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쌔끼
밧줄
자식
끈
어린 짐승
꼬마
삭조
뉴스
"
새끼
"(으)로 총 666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늘과학] 시간제한 단식, 생식 기능에 좋지 않아
동아사이언스
l
2023.04.12
늘리지만 난자의 질은 여전히 저하돼 정상 수준의 음식 섭취로 돌아간 후에도
새끼
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이 나타날 수 있다"며 "연구결과는 단식이 체중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뿐 아니라 생식력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는 것도 중요하다는 사실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 ...
조산 유전적 원인 찾았다…"분만 시기 두고 엄마와 아이 유전자 충돌"
동아사이언스
l
2023.04.04
자란 태아가 거의 통과하지 못할 정도로 작은 반면 암컷 침팬지는 골반의 직경이
새끼
의 두 배에 이른다. 연구팀은 “사람만의 생물학적 특성은 사람에 초점을 맞춘 출산과정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고 말했다. 출산 과정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연구팀은 임신 기간을 결정하는 것이 ... ...
수컷 쥐 세포로 난자 만들어 아기 쥐 탄생…난임 치료 새 길 열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3.09
이식해 7마리의
새끼
쥐가 태어났다. 연구팀에 따르면 아기 쥐들은 건강하게 성장해
새끼
를 낳았으며 수명도 정상적이었다. 연구팀은 연구 결과를 인간 세포에 적용하기 위해 시도 중이다. 실험실에서 배양한 난자를 사용하려면 안전성 확인 등 넘어야 할 산이 많지만 하야시 교수는 10년 안에 ... ...
유전자가위가 트라우마도 잘라낼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3.03
뇌 부위의 유전자 움직임을 살폈다. 분석 결과 모체에서 떨어져 스트레스를 받은
새끼
쥐는 우울증과 관련한 수백개의 유전자가 발현하는 모습을 보였다. 성체가 된 후에 마치 인간의 우울증과 같은 증상을 보였다. 트라우마가 후천적으로 유전자 변형을 일으킨다는 것이다. 어린 시절 겪은 ... ...
한강에 수달 15마리 확인...유전자 분석결과 엄마·아빠·
새끼
두 가족도
동아사이언스
l
2023.02.23
친자감별 등을 수행한다. 마크로젠은 식별한 수달 15마리 개체 사이에서 엄마, 아빠,
새끼
의 세 마리로 구성되는 두 가족(6마리)의 근연관계도 확인했다. 유전자 분석 결과는 한강 유역에 사는 수달의 건강한 서식과 종 복원에 유용하게 활용될 예정이다. 황인욱 마크로젠 신상품개발부 부서장은 ... ...
16년 산 최장수 고슴도치 발견…시민과학의 힘
동아사이언스
l
2023.02.15
"고슴도치는 영역동물이 아니라 수컷이 싸우는 경우가 거의 없는 반면 암컷은 혼자
새끼
를 키우는 습성이 있다"고 말했다. 다만 교통사고로 사망할 확률은 수컷이 더 높았다. 수컷이 암컷보다 활동 범위가 더 넓어 도로에 접근할 가능성도 더 높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고슴도치들은 최근 개체수가 ... ...
수컷 낳은 어미 범고래, 출산율 '반토막'
동아사이언스
l
2023.02.09
교배하지 않는다. 댄 프랭크스 영국 요크대 생물학 및 컴퓨터과학과 교수는 "수컷
새끼
를 살리기 위해 미래의 번식가능성을 포기하는 이런 전략은 과거에는 진화적으로 유익했을 수 있지만 현재는 범고래의 미래 생존 가능성을 위협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올해 카길한림생명과학상에 김인호·윤철희
동아사이언스
l
2023.02.06
양돈 사료와 영양 분야 세계적 연구자로 평가받는다. 무항생제 양돈사료를 개발하고
새끼
돼지의 성장성 향상을 위한 사료 연구와 관련 원리를 밝히는 등 성과를 냈다. 동물사료 가공과 생산 공정을 획기적으로 개선했다는 평가다. 윤철희 교수는 사회경제적으로 피해가 큰 동물감염병을 ... ...
‘사랑의 호르몬’ 없어도 애착관계 형성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28
유지했다. 짝의 털을 손질하고 서로 웅크리면서 체온을 공유했다. 어미 초원 들쥐는
새끼
가 젖을 떼는 시기까지 수유를 멈추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전과 다른 연구 결과가 나온 이유로 유전자 교정 시기와 교정 기술의 정밀함을 꼽았다. 앞선 연구에서는 초원 들쥐가 성체가 됐을 때 옥시토신 ... ...
[잠깐과학] 가자미와 넙치는 무엇이 다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1.14
이빨도 날카롭습니다. 넙치와 가자미는 태어날 때부터 눈이 쏠려 있지 않습니다. 둘 다
새끼
물고기인 치어 때는 눈이 몸 양쪽에 하나씩 대칭적으로 달려 있습니다. 치어는 수면 근처에서 생활하죠. 이후 성장하면서 넙치는 왼쪽, 가자미는 오른쪽으로 점점 눈이 이동하며 바닥 생활을 시작합니다.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