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쌔끼
밧줄
자식
끈
어린 짐승
꼬마
삭조
뉴스
"
새끼
"(으)로 총 666건 검색되었습니다.
늙은 쥐 '출산 능력' 향상시킨 화합물..."난임 치료 단서"
동아사이언스
l
2023.10.17
6마리의
새끼
를 낳았으며, 그렇지 않은 쥐는 3마리의
새끼
를 낳았다. 젊은 쥐가 13마리의
새끼
를 출산한 것과 비교하면 적은 숫자지만 생식력 자체는 향상됐다는 분석이다. 연구팀은 "마시는 물에 스페르디민을 타서 먹인 늙은 쥐에게서도 생식능력이 향상됐다"고 밝혔다. 스페르디민은 난모세포의 ... ...
영유아가 뇌수막염에 취약한 원인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10
밀집돼 있는 대식세포 'MHCIIhi' 가 감염 차단에 가장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점을 밝혔다.
새끼
생쥐는 이 대식세포가 결핍된 상태였다. MHCIIhi 대식세포들은 혈류를 타고 경막 정맥동혈관을 통해 경막 조직으로 이동했다. 연구팀은 경막 정맥동혈관 내피세포가 다른 부위보다 면역세포 이동을 ... ...
포유동물들, 사자보다 '사람 소리' 더 무서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06
공격적인 반응을 보인다는 점은 선행 연구를 통해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코끼리들은
새끼
를 보호하기 위해 떼를 지어 사자를 공격하는 경향이 있다. 연구팀은 동물들이 밀렵 등의 행위를 하는 인간을 오랫동안 두려워해온 것으로 추정하고, 이번 연구를 계기로 야생동물 밀렵 방지가 활성화되길 ... ...
연휴기간 갑작스런 복통·멀미·급체…증상 완화 돕는 지압법
동아사이언스
l
2023.09.29
이러한 응급상황에서 장문혈(腸門穴) 지압으로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장문혈은
새끼
손가락을 타고 내려오는 방향으로 손목에서 약 10cm 떨어져 있으며, 이름대로 ‘장의 문’의 역할을 하는 만큼 복통과 변의를 상당히 줄여준다. 일반적인 혈자리들과 다르게 장문혈은 ‘5초 지압, 3초 휴식’이 ... ...
아기 울음소리 들은 어미 쥐 모성행동은 어디서 나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9.22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이같은 옥시토신의 작용이 시간이 지나도 어미 쥐가
새끼
쥐를 계속해서 보살필 수 있도록 모성을 유지하는 데 기여한다고 설명했다. 모성과 관련한 옥시토신 메커니즘을 활용하면 출산 후 우울증을 겪는 산모 등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약물 개발을 모색할 수 있다고 ... ...
'복제양 돌리'의 아버지 이언 윌멋 별세
동아사이언스
l
2023.09.12
결합하고, 이를 다른 암컷 양의 자궁에 이식하는 방법으로 복제했다. 이렇게 태어난
새끼
양은 팝스타 돌리 파튼의 이름을 따 '돌리'로 불렸다. 월멋 교수의 연구 이후 전 세계적으로 동물 복제 연구 열풍이 일었다. 한국에서는 1999년 황우석 서울대 교수 연구팀이 복제소 '영롱이'를 만들었다. ... ...
"임신 중 바이러스 감염, 자녀 자폐 위험 높여"
동아사이언스
l
2023.09.07
할 수 있는 것이 자기수용감각 작용 메커니즘과 연관이 있다. MIA 모체에서 태어난
새끼
쥐는 이 부분이 과활성화돼 있어 정상적인 사회 행동을 보이지 못하고 자폐 유사 증상을 보였다. 최 교수는 발열이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행동 증상을 완화한다는 점도 확인했다. 자폐증 아동이 발열 증상을 ... ...
아기 펭귄, 1만 마리 떼죽음...금세기 내 90% 멸종 위기
동아사이언스
l
2023.08.28
사라지다시피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따라 연구팀은 황제펭귄이 적어도 향후 1년 동안
새끼
를 낳지 않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황제펭귄은 멸종위기종이다. 금세기 안에 개체수의 90%가 멸종될 것이라고 예측된다. 연구팀은 황제펭귄의 서식을 위협하는 타 포식자의 위협이나 사냥 위협이 거의 ... ...
판다 '푸바오', 왜 중국으로 돌아갈까…동물 외교의 진짜 이유
과학동아
l
2023.08.26
야생에 정착할 때까지 따오기의 보호와 번식을 돕고 있다. 보통 야생에서 태어난
새끼
들이 쌍을 이루고 번식했을 때 야생 정착이 시작됐다고 본다. 따오기 복원 프로젝트가 성사될 수 있었던 배경에는 놀랍게도 ‘한중 정상회담’이 있다. 시작은 환경운동가와 창녕 지역 한 학생의 건의였다. ... ...
[일상 속 뇌과학] 내 기억이 내 아이에게 유전될 수 있을까?
2023.08.25
새긴다는 것이다. 그 결과 후성유전학적 각인을 받은 수컷 생쥐(2세대)에게서 태어난
새끼
들(3세대)의 대사질환 발병률은 할머니 생쥐(1세대)처럼 비정상적으로 증가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와 유사하게 스위스 연방 공과대 및 취리히대 연구팀의 연구결과에서도 발견된다(10.1038/nn.3695). 어릴 적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