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byte
bite
뉴스
"
바이트
"(으)로 총 182건 검색되었습니다.
구글·페이스북 소프트웨어 기술자 연봉은 얼마나 될까
연합뉴스
l
2019.06.16
사람이 적어지는 구조라는 뜻이다.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구직 사이트 트리플
바이트
의 창업자 하지 태가는 페이스북과 구글의 연봉 인상이 실리콘밸리의 연봉 상승 수준을 결정한다고 말했다. 태가는 "일반적인 추세로 볼 때 구글과 페이스북이 중간 수준 경력의 인력이 너무 부족하다고 ... ...
구글보다 뛰어난 한국어 특화 AI 언어모델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1
개선했다. 먼저 기존의 데이터 외에 최근 10년간의 신문기사와 백과사전 데이터 23기가
바이트
(GB)를 추가로 학습시켜 학습량을 늘렸다. ETRI는 “학습한 형태소의 수는 총 45억 개에 이른다”고 밝혔다. 여기에 ‘날씨가 어때’의 ‘가’처럼 조사가 붙는 한국어의 문법 특성을 반영해, 사전에 형태소를 ... ...
‘엑스맨’ 다크 피닉스처럼 뇌를 조종하려면
과학동아
l
2019.06.02
찾기까지 소요된 시간은 약 1년 4개월이다. 60개의 중앙처리장치(CPU)와 128GB(기가
바이트
)의 메모리를 각각 장착한 서버 5대로 분석한 결과였다. 조 교수는 “최근에는 그래픽처리장치(GPU) 1개를 활용한 병렬컴퓨팅 방식을 활용하면 CPU 200개에 해당하는 속도로 뇌의 신경연결망을 분석할 수 있다는 연구 ... ...
힉스와 중력파 검출 성공 비결…"데이터기반 R&D 강화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5.28
연구가 대표적이다. 단백질 구조 하나를 분석하기 위해 생성되는 데이터량은 약 3.25 테라
바이트
정도다. 한국도 중이온가속기 연구, 핵융합연구 등 국가 대형연구사업에서 데이터기반 R&D가 쓰이고 있다. KISTI는 “연구 패러다임이 대용량 데이터 중심 거대과학으로 진화하면서 대형 연구개발을 ... ...
천리안 1호 해양관측 데이터로 ‘한반도 지구온난화 영향’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10
생성하고 있다. 현재까지 확보한 해양관측 데이터만 약 2PB(페타
바이트
·1PB는 1000테라
바이트
)에 달한다. GOCI가 한달동안 한반도 인근 해안을 촬영한 영상에서 구름을 제거했다. 해역별 식물성 플랑크톤의 생산능력을 알 수 있으며 대기로부터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추정해 동해가 기후변화에 미치는 ... ...
스마트폰에 AI가 '쏙', 검색결과는 AR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8
순다르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CEO)는 “딥러닝 기술이 발전하면서 클라우드에서 100기가
바이트
(GB)를 차지하던 AI가 스마트폰에 들어갈 정도인 0.5GB까지 용량이 줄었다"며 “굳이 클라우드를 거칠 필요 없이 모바일 기기에서 어시스턴트를 돌아가게 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구글은 AI 신경망 ... ...
5G부터 자율주행차까지 한자리에…24일 '월드 IT쇼 2019' 개막
동아사이언스
l
2019.04.23
함께 열린다. 국내 IT 기업을 대상으로 한 정부시상도 진행된다. 세계 최초로 30테라
바이트
용량의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저장장치를 개발해 기존 제품보다 용량과 성능을 2배 높인 삼성전자의 ‘30.72TB SAS SSD’가 대통령상을, 소프트웨어 개발 기업 비주얼캠프의 ‘VR 시선추적 및 시선분석 ... ...
'길일 잡고 택배로 자료 보내 첫 영상 만들었다' 블랙홀 첫 관측 뒷이야기
동아사이언스
l
2019.04.11
데이터는 하루에 약 350 테라
바이트
(TB, 1TB는 1024GB) 정도였다. 이렇게 각 관측소마다 1페타
바이트
가 넘는 데이터가 얻어졌다. 측정이 끝난 후 각 관측소의 연구자들은 블랙홀의 데이터가 기록된 저장장치를 주섬주섬 싸 항공택배를 통해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헤이스택 관측소와 독일 막스플랑크 ... ...
”인류는 처음 블랙홀의 모습을 보고 있다”(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19.04.11
MIT) 헤이스택 관측소의 슈퍼컴퓨터로 보내졌다. 관측 데이터의 용량은 매일 350테라
바이트
수준으로 어마어마해 이를 분석하고 이미지로 만드는 데 많은 컴퓨터가 필요했다는 후문이다. 연구팀은 이렇게 해서 10일 간의 자료를2년간 분석한 끝에 이날 발표한 한 장의 영상을 얻을 수 있었다. 이번 ... ...
[이정아의 미래병원]스마트병원이 진짜 똑똑해지려면
동아사이언스
l
2019.04.09
전세계 의료 관련 데이터가 최소 150EB(엑사
바이트
)라고 보고 있다. 1엑사타이트는 기가
바이트
(GB)의 약 10억 배다. 또 다른 고민거리는 종이차트와 X선 촬영 필름이 사라지는 일이 오히려 불편한 환자도 많다는 사실이다. 병원 관계자들은 내원하는 환자 대부분이 고령이며 스마트폰 사용이 익숙지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