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반
평범
범용
보편
보통개념
개념
예사
뉴스
"
보통
"(으)로 총 3,160건 검색되었습니다.
韓 과학자들, 초강력 레이저로 양자전기역학 기본 현상 첫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24.10.21
양자전기역학에서 가장 대표적으로 일어나는 물리 현상은 '비선형 콤프턴 산란'이다.
보통
전자 한 개는 광자(빛 입자) 한 개와 충돌하지만 빛이 충분히 강하면 전자 한 개와 광자 여러 개가 동시에 충돌하면서 고에너지 광자 한 개가 발생한다. 10여 년 전부터 초강력 레이저 시설을 보유한 유럽, ... ...
자각몽·악몽은 왜 꾸는 걸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10.19
뇌가 깨어 있을 때와 비슷한 정도로 아주 활발해져요. 이때 주로 꿈을 꿉니다.
보통
한번 자면 수면의 주기가 4~5번 반복된다. 어린이과학동아 제공 1953년 당시 유진 애서린스키 미국 시카고대 생리학과 박사는 렘수면일 때 꿈을 꾼다는 사실을 최초로 밝혔어요. 애서린스키 교수는 뇌파와 안구가 ... ...
6배 부풀린 몸, 식물성 플랑크톤 생존 전략
동아사이언스
l
2024.10.18
몸을 부풀린 모습(오른쪽). Prakash lab/Stanford University 제공 바다에 사는 식물성 플랑크톤은
보통
바닷물보다 무거워 가라앉는다. 생존하려면 햇빛이 투과하는 바다 표면에 머물며 광합성을 해야 하는데 과학자들이 식물성 플랑크톤이 표면에 머무는 전략을 발견했다. 몸을 6배로 부풀려 위로 ... ...
초당 117GB 속도로 무선 데이터 전송 '세계 신기록'
동아사이언스
l
2024.10.16
광섬유는 그동안 데이터 전송 속도와 대역폭 측면에서 큰 발전이 있었다. 대역폭은
보통
도로의 폭에 비유된다. 폭이 넓을수록 한 번에 많은 자동차가 이동할 수 있는 원리와 같다. 하지만 무선으로 전송하는 단계에서는 광섬유에 비해 획기적인 속도 개선이 없어 '병목 현상'이 발생한다는 과제가 ... ...
10배 빠르게 발효시키는 '장류 발효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0.16
하는 발효 세균으로 역할한다. 고초균을 이용해 전통장류나 양조간장을 제조하기 위해선
보통
6개월 이상 발효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연구팀은 긴 발효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콩에 있는 단당류인 갈락토스를 빠르게 소모할 수 있는 ‘특급’ 발효 고초균을 찾아 나섰다. 10년 이상 장기 숙성한 ... ...
인간의 냄새 구분 속도, 눈 깜빡이는 속도보다 빨라
동아사이언스
l
2024.10.15
냄새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후각은
보통
숨을 쉴 때 인지되며 1~3초 정도의 자극을 종합해 인식하는 '느린 감각'으로 생각됐다. 중국 연구팀이 후각은 눈을 깜빡이는 것보다 빠른 시간 안에 일어나는 냄새 변화도 감지할 수 있는 매우 예민한 감각이라는 ... ...
360도 러닝머신, 가상현실에서도 실제처럼 걷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15
UAE) 아부다비에서 개최되는 국제로봇학회 'IROS 2024'에서 17일 발표될 예정이다.
보통
러닝머신으로 불리는 일반 트레드밀은 한 방향으로만 보행할 수 있지만 360도 트레드밀은 사용자의 보행 속도, 방향을 실시간으로 파악해 사용자를 기준 위치에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가상 현실에서 구현된 ... ...
"전기차 화재, BMS 고도화해야…문제는 데이터 부족"
동아사이언스
l
2024.10.14
배터리가 성능을 최대한 활용하고 과충전·과방전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보통
셀 하나에서 이상 현상이 시작되는데 BMS는 다른 셀로 문제가 확산하는 것을 지연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김 교수는 "BMS의 기술력을 고도화하는 게 아주 어려운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문제는 고도화를 ... ...
인공지능으로 화재도 감지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10.12
AI는 이 특징들을 종합해 불이 났을 때의 패턴과 비교합니다. 요리할 때 생기는 연기는
보통
천천히 퍼지고 색상이 일정하며 특정 온도 범위에서 나타나는 경향이 있어요. 반면 화재 연기는 색상도 훨씬 진하고 빨리 퍼지며 불규칙적이고 급격한 변화를 보입니다. 또 요리할때는 열이 특정 부분에 ... ...
노벨상도 받았는데…AI 활용 신약 개발 험난한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4.10.11
결합할 단백질 구조를 예측하고 설계하는 방법으로 신약을 개발한다. 문제는 신약은
보통
단백질 하나로 이뤄져 있지 않는다는 것이다. 단백질을 비롯한 여러 물질이 뭉친 화합물이다. 신약을 개발하려면 AI가 설계한 단백질이 다른 물질과 어떤 상호작용을 하는지, 화합물이 신체에 들어갔을 때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