KIST 설립지원 워크숍 개최 外동아사이언스 l2018.09.06
- 인공지능 연산에 유리한 ‘GPU컴퓨팅’이 가능한 고성능 컴퓨터 장비 102대와 40테라바이트(TB)의 데이터 서버, 멀티미디어 장비 11대를 갖춰 102명의 학생들이 동시에 인공지능 프로그래밍을 실습할 수 있다. UNIST는 소속 학부생 전원이 AI Lab에서 ‘인공지능 프로그래밍 I, II’를 필수로 이수하도록 할 ... ...
- ETRI, 트래픽 정체 해소하는 초고속 광수신기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8.04.25
- 제공 세계 데이터 센터의 인터넷프로토콜(IP) 트래픽은 2016년 기준 연간 6.8제타바이트(이하 ZB, 1ZB=10의 13승 GB)에서 2021년 20.6ZB로 약 3배 증가할 것으로 추산된다. 각종 업무에서 데이터 병목 현상이 심해질 것으로 예측하는 이유다 이에 대비하려면 광전송을 가능케 하는 광수신기의 성능이 ... ...
- [세상을 바꿀 5G 이야기] ① 첫발 떼는 5G, 핵심은 주파수 2018.03.23
- 주요 서비스가 아니라 특수한 목적으로 활용되는 보조 통신에 활용됩니다. 1초에 몇 기가바이트를 전송해야 하는 초고속 통신에 활용되는 것이지요. 우리나라 통신사들이 좋아하는 ‘영화 한 편 다운로드 받는 데 걸리는 시간’으로 재면 거의 1~2초에 다운로드가 끝나는 엄청난 속도입니다. 모뎀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