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뉴스
"
빛
"(으)로 총 3,963건 검색되었습니다.
ETRI, 美 아르곤국립연구소와 반도체 기술 연구 추진
동아사이언스
l
2025.01.17
동작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반도체 부품이다. 실리콘 검출기는 물체나 입자에서 나온
빛
이나 전자를 검출하기 위한 디텍터와 디텍터에서 생성된 전기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CMOS가 집적된 실리콘 반도체를 말한다. ETRI와 아르곤국립연구소는 앞으로 우주 환경에서 발생하는 고에너지 입자를 ... ...
어두워도 1초에 9120프레임 포착하는 곤충눈 닮은 카메라
동아사이언스
l
2025.01.16
기존 고속 카메라는 빠른 움직임을 포착하는 데 강점이 있지만 프레임률을 높일수록
빛
을 수집할 수 있는 시간이 줄어들어 저조도 환경에서는 감도가 부족했다. 연구팀은 곤충의 겹눈 형태 시각기관을 본따 여러 개의 광학채널을 활용한 생체 모사 카메라를 만들었다. 일반적인 단안 카메라 ... ...
항암제 안 통하는 췌장암,
빛
으로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16
개발한 광 반응 화합물은 자가포식이 일어나는 공간인 리소좀만 선택적으로 공격했다.
빛
을 받아 리소좀 막을 파괴했고 리소좀이 자가포식소체와 융합하는 것을 방해했다. 자가포식소체는 세포 노폐물이 일시적으로 격리되는 장소로, 자가포식소체와 리소좀 간 융합이 일어나야 자가포식이 ... ...
"우주산업서 한국만의 경쟁력, 우주 태양전지에서 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25.01.15
'세슘 기반의 무기물 페로브스카이트'를 쓴다는 점이다. 페로브스카이트는 태양전지가
빛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할 때 필요한 광(光)흡수 물질이다. 플렉셀스페이스가 무기물 페로브스카이트로 태양전지를 개발하고 있다. 안 대표는 "개발 중인 태양전지가 145℃~영하 170℃를 넘나드는 극한 환경 ... ...
우주에서 전자가 가속되는 '천연 입자가속기' 원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13
흐르는 등 '상대론적 현상'을 일으킨다. 천체물리학에서는 우주에 있는 전자가 어떻게
빛
의 속도에 가까운 상대론적 에너지 수준까지 가속되는지 명확히 설명하는 것이 오랜 과제다. 전자가 극도로 가속돼 우주선(cosmic ray)이 생성되는 메커니즘을 '페르미 가속(Fermi acceleration)' 또는 '확산충격가속(DSA) ... ...
신개념 생체형틀법 '캠바이오' 개발…다양한 생체 나노구조체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10
내는 나노 구조체를 만들 수 있게 했다. 실제 캠바이오로 만든 기능성 나노구조체는
빛
을 이용해 아주 적은 양의 물질도 감지하는 표면증강 라만산란(SERS) 기판에서 향상된 성능을 보였다. 연구 논문의 1저자인 송대현 KAIST 박사과정생은 “시료에서 목적으로 하는 물질을 검출할 때 아주 적은 ... ...
단일 원자 기반 양자 LED 광원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1.10
터널링 구조를 이용해 만든 양자 LED는 가시광선부터 근적외선까지 폭넓은 파장에서
빛
을 방출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의 소자는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고 상온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했다. 박 통합과정생은 “개발한 기술은 차세대 광전자 소자와 양자 기술의 응용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줄 ... ...
빛
·압력·냄새·맛까지 감지하는 똑똑한 섬유
동아사이언스
l
2025.01.09
DG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빛
, 압력, 냄새 그리고 맛까지 감지하는 섬유를 개발했다. 웨어러블 사물 인터넷(IoT) 전자소자나 소프트 로봇 같은 다양한 첨단 기술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김봉훈 로봇및기계전자공학과 교수팀이 사람의 오감을 흉내 내는 반도체 섬유 ... ...
적외선 85배 증폭 초고감도 양자점 센서 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1.08
KAIST는 이정용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팀이 콜로이드 양자점을 활용해 적외선 광자(
빛
의 입자)를 흡수하고 85배로 전자를 생성해 증폭하는 '아발란체 전자 증폭 기술'을 개발해 기존 기술보다 10배 높은 센서 감도를 달성했다고 8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지난달 18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 ... ...
[양자역학 100년] "해킹 불가라는 양자통신, 표준 선점해야"(하)
동아사이언스
l
2025.01.07
양자암호를 더해 안전하게 통신하는 기술이다. 기존 통신 해킹은 제3자가 수많은 광자(
빛
의 입자)의 형태로 전송 중인 데이터 일부를 중간에 빼돌리거나 정보만 복사하고 다시 보내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양자암호통신에서 양자 중첩 상태에 있는 광자는 물리적으로 복제가 불가능하며 정보를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