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뉴스
"
빛
"(으)로 총 4,053건 검색되었습니다.
[新푸드테크]③ 유정란과 선풍기로 집에서도 만드는 배양육
과학동아
l
2025.05.06
좀비 바이러스가 창궐하면 어떻게 행동할지 생각해두곤 해요. 이제 슈퍼N들의 상상이
빛
을 발할 순간입니다. 미래의 극한 기후나 우주에서 우리는 무엇을 즐겁게 먹을 수 있을까요. 총 3회에 걸쳐 삼양라운드스퀘어와 함께 답을 찾아봅니다. 배양육은 동물의 근육 세포를 실험실에서 배양해 만든 ... ...
[新푸드테크]② 이산화탄소, 전기, 물…공기로 음식 만드는 법
과학동아
l
2025.05.05
좀비 바이러스가 창궐하면 어떻게 행동할지 생각해두곤 해요. 이제, 슈퍼N들의 상상이
빛
을 발할 순간입니다. 미래의 극한 기후나 우주에서 우리는 무엇을 즐겁게 먹을 수 있을까요. 총 3회에 걸쳐 삼양라운드스퀘어와 함께 답을 찾아봅니다. 2024년 8월 NASA가 주관하고 캐나다우주국(CSA)이 협력한 '딥 ... ...
물속에서
빛
으로 움직이는 로봇용 인공 근육
동아사이언스
l
2025.05.04
빛
을 받으면 움직이도록 만들었다. 기존 광열 소재와 달리 연구팀이 개발한 소재는
빛
을 꺼도 바로 원래대로 돌아가지 않고 일정 시간 동안 수축 또는 이완된 상태를 고정할 수 있다. 이런 ‘구동 자물쇠’를 인공 근육 부위에 적용했더니 원하는 동작 순서와 위치를 조절할 수 있었다. ... ...
[新푸드테크]① '필수 영양소 직접 챙기자'…미생물로 만든 우주 빵
과학동아
l
2025.05.04
좀비 바이러스가 창궐하면 어떻게 행동할지 생각해두곤 해요. 이제, 슈퍼N들의 상상이
빛
을 발할 순간입니다. 미래의 극한 기후나 우주에서 우리는 무엇을 즐겁게 먹을 수 있을까요. 총 3회에 걸쳐 삼양라운드스퀘어와 함께 답을 찾아봅니다. 우주에서는 신선한 채소나 과일을 구할 수 없습니다. ... ...
우주에서 오는
빛
, 우주망원경으로 관측…해왕성 오로라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5.03
분석한 결과 삼중수소 이온을 불꽃에 넣을 때 발생하는 색의 파장과 같은 파장의
빛
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삼중수소 이온은 목성과 토성 등 다른 행성에서 오로라가 일어났을때도 대기에서 방출된 이온입니다. 해왕성에서는 위도 남위 30~60°에서 다른 구역보다 삼중수소 이온의 신호가 두 배 정도 ... ...
불은 고체일까, 기체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4.26
이때 생긴 열이 공기를 뜨겁게 만들고 물질에서 나온 미세한 먼지 입자들이 뜨거워지며
빛
을 발하는데 이 현상이 우리 눈에 보이는 것이 불입니다. ※관련기사 어린이과학동아 4월 15일, 질문하면답해ZOOM…불은 고체인가요? 기체인가요 ... ...
카이럴성·자성 동시에 갖는 양자점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5.04.25
AI가 학습하게 하는 데 쓰이는 시냅스 가중치 조절과 다중 학습이 가능하다. 양자점은
빛
을 일정하게 받아도 복잡한 판단을 해주는 스마트 센서처럼 반응을 하기도 했다. 연구는 광학적 카이랄성과 자기적 스핀 특성을 하나의 나노소재에 융합함으로써 기존에 구현되지 않았던 편광 구분 기능과 ... ...
상용 통신망에서 고가 장비 없이 양자암호 254km 전송
동아사이언스
l
2025.04.25
쉽고 온도 변화와 진동 등 외부 요인에도 민감하다는 점이다. 암호 정보가 담긴 광자(
빛
의 입자)를 검출할 때 값비싼 장비가 필요하다는 점도 상용화의 걸림돌로 지목된다. 기존에는 주로 초전도 나노와이어 단일광자검출기(SNSPD)를 사용했다. 구동할 때 섭씨 영하 270도의 극저온 환경이 필요하다. ... ...
韓 관측 시스템으로 공전주기 40년 '슈퍼지구'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5.04.25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연구팀은 KMTNet을 활용해 지구로부터 약 1만4000광년(1광년은
빛
의 속도로 1년간 이동한 거리) 떨어진 외계행성 'OGLE-2016-BLG-0007Lb'을 찾아냈다. 지구 질량의 약 1.3배로 태양 질량의 0.6배인 별(모성)을 돌고 있다. OGLE-2016-BLG-0007Lb와 모성 사이의 거리는 평균 15억킬로미터로 지구와 ... ...
10나노 두께 열감지 필름 개발…초경량 야간투시경 응용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5.04.24
공간에서도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장비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야간투시경은 미세한
빛
을 증폭시켜 야간이나 어두운 공간에서 시야를 확보하는 장비다. 사물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을 민감하게 감지하는 매우 얇은 필름이 개발돼 무겁고 큰 기존 야간투시경 등 전자기기를 경량화·소형화하는 데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