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반
평범
범용
보편
보통개념
개념
예사
뉴스
"
보통
"(으)로 총 3,165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의 냄새 구분 속도, 눈 깜빡이는 속도보다 빨라
동아사이언스
l
2024.10.15
냄새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후각은
보통
숨을 쉴 때 인지되며 1~3초 정도의 자극을 종합해 인식하는 '느린 감각'으로 생각됐다. 중국 연구팀이 후각은 눈을 깜빡이는 것보다 빠른 시간 안에 일어나는 냄새 변화도 감지할 수 있는 매우 예민한 감각이라는 ... ...
360도 러닝머신, 가상현실에서도 실제처럼 걷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15
UAE) 아부다비에서 개최되는 국제로봇학회 'IROS 2024'에서 17일 발표될 예정이다.
보통
러닝머신으로 불리는 일반 트레드밀은 한 방향으로만 보행할 수 있지만 360도 트레드밀은 사용자의 보행 속도, 방향을 실시간으로 파악해 사용자를 기준 위치에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가상 현실에서 구현된 ... ...
"전기차 화재, BMS 고도화해야…문제는 데이터 부족"
동아사이언스
l
2024.10.14
배터리가 성능을 최대한 활용하고 과충전·과방전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보통
셀 하나에서 이상 현상이 시작되는데 BMS는 다른 셀로 문제가 확산하는 것을 지연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김 교수는 "BMS의 기술력을 고도화하는 게 아주 어려운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문제는 고도화를 ... ...
인공지능으로 화재도 감지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10.12
AI는 이 특징들을 종합해 불이 났을 때의 패턴과 비교합니다. 요리할 때 생기는 연기는
보통
천천히 퍼지고 색상이 일정하며 특정 온도 범위에서 나타나는 경향이 있어요. 반면 화재 연기는 색상도 훨씬 진하고 빨리 퍼지며 불규칙적이고 급격한 변화를 보입니다. 또 요리할때는 열이 특정 부분에 ... ...
노벨상도 받았는데…AI 활용 신약 개발 험난한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4.10.11
결합할 단백질 구조를 예측하고 설계하는 방법으로 신약을 개발한다. 문제는 신약은
보통
단백질 하나로 이뤄져 있지 않는다는 것이다. 단백질을 비롯한 여러 물질이 뭉친 화합물이다. 신약을 개발하려면 AI가 설계한 단백질이 다른 물질과 어떤 상호작용을 하는지, 화합물이 신체에 들어갔을 때 ... ...
"연구용원자로, 양자컴퓨터·소아백혈병 신약 등 첨단기술에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4.10.10
운영된다. 반면 중성자생산로는 노심에서 중성자가 빠져나와야 하기 때문에 노심이 작고
보통
저온저압에서 운영된다. 물질 분석이나 방사성동위원소 생산 등 연구목적으로 쓰이기 때문에 접근성도 좋게 설계됐다. 원자로에서 생산된 중성자 빔은 아주 작은 단위를 잴 수 있는 '자'처럼 활용된다.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①생리의학상…유전자발현 정밀 조절자 miRNA
2024.10.10
발현양의 30~50% 정도만을 미세하게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다른 중요한 차이점은
보통
단 한 개의 제어 표적을 가지는 siRNA와는 달리, 마이크로RNA는 평균적으로 200개 이상의 mRNA를 동시에 제어 표적으로 삼는다는 점이다. 자 이제 1000개에 이르는 인간 마이크로RNA들이 2만1000개의 인간 mRNA 거의 ... ...
[노벨상 2024] 마이크로RNA 발견한 과학자 2명, 생리의학상 수상(2보)
동아사이언스
l
2024.10.07
5000개가 넘는다. 인간의 유전체(게놈)에도 1000개가 넘게 존재할 것으로 예측된다.
보통
마이크로RNA 하나가 100여 개의 표적 유전자를 조절하는 걸로 보인다. 사람 유전자의 절반 이상이 마이크로RNA의 조절을 받는다는 뜻이다. 최근에는 마이크로RNA와 질병 사이의 관계를 밝히는 연구가 활발하다. ... ...
네이처 "주요 연구성과 발표 평균 20년 뒤 노벨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4.10.06
노벨상을 받는 것이다. 이 수치는 연도별로 다르다. 1960년대 노벨상 수상자들은
보통
연구 성과를 발표한 이후 14년이 지나 수상자로 지명됐다. 하지만 2010년대 이후에는 29년으로 늘었다. 최근 50년간 이 시기가 약 2배 늘어난 것이다. 이 데이터를 토대로 네이처는 40대에는 우수한 연구 성과를 ... ...
환자 줄기세포로 세계 최초 당뇨병 치료 효과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09.27
인슐린을 만드는 췌장 내 세포를 공격해 파괴하는 자가면역 반응이 일어나는 질환이다.
보통
평생에 걸쳐 외부 인슐린에 의존해야 한다. 연구팀은 지난해 6월 중국 톈진에 사는 25세 여성 환자에게서 인슐린을 분비하는 세포인 췌도 세포를 추출했다. 추출한 세포를 화학 처리해 세포의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