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이트"(으)로 총 179건 검색되었습니다.
- [영상·음향+]화성 탐사선 퍼시비어런스 '공포의 7분'과 화성의 바람소리동아사이언스 l2021.02.23
- 카메라에서 촬영됐다. JPL은 로버 하강과 착륙 과정을 보여주는 사진 2만 3000여 장과 30기가바이트 정보를 수집했다고 밝혔다. 다만 로버에 부착한 마이크는 하강 중 소리를 담는 데 실패했다. NASA는 “시각 장애가 있는 우주 팬들의 경험을 향상시키고 전 세계인의 참여를 유도하고 영감을 주기를 ... ...
- 반도체, 배터리, 촉매 시뮬레이션도 클라우드 서비스 시대동아사이언스 l2021.01.25
- 이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타트업은 세계적으로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엑사바이트' 정도다. 한국에선 버추얼랩이 유일하다. 이 대표는 “신기능 합금, 배터리 소재, 촉매 등 새로운 소재를 개발하려면 원자와 분자 수준에서 연구해야 한다”며 “머티리얼 스퀘어는 원자 수준인 옹스트롬(Å· ... ...
- [프리미엄 리포트]3D프린터로 찍어낸 가짜알로 바다거북 알 밀렵꾼 잡는다과학동아 l2020.12.19
- 처리 기술이었다. 누아바레-은도키 국립공원에서 3개월 동안 수집한 데이터양은 7TB(테라바이트·1TB는 1024GB)로, 노래 200만 곡에 해당하는 양이다. 기존 알고리즘으로는 원하는 코끼리의 음향만 분류하기엔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됐다. 미국 스타트업 ‘컨저베이션 매트릭스(Conservation Metrics)’는 ... ...
- 지구온난화로 강력한 태풍 50% 늘어난다동아사이언스 l2020.12.17
- 미래 기후변화 시뮬레이션 연구 중 가장 간격이 조밀하다. 만들어지는 데이터만 2000테라바이트(TB)에 이른다. 연구팀은 1초에 1430조 번 연산이 가능한 IBS의 슈퍼컴퓨터 ‘알레프’를 이용해 기후변화를 시뮬레이션했다. 시뮬레이션 결과 대기 중 이산화탄소가 지금보다 2배 증가하면 적도와 아열대 ... ...
- CES 휩쓴 한국 기업들…'혁신상' 삼성 44개·LG 24개 석권(종합)연합뉴스 l2020.12.16
- 친환경 디자인 부분에서도 혁신상을 받았다. 반도체 부문에서는 스마트 SSD 4TB(테라바이트), 10나노급 12GB LPDDR5 모바일 D램과 6세대 V낸드 기반 256GB UFS를 결합한 uMCP(멀티칩 패키지), LED 조명 솔루션 LM283N+ 등이 혁신상에 선정됐다. 삼성전자는 내달 11∼14일까지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CES 2021'에서 ... ...
- [화보]'비눗방울 위 태양전지 떴다' 네이처 선정 올해 과학사진동아사이언스 l2020.12.15
- 입을 모았다. 원정대는 1900억 원 규모의 대규모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150테라바이트의 자료와 1000개가 넘는 얼음 표본을 수집하고 복귀했다. 소프트 매터 제공 이 보트는 길이가 30마이크로미터(㎛·100만 분의 1m)로 머리카락 굵기보다도 작지만 스스로 화학 반응을 통해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 ... ...
- 실험실에서 키운 한우 세포로 만든 스테이크 식탁 위 오른다동아사이언스 l2020.12.14
- 토대로 '우량 세포'를 고른다. 소의 유전체 용량은 염기쌍 30억 개에 이르는 약 3Gb(기가바이트)로 2만2000여 개의 유전자로 이뤄졌다. 미 국립보건원(NIH)과 농무부는 ‘소 게놈’ 프로젝트를 진행해 2009년 가축 중에서는 처음으로 헤리퍼드 품종의 소 유전체를 완전히 해독해 공개했고, 이를 토대로 ... ...
- [잠깐과학]물리학자는 왜 월드와이드웹을 개발했을까 2020.11.14
- 사용되는 하드디스크의 용량인 1TB(테라바이트)의 약 1000배입니다. 용량이 10GB(기가바이트)인 초고화질 영화 십만 편에 해당하는 어마어마한 크기입니다. 방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려면 컴퓨터도 많이 필요합니다. RHIC의 컴퓨터에는 중앙처리장치(CPU)가 약 3만 개 달려있습니다. CPU가 하나만 ... ...
-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2020]"접근 쉬운 고해상도 지리정보 데이터, 기업 의사결정 바꿀 것"동아사이언스 l2020.11.06
- 실패가 3번 있었으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는 문제가 없었다. 플래닛은 하루에 15테라바이트(TB) 규모의 데이터를 생산한다. 이를 관리하고 사용자에게 보내는 것도 관건이다. 플래닛은 구글 클라우드에 이를 올리고 품질을 관리하며 정보를 추출하는 모든 과정을 자동화로 구축했다. 이를 통해 ... ...
- 코로나바이러스 분석장치가 손안으로 들어왔다동아사이언스 l2020.10.05
- 분석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예를 들어 사람의 염기서열을 분석하려면 기존에는 11.2기가바이트(GB)의 휘발성 메모리(RAM) 용량이 필요했지만, 이 기술은 5분의 1 이하인 2GB면 충분했다.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제노포’가 바이러스 염기서열을 분석하고 있다. USB 크기만 한 옥스퍼드 나노포어의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